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阿尼’의 의미와 위상

        신선혜(Sin, Sun-Hye)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3

        都維那娘阿尼에 대한 그간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阿尼를 비구니와 동일한 개념으로 보면서 司祭的성격을 가진 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다음과 같은 의문점을 낳았다. 첫째는 阿尼를 比丘尼와 동일한 개념으로 설정할 경우 이미 都維那娘설치 이전 시기에 比丘, 沙彌등 출가자의 구분이 있었음에도 比丘尼라는 표현을 쓰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둘째는 阿尼를 신라 여성의 위상과 관련하여 司祭的성격을 보이는 ar 계통 명칭을 가진 인물과 동일한 성격으로 본다면 통일신라에서도 보이는 阿尼를 칭하는 인물을 여전히 司祭的성격의 인물로 파악할 수 있는가라는 점이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먼저 『삼국사기』 職官志의 ‘都維那娘阿尼’의 기록을 검토해 보았다. 이와 함께 신라의 僧官制는 중국 불교계의 영향을 다분히 받았음에도 중국 승관에 보이는 尼僧正및 尼都維那와 같은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娘’으로 표현된 여성 승관직을 설치한 점에 주목하였다. 신라 사회에 보이는 娘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대체로 왕실 및 귀족 여성들을 가리키며 동시에 결혼한 여성을 가리키는 용어로 파악되었다. 즉 都維那娘은 중국 승관과는 달리 佛事나 法會등과 같은 興法활동의 후원자이자 대표자였고, 여기에 왕실 여성들이 임명되면서 娘으로서의 의미가 부여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阿尼역시 「戊戌塢作碑」의 ‘都維那慧藏阿尼’의 사례와 『삼국사기』 직관지의 기재방식을 통해 ‘-法師’와 같이 일정한 職任을 가진 인물을 지칭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때의 직임이란 法師가 불법에 밝고 중생을 수행으로 이끌며, 포교의 전문가였던 것과 같이 이에 대비된 阿尼역시 그러한 존재를 표현한 명칭으로, 법사의 자격이 출, 재가자를 막론하였듯 阿尼도 비구니와는 등치될 수 없는 특별한 직임을 가진 여성출가자 혹은 재가신도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e two similarities of the pieces of epitaph, which is founded in ‘Jumisaji(舟尾寺址)" at Gongju, and the inscription, which is about the construction of rock cliff of Buddha in Gyeongju"s Seondo mountain, is that they both contain information about ‘Ani(阿尼)". While there were some interest in the true nature of ‘Ani" and ‘Doyoonarang(都維那娘)" during the early research period of ‘Seunggwanjae(僧官制)", there hasn"t been a professional research on ‘Ani" not only because of the minimal amount of the word"s appearance, but also because the word ‘Ani" has been fixed as a noun referring to women who are getting married. This essay has begun with two doubts. The first is if ‘Ani" and ‘bhikehuni(比丘尼)" is set as identical concept, then why isn"t the term ‘bhikehuni" used even though there were a classification of married women such as ‘bhikkhu(比丘)" and ‘Sami(沙彌)"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oyoonarang". The second is if we can view the ‘priest-like" characters that have names with ‘ar" as identical to the women"s stature of ‘Ani", then can we view the characters called as ‘Ani"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s having identical ‘priest-like" characteristics. For the discussion, we have reviewed the record of ‘Doyoonarang Ani" in the ‘Jikguanji(職官志)" of ‘Samguk Sagi(三國史記)". The interesting point with Silla is that although it received significant influence from China"s Buddhism, it did not use Chinese priesthood terms like ‘Niseungjung(尼僧正)" or ‘Nidoyoona(尼都維那)" as used in China, but rather used the term ‘rang(娘)" for female priesthood. Furthermore after reviewing the term "rang" used in Silla society, it has been found that the term was used for women in the royal family and for women who are married. Therefore, unlike China"s priesthood, ‘Doyoonarang" was the representative of the spread of Buddhism, activities such as Buddhist events(佛事), and as women from the royal family was appointed in this position, the position was given the meaning of ‘rang". It could also be seen that the term ‘Ani" is referring to characters that have official duties like ‘Beopsa (法師)" from the descriptions in ‘Doyoona Hyejang Ani(都維那慧藏阿尼)" from ‘Musul Ohjakbi(戊戌塢作碑)" and the way its termed in ‘Samguk Sagi". Just like how ‘Beopsa" was insightful in Buddhism and led people to enlightenment as the expert of evangelism, the official duties of ‘Ani" were termed for characters of similar position. Just as ‘Beopsa" had both married or remarried person, ‘Ani" has been found that it refers to married female who had a special position that is not equal to that of ‘bhikehuni".

