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의 데이터베이스 리버스 엔지니어링

        신광철,이춘열,Shin, Kwang-chul,Lee, Choon Y.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5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매우 밀접한 비즈니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을 소형 경량 서비스로 분할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민첩성, 개발 생산성, 신뢰성, 배포 용이성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바라보는 데이터베이스는 단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출하는 파일 혹은 스토리지이며, 소프트웨어 개발 편리성과 확장성을 위해서 데이터 품질은 희생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데이터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리버스 엔지니어링은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데이터 품질을 경시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리버스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링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해결책으로써 개념 데이터 모델 복원 시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리버스 엔지니어링 방법을 제안한다. 적용 사례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로 구현된 반품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제안 방법을 구현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Microservice architecture focuses on dividing it into small and lightweight services to buil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very close business functions. So it tends to concentrate only on agility, productivity, reliability, and ease of deployment of software development. Microservice architecture considers database as just a file or storage for storing and extracting data, emphasizing that data quality can be sacrificed for convenience and scalability of software development. Database reverse engineering for understanding database structure and data semantics is needed for data utilization for business decision making. However, it is difficult that reverse database engineering is applied in microservice architecture that neglects data quality. This study proposes database reverse engineering method that utilizes master data to restore the conceptual data model as a solution.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return service database implemented by microservice architecture and verified its applicability.

      • KCI등재

        치근단절제시 노출된 상아세관의 밀폐효과에 대한 Nd : YAG 레이저의 효과

        신광철,홍찬의,Shin, Kwang-Chul,Hong, Chan-Ui 대한치과보존학회 199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1 No.1

        If root and resection is done during surgical endodontic treatment, newly exposed dentinal tubules form pathways between the canal and the peripheral tissue. Nd : YAG laser was used to block this phenomenon, and its effect was studied with dye penetration and SEM techniques. 40 intact single rooted teeth were divided into 4 groups(10 each) : control group and test groups, in which retrograde cavity surface, cutting surface, retrograde cavity surface & cutting surface were treated with laser(1 watt 15pps) and finally retrograde filling with IRM was conducted. After that, they were stained with 2 % methylene blue, sectioned and evaluated by the maximum infiltration depth. And to observe surface change, they were prepared for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microleakage with variation in amount. 2. The 2nd group which treated both the retrograde cavity and cutting surface showed significantly less microleakage than the other groups(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reated on one side only. 3. As a result of SEM observation of dentin surface, obstruction of dentinal tubules with marble shaped granules, which were different from normal dentin could be seen. Cracks could be seen also. 4. In summary of this experiment, it is thought that effort to obstruct the exposed dentinal tubules as well as retrograde cavity after root end resection is need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기독교민속론의 가능성에 대한 종교학적 탐구

        신광철 ( Kwang Cheol Shin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최근 한국 민속학계의 논의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 가운데 하나가 ‘한국 종교민속연구회’가 주도하고 있는 ‘종교민속론’이다. 종교민속론 중에서도 새로운 시도로 주목되는 것이 ‘기독교민속론’이다. 기독교민속론은 한국기독교의 정체성을 논하는 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독교민속론은 기독교 신자들의 믿음과 관련된 의례나 행태를 있는 그대로 기술함으로써, 그들의 신앙의식의 구조를 서술해내는 작업이다. 기독교민속론은 기독교사와 민속학이 어우러지는 지점에서 의미가 형성되는 담론이다. 한국기독교인들의 독특한 신앙행태와 신앙의례는 나름의 역사적 맥락을 통해 축적된 현상이다. 그 현상을 기술하고 의의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기독교사, 한국종교사, 민속학 및 인류학의 학제간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recent discourses noteworthy in Korean folklore field is ‘the religious folklore theories’, especially ‘Christian folklore theories’ suggested by ‘the research group of Korean religious folklore theories’. Christian folklore theor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iscussions about the identity of Korean Christianity. Christian folklore theories describe the structure of Christians’ faith consciousness by narrating ritual and behavior linked to their faith as they are. Christian folklore theories are discourses which form system of meaning by encompassing Christian history and folklore. The uniqueness of Korean Christians’ faith and rite aspects is a phenomenon accumulated in their own historical context. We have to make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among Christian history, the history of Korean religions, folklore, and anthropology in order to describe and catch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 남부전선의 지휘관과 군사편제

