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가족 자녀에 관한 가족관련법의 과제

        송효진 ( Song Hyojean ),안소영 ( An Soyoung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6 아세아여성법학 Vol.19 No.-

        다문화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국제결혼은 감소하였지만 다문화가족지원법상의 다문화가족의 자녀, 중도입국자녀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를 법제도가 예상하지 못하여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중도입국자녀의 입양과 파양, 다문화가족의 해체에 대해서도 현행 법제도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자녀에 관한 가족관련 법제 현황을 살펴보고, 다문화가족의 변화와 해체에 따른 자녀보호 문제, 중도입국자녀의 입양 및 파양, 다문화가족 내에서의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으로 쟁점을 나누어 이를 둘러싼 법제도의 문제점을 논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Amid the advancement of multicultural features in our society, while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been declining, the number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born children are increasing. Nevertheless, the legal system fails to expect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and to provide appropriate protection and support. The current legal system reveals problems with regard to adoption and dissolution of adoption as well. With regard to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review of relevant laws, issues and improvement tasks are identified; and reflecting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 measure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 Protection of children in the case of divorces in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divorce, many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troubled about playing the role of parents, finding difficulties in cultural difference, language, rearing and educating children. There even occur such cases where immigrants by marriage are not willing to exercise visitation rights due t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vorc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blem of secretly abducting children and taking them to home country for fear of not being designated as the person with the right to foster occurs. This study propose measures for prevention and solution of child dispossession and the applicable provisions on strengthening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crisis before and after divorce. b. Protection of foreign-born children in terms of adoption and dissolution of adoption Since the breakup of a multicultural family directly leads to dissolution of adoption, special protection for the child is required. The enactment of international adoption procedures regarding adoption and dissolution of adoption of foreign-born children and programs for parental education before adoption should be made. In addition, inclusion of dissolved foreign-born children into those eligible for support under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and granting of simplified naturalization qualifications will be necessary. c. Child abuse and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When foreign-born children, with a high probability of having complex problems from language to status of sojourn, etc., fall victim to domestic violence or child abus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report the situation or to receive relief. Therefore, applicable provisions for providing customized support for them, including a separate counseling program for their children (foreign-born children includ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e additionally prescribed by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 젠더 관점에서 본 재난안전 관련 법령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및 재해구호법을 중심으로

        송효진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5 이화젠더법학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정책의 근거가 되는 기본법인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및 같은 법 시행령, 시행규칙, 그리고 이재민 재해구호 업무에 관하여 규정한 「재해구호법」 및 같은 법 시행령, 시행규칙을 중심으로 젠더적 관점에서 분석・평가를 통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현행 재난관리법과 재해구호법에는 재난취약자에 대한 고려 및 성인지적 관점은 거의 들어가있지 않다. 위험이 증가할수록 사회 경제적 취약 계층은 더욱 취약한 상황에 놓일 수 밖에 없다. 재난관리와 재해구호는 커다란 프레임의 체계와 세밀한 정책서비스가 동시에 필요한 분야이며 너무나 당연하지만 이 모든 것은 ‘사람’에 목적과 방향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리고 재난 현장의 사람은 성인 남자로 표준화되고 대표되기 쉬운 ‘일반 국민’으로 일반화하여 표현되기에는 여성, 남성, 고령자, 영유아, 아동, 장애인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재난 관련 정책의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합리적이고 정당한 배려와 고려는 이들이 국민으로서 가지는 기본권에 당연히 포함되는 내용이다. 재난 관련 법령에는 이러한 정신이 담겨있어야 한다. 재난 관련 정부 부처간 업무협조와 지원은 이러한 정책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젠더 관점에서, 재난여성피해자 및 피해가족을 위한 전문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여성가족부가 지원부처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재난 관련 계획수립 및 구체적인 재난정책 및 재해구호와 관련 된 법령 내용들도 개선시안으로 제시한 바와 같이 더 세밀하게 정책수요자의 욕구에 맞추어 보완・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수요자들의 욕구와,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여 젠더 관점으로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재난 관련 분야에 있어 성별분리통계의 생산・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major disaster-related legislation in Korea, along with associated shortcomings in a Gender Perspective. First, the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s examined in its lack on the concept of “disaster vulnerable groups.” Then, the study looks into the role and legal basis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cooperating with disaster/safety related tasks with different government entities in the future. The study also inquires how a gender perspective can be reflected into disaster/safety planning and conducting of disaster policies. Next, the study diagnoses issues with the Disaster Relief Act. Particularly, it points out that the Disaster Relief Act lacks in a gender perspective when setting up relief plans and camps for those suffering from disasters. The study also reveals that the Act does not consider gender-related issues when distributing relief goods to disaster victims. The study does not stop at showing the problems but it also seeks measures for improving the Disaster Relief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