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조작 자료의 조작 과정이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 사회과를 대상으로-

        정혜정 ( Hye Jeong Jeong ),송언근 ( Un Gun So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1

        비조작 자료와 사회과 지식 구성의 관계 규명을 목적으로 하는 본 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조작 자료의 조작에 토대한 사회과 수업의 결과는 첫째, 지식의 구성은 일차원적 지식에서 다차원적 지식 구성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조작과 해석 과정에서 개념의 정의를 확인하고, 자료에 근거해서 생각하고, 타인에 해석에 대해 해석하려는 등, 비판적 사고력이 육성되었다. 셋째, 능동적이고, 맥락적으로 지식을 구성하며, 사회과를 즐거운 교과, 협동하는 교과로 인식하였다. 이 같은 특징과 더불어 사회과 지식이 비조작 자료의 수집과 조작, 그에 토대한 해석의 과정으로 거치면서 구성된다는 점에서 볼 때, 사회과다운 수업과 사회과다운 탐구는 비조작 자료의 조작에 토대한 수업을 할 때 가능해 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manipulated learning materials and knowledge co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has proceeded from one-dimensional to multi-dimensional. Second, students have shown improvements in critical thinking; that is, they have defined concepts clearer, thought on the basis of materials, and reflected on others` interpretations. And third, students have constructed their knowledge actively and contextually, and thus experienced social studies as an occasion for intrinsic fulfillment and cooperation. In a nutshell, genuine inquiry and learning in social studies could be predicated on manipulation of un-manipulated materials; gathering, adaptation and interpretation of materials.

      • KCI등재

        교실 지리 탐구에서 스케일, 차원, 재현의맥락에서 본 구글 어스의 자료적 의미 -서재리 구유로를 중심으로-

        송언근 ( Un Gun Song ),이동민 ( Dong Min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Google Earth as a learning material in the geography classro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ographical phenomena, when brought into the classroom, have to be converted into a special form of learning materials because of their fixity of locations, totality of objects, and scale of expanses. Second, the conversion into learning materials can frequently cause distortions in scale, dimension, and representation. Third, inference is of a special importance in geography lessons, because of the huge time span of geographical processes and the compression of geographical phenomena into limited learning materials. Fourth, geographic inference is enhanced when the various distortions of learning materials in terms of scale, dimension, and representation are minimized. Fifth, the Google Earth, a three-dimensional pictorial representation of earth geography with many useful functions, can contribute to the minimization of distortions learning materials frequently face. Sixth, the Google Earth can facilitate more authentic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and interactions. And seventh, it can help save time and energy necessary for preparation of material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short, the Google Earth has many merits as a learning aid in the geography classrooms; thanks to its minimization of conversion distortions, it can help students formulate inquiry questions and their hypotheses more efficiently; and thanks to its easy accessibility, it can help teachers save time and energy for the provision of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대구읍성 입지와 신천 유로 변화의 관계

        송언근(Song, Un G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4

        대구읍성이 반월당과 대구역 사이에 위치한 요인의 지형적 맥락을 밝히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구읍성은 ‘조선 후기 방어 전략의 전환과 이인좌의 난에 따른 왕권 강화, 그리고 지역 사회의 관리’라는 목적으로 평지 읍성으로 축성되었다. 이 같은 목적으로 축성된 대구읍성의 입지요인은 ‘첫째, 영남대로 상에 있어야 한다. 둘째, 지역을 안정화시키면서 왕권을 보여 줄 수 있는 중심지에 입지해야 한다. 셋째, 많은 주민의 수용을 위해 큰 규모의 읍성 입지가 가능해야 한다. 넷째, 읍성을 방어할 해자가 있어야 한다’이다. 이들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곳은 반월당에서 대구역 사이의 충적평야이다. 이 지역은 첫째, 신천 좌안에서 충적평야의 규모가 가장 크고, 둘째, 평야의 규모에 비해 하계망이 단순하고, 셋째, 침식저지의 개석곡의 위치로 대구에서 남북으로 이어지는 영남대로와 동서로 이어지는 도로가 만나는 교통의 결절지이고, 넷째, 대구천이 읍성을 보호하는 자연적 해자 역할을 하는 곳이다. 반월당에서 대구역 구간의 충적평야가 읍성의 최적 입지가 된 것은 신천 본류와 그것의 분류인 대구천의 유로 변화 결과이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ome geomorphological factors in the location of Daegu Eupsung between the Banwoldang and the Daegu Station. The Eupsung was constructed on a flatland, in the late Lee Dynasty, to meet the new demands of the changes in defense strategy, the consolidation of the Royal authority after the revolt of Lee Injwa, and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regional society. These demands implied that the Eupsung was to be located on; (1) Yeongnam-daero connecting Hanyang and Dongrae; (2) the central area of the region, to show up the Royal authority and thus stabilize its residents; (3) an area large enough to hold up a sizable population; and finally (4) an area surrounded by protective moats. The area meeting all four conditions was the alluvial plain between the Banwoldang and the Daegu Station of these days. It was the largest alluvial plain on the left side of the Sincheon, with drainage network simple enough compared to its size. It was also the intersection of the major north-south bound Youngnam-daero and the east-west bound road. And the Daegucheon was positioned as a natural moat for its protection. In sum, the alluvial plain between the Banwoldang and the Daegu Station became the best region for the development of Daegu Eupsung, mainly due to the channel changes in the Sincheon and its tributary Daegucheon.