        신광철(Shin, Kwangcheol)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4 No.-

        필자는 그간 한강유역의 고구려 보루 및 북한과 중국 경내의 고구려 성곽, 영세하지만 귀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는 몇몇 문헌사료를 토대로 고구려 후기의 군사전략 및 군사역량을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집필된 것으로서, 『翰苑』「蕃夷部」〈高麗記〉의 고구려 군사편제 기록과 관련하여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인식에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더불어 문헌에 기재된 고구려 무관직과 고고자료와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고구려 후기 군사편제가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보다 구체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기존 학계에서는 『翰苑』「蕃夷部」〈高麗記〉가 고구려사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임을 인정하여 여러 방면에서 이를 활용해 왔다. 특히, 고구려 후기 관등 및 관직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실려 있어 고구려 후기의 정치조직 및 군사편제 뿐만 아니라 지방통치체제, 당시 사회상 등을 연구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되었는데, 문헌에 기재된 소략한 정보만 갖고 고구려 후기 군사편제의 면모를 정확하게 살펴보는 것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는‘末若’의 위상 및 편제에 대한 異見이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는데, ‘말약’이 어떻게 해석되느냐에 따라 고구려 후기 군사편제 및 지방통치체제에 대한 전체적인 시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는 민감한 사항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고민이 많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견해 차이를 고고자료를 통해 새로운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경기도 및 서울 일대의 고구려 관방유적을 토대로 고구려 남부전선의 관방체계를 살펴보고, 이를 『한원』에 나오는 고구려 후기 무관직과 연결시켜, 고구려 후기 남부전선의 군사편제를 복원하였다. 그중 논란이 되고 있는 ‘말약’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중심으로 고구려 후기 남부전선의 지휘계통에 대해 再考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고구려 남부전선의 지휘계통에 대해서 어느 정도 밑그림을 그릴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여 고구려 후기 지방통치체제를 이해하는데 일조를 담당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더불어 추후 이를 북한 및 중국 경내의 고구려 성곽에 적용한다면, 고구려의 지방통치체제 및 국가전략을 살펴보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라 판단하며, 본고는 그를 위한 사전 준비 작업임을 미리 밝히고자 한다. I have recently been engaged in efforts, by analysis of such evidence as Goguryeo forts on the Han River, remnants of Goguryeo fortresses in North Korea and China, and fragmented yet valuable textual records; in order to bring to light clues that will uncover a coherent picture of military strategy and capabilities during late Goguryeo; efforts that came to fruition in the form of this treatise. The treatise raises questions on present and general notions in connection with records on the Goguryeo military as they appear in the Records of Gaoli(高麗記), within the Barbarian Chapter(蕃夷部) of the Hanyuan(翰苑). In addition, I seek to identify, if any, connections between titles of military officers of Goguryeo in the textual record and present archeological data. The historical academia has hitherto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the Hanyuan, and the Records of Gaoli(Goguryeo) in the Barbarian Chapter,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research on Goguryeo history. The Hanyuan’s detailed list of bureaucratic ranks and titles from the later part of Goguryeo history provided invaluable and useful information for research on Goguryeo regional governance and society at the time. Yet the description of the military is intermittent at best, which poses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an accurate description of late Goguryeo military organization. Such difficulties are highlighted by the dispute, for example, surrounding the status and positioning of the mal-yak, or moruo(末若). A very delicate issue, given that even a slight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term can alter radically the views on late Goguryeo military organization and regional governance. But the lack of concern regarding this issue in previous studies is surprising. This treatise seeks to scrutinize anew the opposing viewpoints through the use of archeological data. This study begins with an observation of Goguryeo’s defense network on the southern frontier based on forts and defense facilities in Gyeonggi-do and Seoul. A connection is then made with late Goguryeo military titles as listed in the Han Yuan, followed by a reconstruction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in Goguryeo’s southern defensive frontier. A new perspective is offered concerning the hotly-disputed nature of mal-yak, which becomes a key element in the re-evaluation of late Goguryeo military organization in general. It is my firm belief that efforts above can provide the basis for outlining Goguryeo’s military chain of command and facilitat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of regional governance in late Goguryeo. Applying these findings toward what we know about Goguryeo fortresses in North Korea and China would greatly enhance our subsequent investigation of Goguryeo’s regional governance and national security; this treatise will constitute the initial, preparatory phase of the research in that direction.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신종교와 신종교학