      • 수공예프로그램이 경도치매환자의 인지 및 시-운동에 미치는 영향

        신선혜 ( Shin Sun Hye ),김한나 ( Kim Han Na ),전영 ( Jeon You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8 No.1

        서론 본 연구는 경도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수공예프로그램이 인지 및 시-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론 경도치매환자 16명을 실험군 8명, 대조군 8명으로 분류하여 대조군에는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실험군에는 일반적인 작업치료와 수공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8주 동안 주 1회로 한회기당 50분씩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 MOCA-K, TVMS를 사용하여 인지능력과 시-운동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MOCA-K 측정 결과, 두 그룹간의 유의미한 인지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 사전·사후 역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TVMS를 통해 검사한시-운동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그룹간의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각각의 그룹의 사전·사후의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수공예프로그램은 경도치매환자의 시-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공예프로그램 후에 시-운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s of the are and craft programmes on the cognitive and visual motor of mild dementia case. Methods : We devided 16 people of mild dementia into 8 people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8 people as a control group. We conducted general Occupation Therapy for Control group and, general Occupation Therapy and art and craft program for Experimental group. This program was conducted every week for 8 weeks. And it took 50 minutes per one experiment. We estimated the change of cognition ability and visual motor ability before program and after program using MOCA-K and TVMS. Results : MOCA-K measurement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o significant cognitive changes did not appear significant change in the pre and post test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visual motor skills a check through the TVM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of test and contro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re and post of each group. Conclusion : Art and Craft program is thought to be helpful in maintaining and improving visual motor of mild dementia. Therefore, I would suggest the art craft program for mild dementia.

      • KCI등재

        新羅 中古期 불교계의 동향과 僧政

        신선혜(Sin Sun-hye)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신라 중고기 불교계는 크게 세 차례의 변화를 겪는다. 그 시기는 眞興王代 僧官이 설치되는 시점, 眞平王代 大道署가 등장하는 시점. 그리고 善德, 眞德王代 慈藏의 승정 운영이 실시되는 시점이다. 먼저 진흥왕대에는 진흥왕 11년(550) 大書省 · 小書省이 설치되고, 다음 해에 중국 승관의 영향을 받은 國統 이하 維那 계통의 승관이 설치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진흥왕대를 아직 승관이 실질적 기능을 담당하지 않은 상황으로 설정하였다. 즉 승관은 승려에 대한 우대적인 방편임과 동시에 불교 弘通의 토대로서 설치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후 진평왕대에 이르기까지 신라 불교계는 확장되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大道署가 등장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당대 활동한 圓光의 행적에 주목하였다. 그는 梁 武帝時 家僧制와 같은 불교정책에 관한 정보를 당시 佛力을 왕실중심으로 끌어들이고자 하였던 진평왕에게 전해주었을 것으로 보이므로 신라에서도 家僧과 같은 존재가 있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결국 圓光 자신도 가승적 성격의 승려였고 이와 같은 가승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부로 大道署가 설치된 것이다. 신라 불교계는 진평왕대 이후 善德, 眞德王代에 이르면 진평왕대와는 다른 양상으로 확대된다. 이는 왕실의 범위를 넘어 승려, 귀족들이 佛事의 주체가 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견되는 사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후 승정에 관한 책임이 慈藏에게 전권 위임되는데, 이는 불교계의 통제가 王에 의해서가 아닌 비교적 승단 내 자율적인 방식으로 실행되기를 원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慈藏은 승정 운영의 방법으로 員管의 設置-僧官의 增置-라는 방식을 택하였는데, 이는 唐代 網統, 일본의 十師와 같은 성격을 가진다. 즉 당대 명망있는 고승을 선발하여 승단의 정비 및 승려의 교화를 목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일시적이나마 승단 내 자율적 운영을 실현하고자 한 제도였다. 결국 신라 중고기말에는 기존의 승관을 증치, 강화하는 방법으로 당대 승정을 운영하였다.