      • KCI등재

        양동 마을 입지 탐구에 토대한 지리 탐구 과정의 구성

        송언근 ( Un Gun So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1

        안강 분지의 동쪽 가장자리이자 분지의 출구부에 위치한 양동 마을의 가옥들은 구릉지 상에 위치한다. 이는 안강 분지의 지형적 특징에 의한 형산강의 주기적 범람과 안강들과 거림골의 침수로부터 안전한 곳을 선택한 결과로 해석된다. 본 논문은 이의 연구 과정을 토대로 지리 탐구 과정의 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제기는 두 과정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인지부조화를 통한 문제 인식 하기이고, 다른 하나는 문제 해결의 방향찾기이다. 이들은 탐구 지역과 다른 지역을 비교, 대조하는 가운데 이루어진다. 둘째, 가설 구성은 탐구 문제와 관계된 지리의 기본개념 또는 주요 이론을 탐구 지역의 지리적 특징과 관계지워 해석하는 가운데 이루어진다. 셋째, 가설은 문제 발생의 원인과 원인을 야기시킨 요인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주로 탐구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서 찾는다. 넷째, 가설 검증은 요인과 원인이 정(正)의 관계 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것은 주로 실내 검증으로 이루어진다. 다섯째, 가설 검증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원인의 검증이고, 다른 하나는 원인과 요인의 관계 검증이다. 여섯째, 가설 검증은 실내와 실외 검증으로 나누어지고, 이들은 상호보완적이고, 순환적으로 이루어진다. 일곱째, 가설은 자료 분석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된다. 여덟째, 자료 수집은 자료 분석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실내와 실외 수집으로 나누어진다. 아홉째, 자료는 수집과 제작의 두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지리 탐구의 성패는 탐구 지역의 지리 요소들의 특성과 그들의 상호작용을 얼마나 정확히 이해하여 해석하느냐에 달려있다. The traditional houses of Yangdong village at the easternmost entrance of the Angang basin are located on a hilly site. An interpretation is that the houses are located on the elevated region because the site is safe from the periodic floods of the Hyeongsan river and the inundation of the Angang plain and the Georim valley due to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Angang basin. This article aims to delineate a geographical inquiry process through the study of the location of this villag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stage of question-raising consists of two activities. One is to recognize a problem or problems through cognitive dissonance, and the other is to search for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recognized. Comparison of the region in question with other regions may help this process. Second, a hypothesis is constructed by relating major geographical concepts or theories concerned to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inquiry area. Third, the hypothesis is about causes of the given housing practice and factors of those causes. These are sought in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inquired region. Fourth the test of hypothesis begins with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causes and factors, whether it is positive or not. This is mainly an in-class activity. Fifth, the test of hypothesis has two dimensions. One is to verify the causes, and the other, to verify the relations between the causes and the factors. Sixth, the test of hypothesis is a complementary and recurring process of in-class and on-site (outof- class) verifications. Seventh, the hypothesis is freely revised and improved in the process of data analyses. Eighth the data collection, both in-class and on-site gathering, continues along with data analyses. Ninth the data are constructed as well as collected. In sum, the success of geographical inquiry may depend upon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their interaction, of the region in question.

