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와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Shin, Su-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 및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해 봄으로써 유치원 교육실습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N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교 육실습에 대한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와 내적 동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첫째,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는 유치원 교육실습 전에 비해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 요인 인 실습 교직 업무부담 및 긍정적 요인인 사회적지지가 증가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교직 실습 업무 스트레스는 감소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내적 동기는 유치원 교육 실습 전에 비해 내적 동기의 하위요인 중 내적 완성감, 내적 독립적 판단, 내적 성향이 증가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내적 동기가 증가됨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실습으로 인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직무 부담 등의 실습 업무 스트레스가 여전히 과중되고 있음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실습과정 중에 경험한 사회적 지지와 교육 실습을 통해 내적 완성감, 내적 독립적 판단, 내적 성향 등이 긍정적으로 향상됨으로 나타나 교육실습에 임하는 예비교사의 태도 및 가치관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전문적인 교직인으로서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on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and internal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and internal motivation of 30 senior students attending N university.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first, for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fter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job burden, which is a negative factor and social support, which is a positive fact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Second, after the teaching practice, for internal motivatio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internal completeness, internal independent judgment, and internal dispos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internal motivation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although teaching practice work stress such as job burden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due to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re still overload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and teaching practice during the process, the internal completeness, internal independent judgment, and internal disposition, etc. were found to be improved, which is a result of research showing that the attitude and valu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the teaching practice change positively and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 practical teaching person.

      • KCI등재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hin, Su-kyung),최낙천(Choi, nag-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의 참여 유도 및 지도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있다. 본 연구는 G시에 위치한 N, S, K 고등학교 3학년 재학 중이며 유아교육과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 13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4일부터 9월 24일까지 12주동안 1주에 3시간씩 총 36시간을 유아교육학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육학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 실시 전․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 활동역량의 하위요인 중 ‘자아역량’, ‘문제해결역량’, ‘성취동기역량’, ‘대인관계역량’, ‘리더쉽역량’,‘시민성역량’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청소년 활동역량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은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다양한 활동영역에서의 참여 유도 및 지도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 youth activity capacity and career maturity degree through the link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nd utilizing it as basic data for inducing participation of various youth volunteer activities of youth and building guidance plan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3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3rd grade of N, S, K high schools located in G city and want to go on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s conducted from July 4 to September 24, 2016 with the total number of 48 hours of volunteer activities link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 12 weeks, 3 hours a session per week. The results of analyzing collected data using the matching sample t‐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volunteer activ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link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overall youth activity capabilities, including sub‐factors of youth activity capabilities such as ‘self competence , ’problem solving ability , ‘achievement motive competence , ‘interpersonal competence , ‘leadership competency, and ‘citizenship competenc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he linkage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degre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ucing participation and guidance in various activity areas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Shin, Su-Kyung),김현정(Kim, Hyun-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총 80명으로 평균월령은 69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서는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사의 일반 스트로크를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와 ‘자기통제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 실험집단 유아들의 자기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교사의 일반적 스트로크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i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positive stroke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o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control. The total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80 young children at age 5 from two classes in G and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69 months.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by the teacher"s positive stroke,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by the teacher"s normal strok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teacher"s positive stroke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control.

      • KCI등재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u-Kyung Shin),김현정(Hyun-jeong Kim)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S유치원의 재원 중인 총 60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12주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를,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실외자유놀이를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NCOBA 분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는 유아의 기초체력을 증진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창의적 체육놀이, 리듬과 멜로디를 이용한 음률놀이는 유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through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ypes of play for the duration of 12 weeks. The two different types of pla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to were creative physical play method and music and movement play method using rhythm and melody. The comparison group was assigned to outdoor free play using method. The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were measured to collect data. Data were analyzed with a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COVA on the pre-score and post-score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ic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i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reative physical play, music and movement using rhythm and melody play activities in young children’s and physical self-efficacy.

      • KCI등재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 및 교직열정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hin Su kyung),박윤(Park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는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 및 교직열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자질 함양을 증진시킴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3월 1일부터 3월 28일까지 4주 동안 G시에 소재하는 N대학교 유아교육과의 1학년 신입생 31명을 대상으로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검사도구로는 김현진(2012)과 박보라(2014)의 교사동기 척도와 김현진(2012)의 교직열정 척도를 활용하였다.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전체적인 교사동기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자극, 아이들과의 활동, 자기평가, 애타주의 정신, 일의성격 등의 하위요소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정, 조화로운 열정, 집착적인 열정 등의 하위요소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예비유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인 교사동기 및 교직열정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freshmen motivational program on teacher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reshman motivational program for 31 freshman students atten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N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for four weeks from March 1 to March 28, 2017. This study utilized a teacher motivation scale by Kim Hyeon.jin (2012) and Park Bo.ra (2014), who modified and supplemented MOTS of Sinclair and Dowson (2008) as a test tool for measuring teacher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 passion for teaching scale developed by Vallerand et al. (2003) and modified by Kim Hyeon.jin (2012). To collect the data of this study, 31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reshmen motivational program were surveyed and the response data were used as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freshmen motivational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qualities that should be provided 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hin, Su-kyung),고은교(Ko, Eun-Ky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근거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사범계열 유아교육과의 수업모형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N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4명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29일부터 12월 9일까지 총 15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로 공과계열 수업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는 캡스톤 디자인이 사범계열 유아교육과의 새로운 수업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제언하고, 교수매체 및 적용을 위한 수업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as a teaching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s by examining how teaching Materials making and appli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affec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sclosure, self-assertion, and study executive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fourth year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N University in G Cit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5 weeks from October 9 to December 12, 2016. W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ired‐sample t-test, teaching Materials making and appli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sclosure, self-assertion, and study executive ability. This suggests that capstone design, which has been used mostly as a teaching model for engineering departments, may be applicable as a new teaching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s.