      • KCI등재

        신라 중고기 僧職의 설치와 僧團

        신선혜(Sin Sun Hye)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6 No.-

        신라 중고기 僧團의 양상에 대한 그간의 연구에서는 僧官이 僧團뿐 만 아니라 왕실과 교단의 관계, 불교 弘通의 역할에 이르기까지 신라 불교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보았다. 이에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보이는 일련의 僧官임명의 사례 이외에도 기록에 보이는 승직들을 승관으로 규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진흥왕대 승관 임명을 전후하여 보면, 실상 신라 불교계에서 非僧官승려 역시 두드러지는 활동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非僧官 승려는 소지왕대 內殿焚修僧, 법흥왕·진흥왕대에 道人등이 대표적인데, 이들은 승관 설치를 전후하여 승관보다 중요한 위치에 있거나 활동상이 더욱 빈번히 찾아진다. 한편 非僧官승직 중 大德은 진평왕대 뛰어난 戒行을 인정받은 智明에게 처음 수여되었는데, 이후 華嚴, 瑜伽등 특정한 敎義에 탁월한 이해를 갖춘 승려에게 주어져 신라 말까지 존속하였다. 그들은 僧官과 달리 표면적으로 왕에 의해 임명되는 절차를 거치는 것으로 보이나 실상 僧團의 필요에 의해 임명된 승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대덕은 慈藏의 활동시기에 이르면 그 직임이 僧官의 首位를 차지한 大國統에 부여됨으로써 국가의 입장에서는 계율에 따른 교단정비단행이라는 명분을 얻게 되었다. 이렇듯 非僧官승직은 僧團내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면서 때로는 僧官에 임명되어 국가와 僧團을 조율하는 역할을 하는 성격으로 존속하였다. In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aspects of the monk’s order(僧團)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illa,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僧官) has been considered as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Silla’s Buddhism not only engaging in the monk’s order, but also in 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the buddhist order(敎團) as well as in the promulgation of Buddhism. In this sense, not only the serial cases of nominated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 shown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or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but also the other recorded monk officials have been regarded as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 for discussion. However, the nomination processes of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 in the era of King Jinheung prove that in fact, not nominated as an official(非僧官) monks have performed conspicuous activities as well. Not nominated as an official(非僧官) are represented by Naejeonbunsuseung(內殿焚修僧) in the era of King Soji and by Doin(道人) in the era of King Beopheung and King Jinheung, whose positions became higher than those of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 or whose activities appeared more frequent around the time when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 was established. Meanwhile, Daedeok(大德), one of not nominated as an official(非僧官) monk, was granted for the first time to Jimyeong(智明) whose good understanding of religious precepts(戒行) was recognized as outstanding in the era of King Jinpyeong, and it existed until the end of the Silla era with being granted to the monks who have shown excellent understanding of specific teachings such as Hwaeom(華嚴) or Yuga(瑜伽). It is proven that differently from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 they seemed to be nominally appointed by the king while they were appointed actually by necessity of the monk’s order. In the meantime, the title Daedeok(大德), during the period of Jajang(慈藏), was granted to the rank Daeguktong(大國統) that was the highest rank among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 which was justified by the State as legitimate legitimacy of the buddhist order(敎團) restructuring based upon the religious precepts. In this way, not nominated as an official(非僧官) monk were playing crucial roles within the monk’s order and at times, were appointed as the monk’s government official, subsisting with coordinating func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monk’s order.