      • KCI등재

        교실지리탐구를 위한 문제인식의 미시적 과정 구성 -제주도 무덤, 연대, 폭포, 용연을 사례로-

        송언근 ( Un Gun So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4

        교실지리탐구에서 위치 관련 문제인식의 미시적 과정 구성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치’를 관찰 기준으로 한 지리탐구에서 인지부조화는 속성이 같은 대상의 위치 또는 분포의 지역적 차이로 발생하고, 그것의 원인을 지역의 자연 및 인문 환경과의 관계에서 찾아 인지균형을 시도하려는 목적으로 문제인식을 구성한다. 지리탐구에서 문제인식의 발달 과정을 교실지리탐구수업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첫째, 탐구 주제와 같은 속성의 일반적 대상을 관찰하면서 이들의 위치와 발달 요인의 특성 이해하기, 둘째, 탐구 주제와 속성은 같지만 위치와 분포가 다른 사례 관찰에서 일반적 대상과 사례간의 차이와 특성 비교하기, 셋째, 속성은 같은데 위치와 분포 특성이 다른 이유 해석하기, 넷째, 해석의 어려움으로 인지부조화 직면하기, 다섯째, 위치와 분포 특성을 지역 환경과의 관련 속에서 인지균형추에 토대한 인지 균형 시도하기, 여섯째, 인지부조화의 발생 내용과 원인을 중심으로 알고 싶고, 해결하고 싶은 문제 구성하기이다. This paper is to propose some detailed steps leading up to the problem formulation in the area of locations, in an inquiry-based geography classroom. Cognitive dissonances are born of regional differences in locations and/or distributions of the same objects in question. The dissonance then leads to a problem formulation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cognitive equilibrium of trying to find out its causes in geographical facts both natural and human. The first step in this process is to experience the target objects in a representative setting, identifying their locational or developmental features along with. Next, the target objects are encountered in a different location and to a different distribution from the representative one, thus resulting in a contrastive understanding of the two types of location and distribution. Third, some causes are sought to explain the locational and distributional differences. Fourth, the difficulty of causal explanation be gets a cognitive dissonance. Fifth, a cognitive equilibrium is sought by some cognitive counterweight over the locational or distributional differences, relying on features of the surrounding region. And last, definite problems of interest are formulated to investigate contents and causes of the cognitive dissonance.

      • KCI등재

        비조작 자료의 조작을 통한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 교육

        송언근 ( Un Gun Song ),정혜정 ( Hye Jeong Jeo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1

        비조작 자료의 조작과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 형성의 관계를 밝히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조작 자료 조작 수업의 결과로 학생들은 첫째, 개념의 명료화를 통해 기준의 중요함을 이해하였고, 둘째, 근거 자료에 토대하여 사고하기를 하며, 셋째,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비조작 자료조작 수업의 결과로 성장한 비판적 사고력은, 첫째, 과거처럼 감정적으로 의견이 대립하거나 결론 없이 끝나는 모습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둘째, 상대의 말을 듣기보다는 말의 근거를 살피고, 근거의 타당성을 추구하도록 하여, 토론과 대화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과 자료들을 맹신하던 자세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서, 자료의 종류나 개인의 해석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도 있음을 인정하게 하였다. 넷째, 과거처럼 ``맞다, 틀리다`` 의 관점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상황과 자료를 바탕으로 보다 맥락적인 해석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비조작 자료의 조작 수업은 자료를 수집하고, 기준에 근거하여 정보를 추출하여 조작 자료를 만들고, 그 속의 의미들을 분석, 해석하는 과정에 사회과 탐구 능력도 육성하였다. This study is to shed some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ipulation of non-manipulated materials and the critical thinking in social studies. Manipulation of data into a meaningful system was shown to help children, fir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riteria in thinking through concept clarifications, second, try to think carefully on the basis of referential materials, and third, think more critically. It was evident that critical thinking tended to get tidy, with the manipulative activities. First, decreased were the emotionally charged disputes without leading to recognizable conclusions. Second, demand for the evidence or ground of assertion grew stronger among children beyond the mere listening to others, thus paving the way for rational discussion and dialogue. Third, the textbook lost the status of infallibility, allowing for critical examinations of its contents. And last, children grew flexible in interpreting learning materials from multiple sources, with the textbook as just one source among others. In addition, manipulation activities seemed to facilitate the inquiry process of gathering data, organizing data into systems with criteria, and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ose organized system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들의 세계에 대한 인지 특성과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송언근(Un Gun Song),김재일(Jae Il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0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조건을 살피는 것이다. 초등 학생들은 주로 TV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각 나라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이로 인해 다른 나라에 대해 막연한 문화적 동경을 갖거나, 때로 억견이나 편견에 의해 다른 나라들을 이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나라의 삶을 그들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균형잡힌 인식의 틀을 육성시킬 필요성이 있다. 한편, 나라별 호오(好惡)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판단 근거는 장소의 상징성과 생활과 관련된 일차적 조건, 즉 기후, 음식, 주거지 등이며, 우리 나라와 세계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판단은 정서적 요인이 주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자신들의 삶의 터전(지방)과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심원적 구성에 따른 교육과정상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3, 4 학년 향토 학습에서부터 지방과 세계를 연계하는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rationale of world geography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children tend to get impressionistic and distorted information about other countries through snapshot TV programs. But they need to get more balanced understanding abou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country. Children`s judgment about other countries, favorable or unfavorable, tends to be emotional, based on the first-order conditions of life in those regions, such as atmosphere, food, and habitat, and the symbolics of the place. But their systematic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wn life and the life of other locations or countries tends to be meager. It seems to be partly due to the practice of co-centric curricular construction. The geography curriculum may have to be in relation to other countries, from the regional geography of the third grade on.

