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일상식이를 섭취하는 일부 농촌 성인 남녀의 식이, 혈액 및 뇨중의 납, 철분, 구리 수준

        승정자(Chung-Ja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6

        본 연구에서는 일상식이를 섭취하는 한국인들의 납, 철분, 구리의 수준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농촌지역의 정상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식이섭취량, 혈청수준 및 24시간 뇨중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과 혈압은 남자 대상자들은 각각 45.8±11.1세, 117.5±22.2/80.8±15.6mmHg였으며 여자 대상자들은 각각 41.9±11.0세, 110.0±11.9/73.9±8.5mmHg였다. 평균 BMI, Rohrer index, skinfold thickness는 남자 대상자들은 각각 22.0±2.3, 131.8±14.8, 12.4±5.9㎜였으며 여자 대상자들은 각각 23.1±3.0, 142.4±20.2, 25.3±7.4㎜였다. 1일 평균 납, 철분, 구리 섭취량은 남자 대상자들의 경우는 각각 277.2±111.2㎍/day였으며, 여자 대상자들의 경우는 각각 192.0±72.4㎍/day, 13.3±5.8㎎/day, 3.7±1.7㎎/day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혈청 납, 철분, 구리 농도를 보면, 남자 대상자들의 경우는 각각 11.0±2.0㎍/dl, 131.1±42.6㎍/dl, 120.3±25.7㎍/dl였으며, 여자 대상자들의 경우는 각각 9.0±1.2㎍/dl, 112.2±35.7㎍/dl, 117.3±17.9㎍/dl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24시간 뇨중 평균 납, 철분, 구리 배설함량을 보면 남자 대상자들의 경우는 각각 36.5±10.0㎍/day, 0.16±0.12㎎/day, 0.06±0.02㎎/day였으며, 여자 대상자들의 경우는 각각 25.3±11.0㎍/day, 0.24±0.20㎎/day, 0.07±0.03㎎/day였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조사대상자가 일상식이를 통해 섭취하고 있는 납 섭취수준이 혈청과 뇨중 철분, 구리, 납수준에 미친 영향이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앞으로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될 현 시점에서 납과 같은 중금속 중독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선 일상식이중 납, 철분, 구리의 섭취량을 반복해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intake level of Pb, Fe, Cu in rural area of Korea (12 males and 18 females). Analyses for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record, duplicated diet collections, 24-hour urine collections, and venous blood sampling before measuring of blood pressure. The mean age and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ere 45.8±11.1years and 117.5±22.2/80.8±15.6mmHg in males, and 41.9±11.0years, 110.0±11.9/73.9±8.5mmHg in females, respectively. In respect to both males and females, mean BMI were 22.0±2.3, 23.1±3.0, mean Rohrer index were 131.8±14.8, 142.4±20.2 and mean skinfold thickness were 12.4±5.9㎜, 25.3±7.4㎜, respectively. The daily mean intakes of Pb, Fe, and Cu estimated for 3 days were 277.2±111.2㎍/day, 12.7±7.6㎎/day, and 3.0±1.4㎎/day in males and 192.0±72.4㎍/day, 13.3±5.8㎎/day, and 3.7±1.7㎎/day in females,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s of serum Pb, Fe, Cu were 11.0±2.0㎍/dl, 131.1 ±42.6㎍/dl, 120.3±25.7㎍/dl in males and 9.0±1.2㎍/dl, 112.2±35.9㎍/dl, 117.3±17. 9㎍/dl in females, respectively. The mean levels of Hb and Hct were 15.1±1.1g/dl, 45.2±3.3% in males and 13.1 ±o.8g/dl, 39.8±2.6% in females, respectively. The 24-hour urinary excretions of Pb, Fe, Cu were 35.5±10.0㎍/day, 0.16±0.12㎎/day, 60.12±0.02㎍/day in males, and 25.3±11.0㎍/day, 0.24±0.20㎎/day, 70.07±0.03㎍/day in femal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Pb intake in self selected diet of this subjects was not in the level that antagonized to Fe and Cu metabolism seriousl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 공급에 따른 소변 중 이소플라본 배설량 변화에 관한 연구