      • KCI등재

        『삼국유사』 편목 구성의 의미

        신선혜(Sin Sun Hye)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7 No.-

        본고는 『삼국유사』 피은편의 내용 분석과 아울러 『삼국유사』의 편목 설정 과정과 피은편의 설정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에 논의되지 않았던 중국 고승전류 외의 국내외 불교문헌 및 당대 불교계의 영향 등에 주목하였다. 먼저 피은편의 내용 분석을 통해 피은의 양상이 승려들의 수행을 위한 은둔, 피은 이외에도 晩年이 된 승려들의 入寂을 위한 사례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피은편은 수행자로서의 피은이라는 대전제하에 피은의 여러 양상을 보여주는 편목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 분석을 토대로 『삼국유사』의 편목 설정에 대한 『法苑珠林』의 영향을 상정해보았는데, 특히 『법원주림』의 편목명이 책의 백과사전적 성격 상 불교의 여러 주제를 포함할 수 있게 설정되었다는 점에서 『삼국유사』 편목명과의 영향관계를 상정하였다. 이는 『梁高僧傳』 亡身篇과 『續高僧傳』 遺身篇, 그리고 『法苑珠林』 捨身篇과 潛遁篇, 『三國遺事』 避隱篇을 비교함으로써 더욱 명확해진다. 즉 고승전류의 내용을 참고하고 반영한 『법원주림』은 『양고승전』 망신편의편목 의도를 반영하여 사신편을 설정하고, 『속고승전』에서 다뤄진 ‘명예를 버리는 수행’ 내지 ‘은둔을 통한 수행’의 내용은 별도로 잠둔편을 설정하여 구성하였다. 이는 기존 고승전류의 구성 내용을 모두 반영하고자 한 『법원주림』 찬자의 의도일 것이며, 『법원주림』을 접했을 일연은 그 편목 중 잠둔편을 취하여 피은편을 설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삼국유사』 피은편의 설정 의도는 『법원주림』잠둔편과 마찬가지로 은둔 승려들의 전기가 不在하게 됨을 경계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삼국유사』 편제에 영향을 준 국내외 문헌으로 『법원주림』 이외에도 慧諶의 『禪門拈頌』이나 天頙의 『湖山錄』 등을 상정할 수 있는데, 『삼국유사』가 이러한 여러 문헌들을 참고하여 쓰여진 만큼 그 성격 또한 단일하게 규정될 수 없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가 『삼국유사』 체제에 대한 종합적 이해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pter, entitled the ‘Pieun(避隱)’ in Samgukyusa(三國遺事),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book’s content, and the meaning of including a chapter named Pieun(避隱). The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the effect of old Chinese Buddhist monks’ tales, Buddhist books in and out of Korea, and other Buddhists of the time. First of all,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Pieu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Pieun’s such as a monk’s preparation for death in his later years, other than seclusion for training. In other words, the chapter entitled the ‘Pieun’ was to illustrate those various phenomena of Pieun, under the thesis that the Pieun describes monks’ seclusion for training.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is supposed that ‘Fayuanzhulin(法苑珠林)’ has a strong effect on Samgukyusa’s content, especially considering that Fayuanzhulin is like an encyclopedia covering hundreds of themes about Buddhism. This effect became even more apparent when comparing Lianggaosengchuan(梁高僧傳)’s ‘Mangshin(亡身)’ chapter, Xugaosengchuan(續高僧傳)’s ‘Yushin(遺身)’ chapter, and Fayuanzhulin’s ‘Sashin(捨身)’ and ‘Jamdun(潛遁)’ chapters with Samgukyusa’s chapter, the Pieun. When Ilyeon(一然) read Fayuanzhulin, he possibly drew upon the chapter, Jamdun, of the book and wrote a chapter with similar contents. In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writing the chapter, the ‘Pieun,’ was to avoid overlooking secluded monks’ biographies, like the ‘Jamdun’ chapter in Fayuanzhulin. Additionally, there were many other books which had an impact on the content of Samgukyusa aside from Fayuanzhulin, such as Hyesim(慧諶)’s ‘Seonmunyeumsong(禪門拈頌)’ and Chunchaek(天頙)’s ‘Hosanrok(湖山錄)’. Since Samgukyusa referred to various books during the process of compilation, the book’s characteristics cannot be summed up into one word. Thus, this study hopefull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Samgukyusa’s overall structure.

