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가뭄의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 설정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주진걸(Joo, Jingul),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1965년부터 2018년까지 농업가뭄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를설정하고자 한다. 가뭄지수는 SPI를 대상으로 지속기간(3, 6, 9, 12개월)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농업가뭄이 발생한 지속기간의피해특성을 산정하였다. 경상남도의 농업가뭄 피해기간에 대한 지속시간별 SPI는 최소 -2.0 이하, 최대 -1.0 이상으로 약한가뭄과보통가뭄이 분석되었다. 그러나 장마기간의 호우영향으로 SPI12는 평균 -1.06이며 농업가뭄의 피해영향은 미미하였다. 농업가뭄의 피해기간과 지속기간별 SPI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피해발생을 판단하기에는 지속기간별 SPI의 차이가크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의 재해예측을 위한 기준을 과거 농업가뭄의 피해발생기간에 지속기간별 SPI의 최소가뭄지수를 연도별 대표 가뭄지수로 산정하였다.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의 기준은 과거 피해가 발생한 연도의 지속기간별SPI의 평균인 -1.64로 설정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rought index for disaster prediction in Gyeongsangnam-do, where the most agricultural drought damage occurred from 1965 to 2018. The drought index was analyzed for each duration (3, 6, 9, 12 months) targeting the SPI. Damage characteristics of the dur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were calculated. SPI for each dur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damage period in Gyeongsangnam-do was at least -2.0 or less, and the maximum was -1.0 or more, and weak and moderate drought were analyzed. However, due to the heavy rain effect during the rainy season, the average SPI12 was -1.06, and the impact of agricultural drought was negligible. It was analyz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mage period of agricultural drought and the SPI by duration was high. However,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SPI for each duration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damage. In this study, the criterion for disaster prediction of agricultural drought was calculated as representative drought index by year as the minimum drought index of SPI for each duration of damage occurrence period of past agricultural drought. The Standard of drought index for disaster prediction was set to -1.64, the average of the SPI for each duration of year in which damage occurred in the past.

      • KCI등재

        물사용 실태 및 물 절약 인식조사

        송영석(Song, Youngseok),주진걸(Joo, Jingul)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물 사용실태 및 절수인식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샤워 및 빨래를 할 때, 가장 많은 물 낭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절수설비와 더불어 절수형 세탁기 및 식기세척기의 보급이 필요하다. 물 절약은 68.4%가 실천하고 있으며, 이유는 국가의 미래에 대한 걱정과 경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물 절약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는 익숙하지 않거나 불편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는데, 절수설비 보급 등 생활속에서 불편없이 물 절약을 실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 수요관리를 위한 전략 수립에 활용 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ater utilization status and water saving awareness investigation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Consequently, it was observed that most water is wasted when showering and doing laund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y water-saving washing machines and dishwashers along with water-saving devices. A total of 64% of the respondents conserve water in their daily lives, and the reasons are worries about the future and economic reasons. Water saving is not practiced because it is unfamiliar or uncomfortable. Therefore, methods are necessary to save water without inconvenience in daily lives.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water demand management.

      • KCI등재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홍수량 변동특성

        송영석(Song Youngseok),송양호(Song Yangho),이정호(Lee Jungho),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우리나라의 설계기준은 약 10년을 기준으로 개정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설계기준의 개정은 과거와 신규의 산정절차나 분류기준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설계기준 개정에 따른 분석결과의 정량적 변동은 재해저감을 위한 대책 수립시 반영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혁신도시 인근을 대상유역으로 토지이용 분류기준 개정에 따른 유출곡선지수와 홍수량 변동특성을 검토하였다. 2012년에 개정된 ‘설계홍수량 산정요령(국토교통부, 2012)’을 기준으로 2012년 이전을 Case 1, 개정 이후를 Case 2로 정의하였다. 대상유역의 토이지용도 46개에 대하여 Case 1은 6개, Case 2는 22개로 토지이용도를 분류하였으며, Case 2가 Case 1보다 유출곡선지수는 약 10 %, 홍수량은 7 %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12년 이전에 수행된 재해영향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설계기준 개정에 따른 증가량을 고려한 재해대책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ign Standard in South Korea are revised about every decade and the revision generates the difference of estimate calculations or classification criteria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Quantitative variations of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design criteria are difficult to be applied in case of establishing alternatives for reducing disaster risks. This study reviewed the curve number and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flood discharge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land use classification by setting neighboring innovative cities located in Jung-gu Ulsan Metropolitan city as target basins. It defined Case 1 before 2012 and Case 2 after the revision based on “Methods of Estimating Design Flood Amount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mended in 2012. For 46 degrees of land use among target basins, Case 1 classified them into six basins and Case 2 classified them into 22 basins. It found that Case 2 showed a rise nearly 10% in curve number and 7% in flood discharge amounts than Case 1.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establishing disaster precaution is assumed to be needed by considering increased amount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design standard on findings from an analysis of disaster impacts conducted before 2012.

