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독 중의 ‘真’자와 ‘算’자

        ?文玲(Wu, Wen-ling),송진영(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7

        정리자의 釋讀에 의하면 居延漢簡, 즉, 居延舊簡·居延新簡 및 肩水金關漢簡 중 일부 문서 楬과 문서 모두에 ‘算’이 포함되어 있다. 학자들은 이미 이와 같은 ‘算’자의 의미에 대해 토론해왔으며, 서로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견해는 이러한 간문 중의 ‘算’ 혹은 ‘算書’를 일종의 簿籍 종류로 보는 것이다. 두 번째 견해는 ‘算’을 일종의 전문적인 문서유형으로 간주하였고, 경제영역의 예산·決算과 관련된다고 여기는 것이다. 세 번째 견해는 ‘算’을 簡書·簿冊으로 여기는 것이다. 네 번째 견해는 ‘算’을 得算·負算의 考課문서로 여기는 것이었다. ‘算’자의 자형에 대한 새로운 비교와 簡文의미에 대한 새로운 판별 분석을 통해 기존 정리자가 해석한 簡文 중 ‘算’자들이 모두 ‘真’자를 오역한 것임을 알았다. ‘真’은 正의 뜻이며 副·邪와 대립한다. 簡文 중의 ‘真’은 문서의 원본·底本을 가리킨다. ‘真’으로 표시된 문서 혹은 簿籍은 ‘真書’이며 또한 문서의 원본이었다. 이것은 오늘날의 원본에 해당한다. 때로는 행정과정 중에 ‘上真書’를 요구할 때가 있었고, 이는 관련 문서의 원본을 올려야 한다는 뜻이다. 때로는 ‘騰真書’가 요구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는 관련 문서의 원본을 전달하라는 뜻이다. 때로는 ‘下真書’와 같은 관련 문서의 원본을 하달하라고 하기도 하였다. ‘真’과 서로 대립하는 것은 ‘副’이다. 副는 사본·복제본이다. 간독자료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관련 부서는 문서의 원본이든 사본이든 일정한 기준에 의해 문서들을 분류 보관하였다. 또한 보관하는 동시에 쉽게 문서를 찾을 수 있게 각 문서에 대해 簽牌를 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문서의 원본과 사본은 각자 따로 보관하며, 구분하기 위해 ‘真’과 ‘副’라는 제목을 쓴다. 하지만 원본과 사본이 같이 보관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진한 간독문서의 유형 중에는 전문적인 ‘算類’문서가 존재하지 않았고, 역시 전문적인 ‘算’ 혹은 ‘算書’ 종류의 簿籍도 존재하지 않았다. According to the previous interpretations of the experts, the character “suan”(算) appears constantly in some tags of documents and bamboo documents included in bamboo manuscripts of Han Dynasties from Juyan Area. What is the meaning of this character “suan”? It has aroused heated debate and put forward four different views: The First is to think of the term “suan” as a type of accounts or registers; The Second is to treat it as a special type of economic documents relating to budget and final accounts; The Third is to argue that the character “suan” is same as the character “ce”(䇲), which means books or registers; The Fourth is to view it as a kind of performance assessment documents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gaining and losing “suan”. Based on re-discriminating the character pattern and structure of “suan” and re-explain the meaning of the term “suan” in the sentence,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evious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suan” is a false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zhen”(真). The character “zhen”(真) is relative with the character “fu”(副). The “zhen” means original and the “fu” means duplicate. In the contexts of above bamboo manuscripts, the “zhen” and “fu” respectively refer to the original and duplicate of the document. According to the bamboo manuscripts, sometimes the original document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administration. In Qin-Han dynasties, the original and copy of the documents at all levels should be classified, filed and labeled. Given the above, there is neither a special “suan” accounts or registers nor a special “suan” economic documents in the types of bamboo documents of Qin-Han dynasties.

      • KCI등재후보

        長沙吴簡 중의 簽署·省校 및 勾畫符號의 釋例

        凌文超(Ling, Wen-chao),송진영(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7

        본문에서는 簿書를 해석하는 범주에서 吳簡 중 보이는 簽署·省校 및 勾畫符號(약호略號)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調布入受莂’에 서명된 ‘祁’는 아마도 臨湘 侯國 丞 祁의 친필 서명일 것이다. ‘庫入受莂’ 중 ‘丞弁關’은 佐吏가 대신 서명한 것으로 보이며, 이 두 가지는 모두 권위성과 효력을 지니고 있다. ‘户品出錢簡’에서 (臨湘)侯相의 아래 부분에 적힌 校記 ‘ ’는 臨湘 侯相 ‘管君’ 혹은 屬吏가 ‘户品出錢簿’를 감사한 후 서명한 것이고, ‘已核’(이미 감사됨을 의미함)이라고 한다. ‘襍錢領出用餘見簿’에서 흔히 보이는 ‘朱筆涂痕’(빨간색 긴 선)은 장부의 유통내역 대조가 끝났다는 약호이고, 校記 ‘中’의 역할과 기본적으로 비슷하며 ‘符合·正確(부합함과 정확함)’을 의미한다. Some examples of the signatures, checking marks and sketched symbols in the Wu Slips unearthed at Zoumalou are studied from the structure of the registers. The signature “Qi(祁)” in some registers of cloth entered and received at the treasury should be the autograph of Qi(祁), who was the assistant of the chancellor of the Linxiang marquisate, and the signature “Cheng Bian Guan(丞弁關)” in some entered and received registers at the treasury should be the allograph of staff member. Whether autograph “Qi(祁)”, or allograph “Cheng Bian Guan(丞弁關)” were authoritative and effective. The checking mark “ ” in some registers of cash payment of households of the three grades should be the official comment written by the chancellor of the Linxiang marquisate “GuanJun(管君)” or a staff member after checking the registers. The checking mark “ ” meant that has been checked and correct. The “red paint mark” (red long lines) in the registers of various types cash received, spent and remaining should be the sketched symbol which was used to check the account transfer. The role of this sketched symbol was the same as the checking mark “zhong(中)”, which were meant consistent and corrent.

      • KCI등재

        문화와 일상 - 독일어권 ‘민속학’, 유럽 민속학/인류학 전통에서의 에스노그래피적 문화분석 -

        베른하르트 초펜(Bernhard Tschofen),송진영(번역자)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이 글에서는 독일어권 및 유럽 일상문화 연구의 역사적, 현대적 전개를 고찰했다. 특히 탈민족화와 유럽화의 맥락 속에서 독일어권 ‘민속학(Volkskunde)’의 현대화, 그리고 국제사회의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향한 이론적, 방법론적 개방에 대해 거론했다. 구체적으로 일상의 에스노그래피적 문화 분석의 인식론적 자기 이해를 다루었는데, 전반부에서는 이 과제를 보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검토했고, 후반부에서는 최근의 지식문화와 공간성, 그리고 문화유산 연구에의 접근방식을 사례로 논의했다. The article provides an insight into historical and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the study of everyday culture in the German-speaking world and Europe. It focuses on the modernization of German Volkskunde in the context of denationalization and Europeanization and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opening towards the internation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particular, epistemic self-understandings of an ethnographic cultural analysis of everyday life will be examined initially from a more general perspective, in a further step exemplarily using the cases of current approaches to cultures of knowledge, spatiality and cultural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