      • KCI등재

        동적 안정화 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 성능 및 자세조절 특성 분석

        신선혜(Sun Hye, Shin),김민주(Min joo, Kim),강승록(Seung-Rok, Kang),홍철운(Chul-Un Hong),권대규(Tae-Kyu Kwo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5 No.4

        체간 안정화는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척추 관절의 크고 미세한 움직임을 제어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척추의 불안정은 척추 주위 근육의 불균형을 야기하며, 근육의 불균형은 허리 통증과 자세 불안정을 야기한다. 안정화 운동은 몸통 근력을 강화하여 근육과 운동을 동시에 수축시키는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동적 자세균형 및 몸통 안정화 운동 장치의 자세 균형 반응 특성은 최근 척추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자세 불안정성의 결과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동적 자세균형을 유지하는 동안 시각 유무에 따른 뇌파 및 근활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면 상태는 바닥이 고정되어있는 안정된 상태, 반구형의 불안정한 상태, 인체가 3차원 공간에 떠 있는 동적인 상태이다. 20대 성인 남성 참가자들은 눈을 뜨거나 눈을 감은 상태에서 지면 조건에 따라 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10 초 동안 균형을 유지하였다. 이 때의 실시간 뇌파 및 근육 활동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뇌파 측정 부위는 F3, F4, C3, C4, Cz, P3, P4, POz였다. 외복사근(EO), 척추기립근(ES), 대퇴직근(RF), 대퇴이두근(BF), 전경골근(TA), 비복근(GA)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자세균형 유지 난이도는 불안정, 동적, 안정된 지면조건 순으로 더 높았고, 난이도가 높을수록 Cz와 POz 지역의 감마파 빈도가 높게 활성화 되었다. 또한, 불안정하고 안정된 지면 조건에서 발목 전략을 통한 자세제어로 인해 경골 근육 활동이 더 높은 반면, 동적 지상 조건에서는 몸통과하지 근육의 전반적인 근육 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runk stabilization is the ability of a person to control large or fine movements of the spinal joint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Unstability of the spine causes imbalance of the muscles around the spine, and muscle imbalance causes back pain and posture instability. Stabilization exercises are intended to recover the ability to simultaneously contract muscles and movements by enhancing trunk muscle strength. The postural balanc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ostural balance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devices have been recently increasingly important as a result of postural instability caused by unstability of the spin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EG and EMG when dynamic postural balance according to visual status is maintained. The ground condition was a stable state(stable) where the ground is fixed, a hemispherical unstable state(unstable), a dynamic state in which the human body stands on a three dimensional space(dynamic), and vision condition is classified into eye open (EO) and eye close (EC). Participants were kept balanced for 10 seconds in order not to shake the human body according to visual and surface conditions. Real-time EEG and muscular activiti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And EEG measurement sites were F3, F4, C3, C4, Cz, P3, P4, and POz. In addition, the muscles were measured by rectus abdominis (RA), external oblique (EO), erector spinae (ES), rectus femoris (RF), biceps femoris (BF), tibialis anterior (TA), and gastrocnemius (G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ural balance difficulty was higher in the order of unstable, dynamic, and stable ground, and the higher the difficulty level, the higher the gamma frequency of the Cz and POz regions was activated. In addition, in unstable and stable ground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the tibialis muscle activity was higher due to the posture control through the ankle strategy, while the overall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was increased in the dynamic ground condition.