      • KCI등재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의 인간애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차이분석

        신수경(Su-Kyung, Shin),신리행(Li-Hea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들의 문제행동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른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전략 차이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 전략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광주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교사 인간애, 교사용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설문지를 2018년 9월 3일부터 9월 28일까지 배포하여 회수한 후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른 각 문항과의 관계와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과 ANOVA 및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라 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인간애와 문제 행동에 대한 교사의 지도전략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이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으며, 앞으로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관련 내용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chers-Age, final education,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daycare or kindergarten, classroom.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about humanity and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for infants were distributed to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item according to age, final education, teaching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employment agency, and cla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correlations and ANOVA.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Cronbach s α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chers-Age, final education,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daycare or kindergarten, classroom. Second,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showed high correlation. Therefore, it is shown that teacher s humanity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 아동학대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관련 법령과 업무개편 내용을 중심으로-

        신수경 ( Sin Su-kyung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21 공익과 인권 Vol.21 No.-

        2020년 3월에 개정된 「아동학대처벌법」과 「아동복지법」은, 아동에 대한 국가책임의 강화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정부의 ‘포용국가 아동정책’에 발맞춰 기존처럼 민간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아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체가 되는 아동학대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공공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식의 아동학대 대응체계를 강경ㆍ분리ㆍ처벌 중심으로 곡해하는 것은 ‘원가정회복 및 전가정(全家庭)에 대한 복지적 관점에서의 대응’이라는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및 「아동복지법」상의 원칙과 상충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법 개정에 따라 종래 민간 아동보호 전문기관으로 통일되어 있던 업무 주체가 아동학대전담공무원과 아동보호전문기관으로 분화되었고, 이에 따라 두 기관 간 유기적인 연계의 필요성이 커졌음에도, 아동학대 관련 법령인 「아동학대처벌법」과 「아동복지법」은 이러한 유기적인 연계의 내용을 담지 못하고 여전히 분절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특히 아동의 가정 외 분리보호조치는 원칙적으로 원가정 회복의 관점을 고려하여 「아동학대처벌법」에서 마련한 사법심사를 거쳐야 할 것이나, 「아동복지법」은 오히려 ‘즉시분리’와 같은 조항을 추가하여 사법심사 없이 행정처분만으로 이뤄지는 신속한 분리만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아동학대 사건 당사자인 피해아동과 아동학대행위자에 각각에 대한 개입 절차와 규율도 법령상 나누어져 있어 전가정(全家庭)에 대한 일관되고 체계적인 개입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아동학대 대응 업무개편에 따라 공공이 아동보호에 보다 큰 책임을 지게 된 것은 환영할 일이나, 이러한 공공의 역할이 커진 것을 아동을 둘러싼 일체의 결정에 있어 무한한 행정재량을 인정한 것으로 오해하여서는 안 된다. 이에 아동의 가정 외 분리보호는 원칙적으로 사법심사를 거치도록 법제도를 개선하고, 피해아동과 아동학대 행위자에 대한 유기적 규율 및 아동학대 업무수행에 있어 기관 간의 유기적 연계를 위한 입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and 「Child Welfare Act」, which were revised in March 2020, include establishing a child abuse response system in which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not private child protection agencies, are the main players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Inclusive Country Child Policy.” Some misinterpret the strengthening of public responsibility through child abuse response system as rigid, separation- and punishment-oriented approach. However, such perspective may conflict with the “family recovery approach” and “whole family approach” stated in the Convention on Children’s Rights and 「Child Welfare Act」. As the revised law and practice of child abuse response system divided the former private “Child Protection Agency” into “Child Abuse Prevention Officer” and “Child Protection Agency,” the need for an organic link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arose. Nevertheless, the amendment does not ensure sufficient organic linkag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and is still being applied disconnectedly. In particular, although judicial review should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amily recovery approach” according to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Child Welfare Act」 merely emphasized rapid segregation by adding provisions such as “immediate segregation.” In addition, the law separates the discipline and process for the victims and child abusers, thus the need for a consistent and systematic intervention for the entire family also arises. It is welcomed that the redistribution of tasks has made the public more responsible for child protection. However, the growing role of public should not be mistaken as granting unlimited administrative discretion in all decisions regarding children. Therefore, in principle, the legal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that children are separated through judicial review. Also, it is necessary to legally ensure organic linkage between institutions involved in child abuse response system and introduce systematic measures that include child abuse actors and victims comprehensivel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와 취업-메이크업 관여도와의 관계

        신수경(Shin, Su-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와 취업-메이크업 관여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G시에 위치한 N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4일부터 12월 2일까지 우편발송 및 직접 설문지를 전달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ANOVA), Scheffe’ 사후검증과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로는 내츄럴이미지를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과 실습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로서의 메이크업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라서는 매력적이미지, 엘리건트이미지와 선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경험에 따라서는 매력적이미지와 선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이크업이미지가 취업-메이크업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내츄럴이미지와 매력적 이미지가 취업-메이크업 관여도의 하위요소인 관여의미, 관여관심, 관여중요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makeup image as a kindergarten teacher and their makeup involvement in employmen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ending a questionnaire by mail or delivering it in person to 114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N University in G City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4 to December 2, 201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OVA, Scheffe’s post-hoc 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natural image as the makeup image of a kindergarten teacher.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makeup image as a kindergarten teacher according to their school year and practice experi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ttractive image, elegant imag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school year. In addition, attractive image and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actice experienc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image making image on makeup involvement in employment, natural image and attractive ima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involvement in employment such as meaning of involvement, interest of involvement, and importance of invol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