      • KCI등재

        답사 코스 개발을 통한 역사적 주제의 시·공간적 접근 - 이순신 장군 해전지 답사 코스 개발을 사례로 -

        송언근 ( Un Gun So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4

        역사적 장소의 답사 코스 개발이 역사 주제의 시·공간적 접근에 미치는 영향 구명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사적 주제에 대한 시·공간적 접근은 두 가지 변화를 야기한다. 하나는 공간의 의미 재인식이고, 다른 하나는 지리 지식의 부활과 장소감 변화이다. 전자에서는 공간을 역사 이해의 출발이자 역사를 만든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는 토대로 인식하였다. 후자에서는 역사 이해에 미치는 지리 지식의 의미와 가치가 재평가 되었고, 역사를 매개로 장소와 학생간의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면서 장소감에 커다란 변화가 나타났다. 답사 코스 개발은 역사적 장소들의 시·공간적 관계를 통합적 맥락에서 구조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역사적 장소 조사 때의 분절적, 단편적 시·공간적 인식이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시·공간적 인식으로 변하였다. 답사 코스 개발자들은 목적적이고 체계적인 코스 설계를 위해 답사 지역을 공간적으로 구조화하고, 현재의 공간에서 과거 시간들을 추론하기 위해 역사적 사건들의 시·공간적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그 과정에 역사를 과거의 사건이 아닌 현재의 나의 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역사적 장소의 답사 코스 개발은 시·공간이 가장 관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on the impact of developing field-trip courses on history in conjunction with geography. The spatiotemporal approach enabled participants to perceive the significance of the space more vividly, by reactivating past geographical knowledge and enriching the anemic conceptions of the historical sites. The space was recognized as the ground of past history-making, and thus the starting point of historical inquiry. The inquiry made the historical sites more personally significant to students as the geographical locations. In consequence, it was inevitable that the significance of geography itself was reevaluated. The development of field-trip courses, being an integrative enterprise of sequential structuring of historical meanings, enabled an integrative and organic understanding of historical events, unlike simple battle-site expedition, resulting in discrete unrelated perception of individual site. The course developers, in order to develop purposeful and integrative courses, tried to read out historical ramifications from the spatial features of the sites before them: historical sites was charged with a present personal significance, instead of remaining an aloof fact of bygone era.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field-trip courses led par excellence to the recognition of spatiotemporal interrelatedness and integratedness of historical events.