        신광철 ( Kwang-cheol Shin ) 한국신종교학회 2021 신종교연구 Vol.45 No.-

        코로나19 펜데믹은 종교의 지향에 대한 전면적 성찰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신종교학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신종교와 신종교학”을 주제로 학술적 토론의 장(場)을 열었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신종교학회의 이러한 학술적 성과를 갈무리하여 현재적 지점을 진단하고 미래적 전망을 시도함에 있다. 이 글에서는 ‘신종교연구’ 44집을 통해 갈무리된 학술적 성과를 중심으로 이러한 진단과 전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진단과 전망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 신종교학”이 ‘다시 개벽의 신종교’, ‘공공성의 신종교’를 연구 주제로 삼아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지금 한국의 신종교계는 ‘재난 거버넌스’라는 공통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종교는 ‘공공적 배려’의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신종교학은 그러한 ‘공공적 배려’를 위한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지향점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비대면’이 강제된 현실 속에서 ‘공공적 배려’를 통해 이웃들의 진정한 얼굴을 따뜻하게 보고 보듬을 수 있을 ‘공공성의 신종교학’이 절실한 시점이다. The COVID-19 pandemic is calling for a full reflection on the orientation of religion. At this point,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opened an academic discussion on the topic of “New Religion and Research on New Religions in the Post-Corona Er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agnose present points and attempt future prospects through thes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In this article, these diagnoses and prospects were carried out focus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that had been divided through the 44th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Through these diagnoses and prospects, it was concluded that ‘Research on New Religions in the Post-Corona Era’ should focus on ‘new religions of Gaebyeok again’ and ‘new religions of the public nature’ as research subjects. Currently, the new religious community in Korea is facing a common task of ‘disaster governance’. In this situation, the new religion should become an active ‘subject’ of ‘public consideration’. The study of new religions should present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direction for such ‘public consideration’. In a reality where ‘non-face-to-face’ is forced, ‘a new Research on New Religions of public nature’ that can warmly see and care for the true faces of neighbors through ‘public consideration’ is urgently needed.

      • KCI등재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

        신광철(Shin, Kwang-Cheol)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9

        코로나19는 인류가 지금까지 살아온 방식을 전면적으로 되돌아보게 만들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이제 ‘WC(With Corona)’ 시대임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위드 코로나’ 국면에서의 문화콘텐츠의 현재적 상황을 진단하였다. 둘째, 이러한 진단 내용을 토대로,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콘텐츠의 향배를 전망해 보았다. 셋째, 이러한 진단과 전망을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코로나 국면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문화콘텐츠 분야는 영화와 공연이다. 코로나19로 인하여 극장이 잠정적으로 폐쇄되거나 제한적으로 운영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영화의 전통적인 존재론에 대하여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만들었다. 전형적인 대면 콘텐츠인 공연예술 분야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비대면 · 비접촉이라는 제한적 조건 속에서,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비대면 공연문화’가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비대면 공연은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야기된 이러한 변화는 전후의 삶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내는 요인이 되었다. ‘뉴노멀’ 내지는 ‘뉴타입’에 대한 주목은 이러한 맥락과 연관되어 있다. 올드타입이 ‘문제해결형’이라면, 뉴타입은 ‘문제발견형’, 나아가 ‘문제창안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로 가장 큰 충격을 받은 분야 중 하나가 교육이다. 현장 학습과 실습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문화콘텐츠학과의 사정은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에서의 ‘온라인 강의’는 더 이상 단순한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티칭’에서 ‘러닝’으로, 나아가 ‘코칭’으로 교육의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문화콘텐츠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공동의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문화콘텐츠 교육에서, 특별히 ‘콘텐츠 리터러시 교육’과 ‘콘텐츠 크리에이터 양성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미래 사회와 문화의 모습을 예측하고, 미래 사회에서의 콘텐츠에 대한 기획력을 높이는 실제적인 교육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문화콘텐츠 교육의 목표를 ‘문제발견형’ 및 ‘문제창안형’ 뉴타입의 인재 양성에 두어야 할 것이다. Covid19 made us look back on the way mankind has lived. With the prolonged Covid19, it is now a situation to keep in mind that it is the ‘WC(with Covid19)’ er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ultural content education in the era of with/post Covid19.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conducted.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with Covid19’ phase was diagnosed. Second, based on this diagnosis, I predicted the direc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era of ‘with/post Covid19’. Third, through this diagnosis and prospect, the direction of cultural content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was sought. The cultural contents sector that has been hit hardest in the Covid19 phase is movies and performances. Due to Covid19, the theater was temporarily closed or operated on a limited basis. This situation has led to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traditional form of film. The performing arts field, which is a typical face-to-face content, was seriously hit by Covid19. In the limited conditions of ‘non-face-to-face’ and ‘non-contact’, ‘non-face-to-face performance culture’ based on an online platform emerged as an alternative. Non-face-to-face performances have shown potential in the entertainment field. These changes caused by Covid19 became a factor that led to reflection on life before and after. The attention to ‘new normal’ or ‘new type’ is related to this context. If the old type is ‘problem-solving’, the new type can be called ‘problem-discovery’ and even ‘problem-creating’. One of the areas most shocked by Covid19 is education. It is a more difficult situation for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where field trips and practice are important. ‘Online lectures’ at universities in the post-Covid19 era are no longer just a matter of choice. We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rom ‘teaching’ to ‘learning’ and further to ‘coaching’. It is necessary to find a common solution by establishing a ‘cultural content education network’. In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n particular, ‘content literacy education’ and ‘content creator training programs’ can be shared. Practical education should also be provided to predict the future society and culture and to increase planning power for content in the future society. The goal of cultural content education should be to cultivate new types of talents with ‘problem discovery’ and ‘problem cre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강원도 말갈과 고구려의 南進