        승정자(Chung-Ja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6

        이소플라본의 섭취량 측정방법에서 식품중 함량분석이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식이섭취조사 이외에도 소변을 통한 분석방법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3개월간 이소플라본 90mg을 함유한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을 매일 1회씩 섭취하도록 하고, 실험전과 실험 후반 3일간의 식이섭취조사와 1일간의 24시간 소변을 수집하여 소변으로의 이소플라본 배설량을 측정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26명의 평균 연령은 64.2세였으며, 신장은 149.6 cm이었고,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각각 58.1 kg, 25.9 kg/㎡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실험 전 열량 섭취량은 1일 평균 1337.5 kcal였으며, 이소플라본 공급기간 중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의 섭취량은 실험전 1일 평균 56.9 g으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이소플라본 공급 중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외에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C를 제외한 지질, 당질, 비타민, 무기질의 섭취량에 있어서도 실험 전과 실험 기간중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상식이중 총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25.3 mg이었으며, 이중 다이드제인이 11.8 mg, 제니스테인이 13.5 mg이었다. 이소플라본 공급 기간(90 mg/ day)중일상 식이를 통한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21.5 mg으로 실험전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소플라본 공급전의 24시간 소변중 이소플라본(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합) 배설량은 8.4 mg이었으며, 이소플라본 섭취량의 15.8%가 비례적으로 소변을 통하여 배설되었다. 매일 90 mg의 이소플라본을 공급(90 mg/day)한 3개월 후에는 13.9 mg으로 공급전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24시간 소변을 통한 이소플라본 배설량 특히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측정은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가 수가 적고 실험기간과 공급수준의 다양성이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좀더 많은 인원수를 대상으로 기간과 섭취수준을 달리하는 등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well known that soy isoflavones play beneficial roles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such as breast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 and osteoporosis. However current data are not sufficient for estimating the level of isoflavone intake. To use the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as a maker of isoflavone intake, 26 participants consu- med the isoflavone extract capsule (90 mg soy isoplavones/capsule) daily for 3 months. The study compared effects of pre- and post-isoflavone supplement in the following parameters; physical examination, dietary recalls, and urinary isoflavon excretion. The average age, height and weight were 65.7 years, 149.4 cm, and 57.3 kg. Subjects maintained regular diet pattern, and average daily nutrient intakes between pre- and post- supplement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vitamin A, carotene and vitamin 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supplementation in terms of daily isoflavone intake. The basal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was 8.37 mg/day (daidzein 6.23 mg, genistein 2.14 mg), and average daily excretion rate was 15.8%.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soflavone supplementation for 3 months as compared the basal level (p<0.01). Our data suggest that urinary isoflavone level, especially daidzein and genistein, may be a useful maker to estimate isoflavone intak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칼슘의 섭취수준이 암쥐의 체내 철분이용에 미치는 영향

        승정자(Chung-Ja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5 No.6

        칼슘의 섭취수준이 체내 철분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후 4주된 암쥐를 대상으로 요구량의 50%, 100%, 200% 수준의 식이 칼슘을 3주간 공급한 후 헤모글로빈 함량, 헤마토크릿, 혈청과 조직의 칼슘과 철분 함량, 칼슘과 철분 평형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량, 사료 효율, 헤모글로빈 함량, 헤마토크릿, 혈청과 조직의 칼슘과 철분 함량은 칼슘 섭취수준에 따른 각 군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고칼슘군의 신장 칼슘 함량은 저칼슘군이나 적정칼슘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칼슘의 섭취수준 증가에 따라 소변과 대변을 통한 칼슘 배설량과 칼슘 보유량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p<0.01, p<0.001) 칼슘 보유율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철분 섭취량은 칼슘 섭취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어(p<0.001) 적정 칼슘군이 저칼슘군과 고칼슘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소변과 대변을 통한 철분 배설량도 칼슘 섭취수준에 따른 영향을 받아(p<0.01, p<0.05) 저칼슘군의 철분 배설량이 적정 칼슘군이나 고칼슘군 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철분의 섭취량, 소변과 대변을 통한 배설량으로 산출한 철분의 보유량, 보유율은 칼슘의 섭취수준에 따른 각 군별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p<0.05, p<0.05) 고칼슘군이 저칼슘군이나 적정 칼슘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요구량의 2배 정도의 칼슘 섭취수준에서 칼슘의 체내 보유량은 증가하지만 철분의 평형은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칼슘보충제의 섭취시에는 칼슘이외의 다른 무기질의 상호작용에 의한 변화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effect of dietary calcium levels, 50%, 100%, and 200% of requirement, on iron utilization was evaluated in 30 Sprague-Dawley female rats by use of balance study for 3 week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hemoglobin level, hematocrit, calcium and iron levels in serum and tissues across the groups supplemented different calcium levels. Calcium content in kidney of high-calciu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Urinary and fecal calcium excretions increased as the level of dietary calcium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calcium, daily calcium retention was accelerated, but daily calcium retention rate was diminished. Iron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equate-calcium group than that in low-calcium or high-calcium group. Urinary and fecal iron excre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low-calcium group than those in adequate-calcium or high-calcium group. Apparent retention and retention rate estimated by intake, urinary and fecal excretions of ir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igh-calcium group than those in low-calcium or adequate-calcium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king dietary calcium supplements reduce the absorption of dietary iro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일부 여대생의 혈청, 소변, 두발, 손톱 중의 아연, 구리, 망간, 니켈 함량에 관한 연구