      • KCI등재

        도시특성을 고려한 홍수취약성 평가기법 개발 :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송영석(Song, Youngseok),박종표(Park, Jongpyo),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홍수피해에 대한 저감대책을 제공하고자한다. 홍수취약성 평가를 위한 대리변수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부처에서 제공하는 DB 등을 고려하여 도시지역에 적합한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역중요성 지수(RSI)와 홍수피해 자료에 대한피해가능성 지수(DPI)를 이용하여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지수(FVI)를 제시하였다. 지역중요성 지수(RSI)는 인적요소에 인구밀도와 취약인구 비율, 물적요소에 자산밀도와 주요시설물 면적으로 4개의 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피해가능성 지수(DPI)는지형요소에 저지대 면적비와 불투수 면적비, 재해요소에 내수재해위험지구 후보지 현황과 풍수해 이력 발생 현황으로 4개의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선별된 8개의 대리변수는 승법형 효용함수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지수를산정하였다. 산정결과 대구광역시의 홍수취약성 지수는 도시 중심지역과 하천인근 지역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평가 및 저감대책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and flood damage reduction measures in urban areas for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roxy variables for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calculated using the previously investigated proxy variables for urban areas.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of the urban area was proposed using the Regional Significance Index (RSI),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each region, and the Damage Possibility Index (DPI) for flood damage data. The RSI selected four proxy variables: population density, vulnerable population ratio, property density, and area ratio of major facilities. The DPI also selected four proxy variables: area ratio of low land, the impervious area ratio, status of domestic disaster risk district, and flood occurrence record. Eight proxy variables were selected and the FVI of urban areas calculated using multiplicative utility functions.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the FVI of Daegu Metropolitan City was found to be high in the central urban areas and by the stre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s in urban areas and establishing flood damage reduction measures.