        신광철(Shin, Kwang cheol) 한국상고사학회 2019 한국상고사학보 Vol.105 No.105

        말갈은 한국 고대사에 있어 중요한 존재인 만큼,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그 실체에 대해서는 異見이 많다.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견해들이 나온 이유로는 말갈 관련 기록의 소략, 문헌사학과 고고학간의 괴리, 관련 기록이 여러 문헌에서 산발적으로 파악되는 양상 등을 꼽을 수 있다. ‘가야’를 비롯해 소위 ‘영산강세력’ 등 『三國史記』에 단편적으로 등장하는 여타 정치체와 마찬가지로 말갈 역시 자체 기록을 남기지 못했지만, 三國과 관련하여 문헌에 등장하는 빈도수는 압도적으로 많다. 하지만 말갈의 존재를 증명해줄만한 뚜렷한 고고자료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기록의 부재를 고고자료가 충분히 메워주고 있는 가야·영산강세력과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밖에 말갈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에 혼선을 주는 요인으로는 여러 문헌에 말갈의 단편적인 흔적들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말갈 관련 문헌기사를 통해 말갈의 특징을 짚어낸 뒤 이를 지역별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4세기 후반 이후 고구려의 南進 결과 ‘당연히’ 고구려의 영토로 인식되어 온 ‘강원도’ 지역의 말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황해·경기도 지역의 말갈이 백제 건국 초부터 相爭을 거듭했던 것과 달리 강원도 지역의 말갈은 처음부터 고구려에 귀속되어 고구려 멸망기까지 행동을 같이 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에 강원도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고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기존의 말갈 인식을 재검토하고 ‘강원도 말갈’의 정체성 및 고구려와의 遭遇 이후 말갈 사회의 변화 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conducted on Mòhé(靺鞨) that is considered as one of significant powers in Korean history. Despite several years of researches,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The reasons for that are inattentiveness of record regarding Mòhé, disjunction between literature and archaeology and sporadic records in various literatures. Mòhé do not have their own records in literatures. There were, however, many records related to Three Kingdoms. Unfortunately there have not been obvious archaeological evidences of Mòhé unlike Gaya and so-called Yeongsangang power that have enough archaeological materials to compensate the absence of literature. On this study, I identified the features of Mòhé first through literatures and divided them by regions thereafter. Next I examined Mòhé in ‘Gangwon-do Province’ that considered as ‘obvious’ territory of Goguryeo after its southward expansion in the 4th century. It is very remarkable that Mòhé in Gangwon-do Province belonged to Goguryeo from the first and joined in with Goguryeo until its fall. This movement was very different from Mòhé in Hwanghae-do and Gyeonggi-do Provinces that kept fighting with Baekje from its birth. Accordingly, I reconsidered existing understanding of Mòhé by checking archaeological materials in Gangwon-do Province and briefly examined the identity of ‘Mòhé people in Gangwon-do Province’ and changes of Mòhé society after southward expansion of Gogury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