        승정자(Chung-Ja Sung),윤영화(Young-Hwa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미량무기질의 시료별 함량과 이들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1~26세 사이의 건강한 여대생 50명을 대상으로 식이섭취를 조사하고 혈액, 24시간 소변, 두발 및 손톱을 채취하여 필수 미량원소인 아연, 구리, 망간, 니켈의 함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상태는 열량(88.5%), 비타민 B2(86.1%)와 무기질인 칼슘(75.4%), 철분(58.3%)의 섭취가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열량에 대한 3대 영양소 구성비율에서도 지질의 섭취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 균형잡힌 영양소 섭취가 요구된다. 연구 대상자의 아연, 구리, 망간, 니켈의 1일 평균 섭취량은 각각 7.56 mg, 2.30 mg, 3.81 mg, 0.18 mg으로 아연의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63.0%로 섭취가 부족되므로 이에 대한 보충섭취가 필요하다. 구리와 망간은 미국의 안전적정 섭취 범위에 속하여 섭취량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소변, 두발과 손톱 중의 아연 함량은 85.6 μg/dL, 391.2μg/day, 174.6 μg/g, 102.4 μg/g으로 나타났으며, 구리의 함량은 84.2 μg/dL, 56.6 μg/day, 20.3 μg/g, 4.3 μg/g, 망간은 0.2 μg/dL, 1.1 μg/day, 1.8 μg/g, 1.6 μg/g, 니켈의 함량은 0.6 μg/dL, 24.5 μg/day, 3.5 μg/g, 3.1 μg/g으로 나타났다. 시료별 아연, 구리, 망간, 니켈 함량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망간의 섭취량은 두발의 망간 함량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었으며 니켈의 섭취량은 소변중의 니켈 배설량(p<0.05), 두발의 니켈 함량(p<0.001)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연과 구리는 시료내에서 유의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여대생들은 다른 영양소 섭취량에 비해 무기질의 섭취량이 크게 부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에 대하여 급원식품등을 이용한 보충 섭취가 필요하고, 각 시료는 장단기별 영양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들 미량 무기질의 시료별 함량 기준과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 the Zn, Cu, Mn and Ni status and correlation of their concen-trations in serum, urine, hair and fingernail in female college students. As the results are follows;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22.5 years and height, weight and BMI were 160.1 cm, 51.0 kg and 20.0 respectively. The daily intake of energy 1769.5 kcal and the ratio of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for energy is 60 : 20 : 15. The daily intake of energy (88.5%), vitamin B2 (86.1%), Ca (75.4%), Fe (58.3%) and Zn (63.0%) of subjects did not reach to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The daily mean intake of Zn, Cu, Mn and Ni were 7.56 mg, 2.30 mg, 3.81 mg and 0.18 mg respectively. The concentarions of Zn in serum, urine, hair and nail were 85.6 μg/dL, 391.2 μg/ day, 174.6 μg/g and 102.4 μg/g respectively and those of Cu were 84.2 μg/dL, 56.6 μg/day, 20.3 μg/g and 4.3 μg/g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Mn in serum, urine, hair and nail were 0.2 μg/dL, 1.1 μg/day, 1.8 μg/g and 1.6 μg/g respectively and those of Ni were 0.6 μg/dL, 24.5 μg/day, 3.5 μg/ g and 3.1 μg/g re-spectively. The daily intake of M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ncentration of Mn in hair (p<0.05) and the daily intake of N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urinary excretion (p<0.05) and hair contents (p<0.001) of Ni. The more detailed studies about these trace mineral status should be requir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