      • KCI등재

        UAV의 촬영각도 조절을 통한 3D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이형준(Lee, Hyeong Jun),김병식(Kim, Byung Sik),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UAV의 카메라 각도를 조절하여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2D 모델과 3D 모델을 구축하여 정량적인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한 와룡대교를 선정하였으며 UAV의 카메라 각도는 90°, 75°, 60°에 대하여 촬영하여 DSM과 정사영상, 3차원 모델을 분석하였다. DSM과 정사영상의 분석결과 Images의 중첩도는 90°대비 75°는 1.05배, 60°는 1.10배이며 Matching의 중첩도는 90° 대비 75°는 1.09배, 60°는 1.60배가 증가하였다. 3D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포인트 클라우드는 90°대비 75°가 1.17배, 60°는 1.47배로 분석 포인트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1 pixel의 정사영상 면적은 90°대비 75°가 1.10배, 60°는 1.34배 증가하여 해상도는 감소하였다. UAV의 카메라 각도가 감소할수록 항공사진의 중첩부분이 증가하여 많은 면적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3D 모델의 정밀도에서는 큰 차이가 발생하므로 목적에 따른 촬영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camera angle of a UAV (Unmanned Aerial Vehicle) was adjusted to take aerial photographs, and 2D and 3D models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impact. The study area was Waryong Bridge, located in Dalseong-gu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camera angles of the UAV were 90°, 75°, and 60°; DSM, orthophoto, and the 3D model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SM and orthophoto, images were 1.05 times in 75° and 1.10 times in 60° compared to 90°, and matching was 1.09 times in 75° and 1.60 times in 60° compared to 90°. The point cloud for building 3D models increased analysis points to 1.17 times for 75° and 1.47 times for 60° compared to 90°. However, the area of an orthophoto of 1 pixel increased by 1.10 times for 75° and 1.34 times for 60° compared to 90°, resulting in a decrease in resolution. As the camera angle of the UAV decreases, the overlapping ratio of aerial photographs increases and the structure of wide areas can be implemented. However, since a large difference occurs in the precision of the 3D model, a shooting plan according to the purpose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소규모배수로의 흐름상태를 고려한 저감시설의 설치기준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주진걸(Joo, Jingul),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산지지역, 도시지역 등에 설치된 배수로는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하지만 저감시설이나 유지관리에 대한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소규모배수로의 경우 유입되는 유송잡물이 퇴적되면 통수능력부족에 따라 월류피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배수로의 유송잡물 차단을 위한 저감시설을 개발하고 수리실험을 통해 포착효율을 분석하여 설치기준을고려한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실험조건을 수립하여 총 90조건, 90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유량, Froude Number 등의 흐름상태를 고려한 저감시설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소규모배수로의 설치기준을 고려한 산정식을 개발하기 위해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포착효율이며 독립변수는 유량, Froude Number, 저감시설의 한 칸의 유효단면적을적용하였다. 소규모배수로의 설치기준을 고려한 산정식은 E=1.337-5.074×Q-0.156Fᵣ-132.710A이며 유의성은 높은 것으로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규모배수로를 대상으로 목표 포착효율에 적합한 저감시설의 적용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While drainage installed in mountainous and urban areas play various roles for supplying and draining water, the standards for reduction facilities and maintenance are insufficient. In the case of small drainage, if there is an inflow of deposited debris, overflow damage occurs due to lack of water supply capacity. In this study, a reduction facility was developed to block the transport of debris in a small drainage. The equation considering installation standards was proposed by analyzing capture efficiency through hydraulic experiment. By establishing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a total of 900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90 different conditions. The reduction effect of reduction facilities was analyzed by consideration of flow conditions such as discharge and Froude Numb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quation that considers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a small drainage. The dependent variable was capture efficienc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scharge, Froude Number, and an effective cross sectional area of reduction facilities. The equation considering installation standard of small drainage is E=1.337-5.074×Q-0.156Fᵣ-132.710A and the significance i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reduction facilities suitable for target capture efficiency targeting small drainage.

      • KCI등재
      • KCI등재

        태양광 발전시설의 강우 투영단면적 비율에 따른 홍수량 변동특성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이정호(Lee Jungho),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With growing global environmental concerns, attention is focused on renewable energy. Photovoltaic facilities provide infinite solar and clean energy, and are utilized in various ways. Installation of a photovoltaic facility above a certain scale should be preceded by a flood risk assessment. Recent installations of photovoltaic facilities have been utilizing piling-type construction for minimal environmental damage. In previous flood risk assessments the total area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was classified as impervious when the anticipated flood volumes were calculated. This study analyzed variations in flooding volumes according to projected cross-sectional areas where rain falls on the installation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Three cases were analyzed: CASE 1 takes into account the total area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CASE 2 the area considering the panel installation angle, and CASE 3 the area of the circular piles. The anticipated flood volumes were calculated as 97.59 ㎥/s for CASE 1, 97.57 ㎥/s for CASE 2, and 97.26 ㎥/s for CASE 3, a difference of less than 1%. Therefore, it is acceptable to consider the total area as impervious in a flood risk assessment when installing a photovoltaic facility.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신재생에너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중 태양광 발전시설은 무한한 태양광에너지이며 청정에너지로서 최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일정규모이상의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는 사전재해영향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최근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는 최소한의 자연훼손을 위해 말뚝형식으로 시공이 되고 있다. 과거 수행된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에서는 설계홍수량 산정시 태양광 발전시설의 전체 면적을 불투수 면적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시 강우가 접하는 투영단면적에 따른 홍수량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강우 투영단면적에 따라 CASE 1은 발전시설의 전체면적, CASE 2은 설치 각도를 고려한 면적, CASE 3는 원형말뚝의 면적이다. CASE별 설계홍수량은 CASE 1이 97.59 ㎥/s, CASE 2가 97.57 ㎥/s, CASE 3가 97.26 ㎥/s으로 1% 미만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시 재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면적을 불투수면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