      • KCI등재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

        신선혜(Sin, Sun Hye) 한국불교연구원 2019 불교연구 Vol.51 No.-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는 진성여왕대의 혼란상을 보여 주는 왕거인, 거타지 설화로 구성되어 있다. 두 사례에 설화적 요소가 다분한 만큼 이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국문학적으로 접근하였지 만, 진성여왕대의 사회상에 대한 보완자료로서 역사학적으로 연구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왕거인과 거타지를 각각 왕경의 상층민, 지방의 하층민으로 규정하여 본 조목이 진성여왕대 왕실에 대한 대내외적 반발을 상징한다고 보거나, 특히 거타지의 경우 지방의 토착 신앙 혹은 변질된 불교에 대비된 정통 불교 세력을 상징한다고 파악하 였는데, 이러한 시각들에는 왕거인이 大耶州의 隱者로 표현된 삼국사 기의 기록과 거타지가 良貝의 무리로서 왕권을 대변하는 존재라는 점에 주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즉 왕거인 설화는 해인사를 중심으로한 진성여왕대 왕실의 불교성향(혹은 불교정책)에 대한 大耶州 사람들의 반발을, 거타지 설화는 앞선 반발들에 대한 무마와 僧政의 문란 등에 대한 俗權의 개입을 정당화하고자 부정한 승려가 왕의 군사로 설정된 속권에 의해 처단된다는 내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진성여왕대의 왕실과 불교계에 대한 반발을 의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설화의 채록시기는 진성여왕대 이후로 생각되는데, 왕거인의 경우는 대야주의 후백제 함락 이후, 거타지의 경우는 왕건의 불교계 재편 시기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있다. 이와 함께 삼국유사에 두 설화가 채록된 것은 신라 불교의 고려 로의 연속성과 함께 고려초 불교계 재편의 의의를 부각시키기 위함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본 조목은 나말여초 시기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를 보여준다는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amguk Yusa(三國遺事) Queen Jinseong Geotaji(眞聖女大王 居陁知) Writings are consisted of tale of Wanggeoin(王居仁) and tale of Geotaji(居陁知). Since there were a lot of fantasy aspects in both of the cases, the early research was mainly made in the Korean literature perspective, but it was also researched historically as complementary data for the social aspect of Queen Jinseong. However, because the previous researches viewed Wanggeoin and Geotaji each as high-class and low-class, it viewed this writing as the opposition against the Queen Jinseong realm. Especially for Geotaji, it was identified as the traditional Buddhist power contrary to the spoiled Buddhism, but it showed limitation in that Wanggeoin was viewed disorderly as a hiding person of ‘Daeyaju (大耶州)’ in Samguk sagi(三國史記) and Geotaji was viewed as ‘Yangpae(良貝)’s group’ representing the king’s realm. Therefore, the Wanggeoin tale is an opposition against the Queen Jinseong realm’s Buddhistic approach by the ‘Daeyaju’ people, and the Geotaji tale is about the punishment of the corrupted monk in order to justify the involvement of secular arm against the corruption in the Buddhism religion. On the other hand, it is estimated that the recording period of these two tales should be after the time of Queen Jinseong since it intends for the opposition against the queen’s realm. So the time for the Wanggeoin tale is after the invasion of HuBaekjae(後百濟), and the time for the Geotaji tale is during the restructuring of Buddhism of King Wanggeon(王建). With this, the reason for the inclusion of the two tales in Samguk Yusa is to show the continuation of Silla(新羅) Buddhism to Goryeo(高麗), and the restructuring of Goryeo Buddhism. Therefore, we must approach this writing with the time period of late Silla and early Goryeo, and with the view that i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m religion and the country.