      • KCI등재

        대구 신천 유로의 지형 발달

        송언근(Song, Un G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3

        신천 유로 변화의 특징 구명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천 좌안 충적평야에는 첫째, 지형면 고도 40~50m 부근에 경사변환부가 있다. 둘째, 경사변환부 말단인 40m 등고선은 동에서 북서쪽으로 직선적인 형태를 띤다. 셋째, 지표면 고도 41.17m 부근에서부터 기반암 고도가 급격히 낮아진다. 넷째, 신천교에서 칠성교 사이, 약 600m 구간에는 상・하류 구간과 달리 자연제방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섯째, 대봉교에서 건들바위 네거리 사이의 기반암 고도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반면 수성교에서 반월당 사이의 기반암 고도는 서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여섯째, 침산의 동사면에 발달한 신천의 공격사면은 현 신천에서 서쪽으로 1km 정도 떨어져 있고, 남서에서 북동으로 발달하였다. 이들 여섯 가지와 청동기 유적 분포지, 그리고 신천 좌안 충적평야 말단에 발달해 있는 하식애들의 위치를 종합하여 분석하면, 과거 신천은 건들바위-제일 여중-반월당-신명고등-달성공원-경일중학교-침산 방향으로 흘렀고, 이 방향으로 흐르던 신천은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대봉네거리-경대사대부설 중・고등학교-향촌문화관을 거쳐 경일중학교와 침산 동사면 쪽으로 흘렀다. 향촌문화관 부근의 공격사면은 동쪽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경일중학교와 침산 사이의 공격사면도 동쪽으로 이동하였다. 이 같은 유로 이동으로 신천은 현재의 위치에서 흐르게 되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the Shincheon in Daegu.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s a slope change between the elevation of 40 to 50ms. Second, the contour line at the bottom of the slope change(around 40ms) takes a linear shape east to northwest. Third, the altitude of bedrock slows down abruptly around 42.17ms. Fourth, no natural levees are found between the Shincheon and the Chilseong Bridges. Fifth, the bedrock elevation goes down east to west between the Daebong Bridge and Geondeulbawi, while it goes down west to east both between the Suseong Bridge and Banweoldang. And last, a southwest to northeast undercut slope is found on the east side of Chimsan, one kilometers away from the current Shincheon. In addition, the Bronze Age remains sites, as well as river cliffs at the bottom of the Shincheon’s left-wing alluvial plain, appear to point to the same conclusion. It can be, therefore, safely inferred that while the Shincheon ran toward Chimsan, originally through Geondeulbawi, Jaeil Middle school, Banweoldang, Sinmeong High School, Dalseong Park, and Gyeongil Middle School, it gradually changed its course eastwardly, towards Daebong Crossroads, Gyeongbook University High School, Hyangchon Cultural Center, Gyeongil Middle School, and east slope of Chimsan. (That’s why the undercut slope moved eastwardly, around Hyangchon Cultural Center and thus between Gyeongil Middle School and Chimsan Hill.) The current Shincheon has born in this process.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역 수준 교육과정과 지역 교과서의 발달

        송언근(Song, Un-G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 초등 4학년 사회 지역 교과서를 사례로 지역 수준 교육과정과 지역 교과서의 발달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요목기부터 강조된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진정한 출발은 6차 교육과정이다. 이 때부터 사회 4학년 1학기 전체 교육과정이 시・도를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본격적인 지역 수준 교육과정과 지역 교과서가 개발되었다. 6차 교육과정에서 2015 교육과정까지, 지역 수준 교육과정과 지역 교과서의 발달 특징을 대구시를 사례로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교육과정까지 지역 수준 교육과정의 목적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보조하는 것이었다. 둘째, 2015 교육과정에서 지역 수준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보조에서 벗어나 대구시의 교육 정책 구현과 대구를 이해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지역 교과서가 아닌 지역화 교재로 바뀐 2009 교육과정부터 지역화 범위가 확장되었고, 2015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교육과정 지역화가 이루어졌다. 이로 볼 때, 적극적 교육과정 지역화는 시,도 교육청과 지역 교과서 개발 위원들의 그것에 대한 의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trace development of regional curricula and textbooks, based on the 4th grade social studies regional textbooks in the city of Daegu. The curricular regionalization in the social studies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syllabus era, but its genuine starting point was the 6th National Curriculum, when the entir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4th grade was constructed around metropolitan city’s or provincial do’s policy concerns. Betwee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Curriculum 2015, a couple of threads were observed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rricula and textboo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First, until the NC 2009, the role of the regional curricula was to complement the National Curriculum, while its role in NC 2015 has shifted from the complementary to the independent implementation of regional policies of the Daegu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regionalization has been expanded to both semesters of the 4th grade since NC 2009 when regional textbooks have changed into regional learning materials, while in NC 2015 the regionalization has grown still more robust. With stronger democratization in this sense, the success of regionalization seems to depend almost solely upon the willingness of the provincial department of education and its textbook development committ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