      • KCI등재

        『삼국유사』 효선편의 내용과 특징

        신선혜 ( Sin Sun Hye )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8 No.-

        효선편은 효행의 양상을 하나의 편목으로 엮은 최초의 기록이기 때문에 『삼국유사』 내 다른 편목에 비해 적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불교적 효에 대한 논의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 신라 및 고려에서는 유-불 공존을 통해 사상계가 발전했다는 점에서 효선편 내용에 대한 분석과 편목 설정의 배경에 대한 논의를 재고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진정사효선쌍미」조에서는 雙美의 의미가 자식의 봉양에 대한 부모의 따름을 함께 지칭했다는 점을 밝히고, 「대성효이세부모」조에서는 불교적 효가 전생과 현생의 부모를 모두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말하고자 했음을 살폈다. 「향득사지할고공친」조에서는 불교적 효가 극단적인 희생적 효행을 경계하고자 했음에 주목하였다. 이는 「손순매아」조에서도 이어지는데, 효를 위해 자식을 희생하려 했던 손순의 행위를 석종이라는 상징물을 통해 경계한 것이 결국 사찰 창건으로 회향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빈녀양모」조에서는 불교적 효는 자식의 일방적 부모 봉양에만 한정되지 않음에 주목하여 첫 조목과 ‘雙美’의 관점에서 수미상관을 이루었다고 보았다. 효선편은 효행담이 하나의 편목으로 구성된 첫 문헌인 만큼 편목 설정의 배경과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효선편은 도세의 『법원주림』이 구성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주었는데, 이 문헌이 유교적 세계관에 대한 불교적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찬술되었다는 점도 효선편 이해에 단초를 제시해주었다. 한편 효선편에 수록된 효행담이 신라 중대 이후 형성되었고, 주체가 모두 재가자라는 점에서 재가신도의 비중과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그들의 일상생활 속 윤리로서 효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을 것임을 상정해보았다. 그들의 계율에 대한 이해도 역시 높아짐에 따라 割股나 埋兒와 같은 행위가 효의 관점에서는 계율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점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이 효선편 효행담의 형성 배경이 되었다고 파악하였다. 이렇듯 효선편은 불교적 효의 확장적이고 다중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편제된 편목이라 할 수 있다. Since the sectio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is the first record to compile aspects of filial piety into one category, it occupies a small amount compared to other categories in the Samkuk Yusa but it is a category that cannot be neglected as it can be sai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s on Buddhist filial piety. In Silla and Goryeo,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sectio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and the discussion on the background of category setting in that the ideological world developed through the coexist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ccordingly, in the ‘Jinjeongsa-Hyoseon-Ssangmi(眞定師孝善雙美)’, it is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Ssangmi (雙美) refers to the obedience of parents to the support of their children and in the ‘Daeseonghyo-Isebumo(大城孝二世父母)’, it was examined whether Buddhist filial piety was said to be the object of both the parent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n ‘Hyangdeugsaji-halgogongchin(向得舍知割股供親), it was noted that Buddhist filial piety was to be wary of extreme sacrificial filial piety. This is continued in ‘Sonsunmaea(孫順埋兒)’,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the act of Son-soon (孫順), who tried to sacrifice his child for filial piety, was warned through a stone-made bell, was ultimately remembered as the founding of the temple. Lastly, the ‘Binnyeo-Yangmo (貧女養母)’, points out that Buddhist filial piety is not limited to the unilateral support of the child's parents. By noting this point, from the point of view of ‘Ssangmi (雙美)’, it was considered that this was correlated with the first item. As the sectio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is the first document in which the story of filial piety consists of one category,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category setting. It is confirmed the fact that the sectio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was influenced by Do-se’s ‘Beobwon-Julim (法苑珠林)’ in terms of composition, the fact that ‘Beobwon-Julim’ was written from the point of view of a Buddhist response to the Confucian worldview also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sectio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On the other hand, the story of filial piety recorded in the sectio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was formed after the middle of Silla, and the main characters of the story of filial piety are all lay people. Therefore, it was hypothesized that as the status of lay believers increased, interest in filial piety as an ethics in their daily life would have increased. As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ecepts also increased, it became possible to understand that actions such as cutting one's own flesh or burying a child do not violate the precepts from the point of view of filial piety, which was understood that this was the background for the formation of the filial piety story in the sectio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As such, the sectio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is a category organized to emphasize the expansive and multiple meanings of Buddhist filial p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