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출혈을 줄이기 위한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 주사와 네비게이션 사용의 상승 효과

        송석균(Suk-Kyoon Song),전충무(Chung-Mu Jun),최승철(Seung-Cheol Choi),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출혈과 수혈을 줄이기 위한 네비게이션(navigation)과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주사의 상승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16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한 명의 술자로부터 골관절염으로 일차성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고식적 슬관전 전치환술로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은 환자 군을 그룹 1 (58예),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지만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지 않은 군을 그룹 2 (30예), 그리고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로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은 환자 군을 그룹 3 (32예)으로 나누었다. 세 그룹의 수술 후 수혈의 빈도를 비교하였고, 수술 후 출혈량을 비교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배액관으로 배액된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1은 5예(8.6%), 그룹 2는 9예(30%), 그룹 3은 3예(9.4%)의 환자에서 수혈을 했다. 그룹 간의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6). 수술 후 24시간 동안 배액관으로 배액된 양은 그룹 1에서 343.67±165.20 ml, 그룹 2에서 452.10±197.91 ml, 그리고 그룹 3에서 311.00±129.32 ml였다. 이 차이는 ANOVA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3). 그룹 2는 그룹 1보다 수혈의 필요성이 3.71배 높게 나왔고, 그룹 3보다는 4.14배 높게 나왔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네비게이션과 트라넥삼산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감소시키는 상승 효과는 없었다. 그리고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 주사가 네비게이션에 비해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effects of an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and using navigation to reduce the need for blood transfusion and postoperative bleeding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compared. Group 1 (58 cases) included those who had manual TKA with the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in the joint. Group 2 (30 cases) was comprised of those who had navigated TKA without tranexamic acid. Group 3 (32 cases) consisted of patients who had navigated TKA with tranexamic acid. The frequency of transfusion after the operation was measured. To compare bleeding after surgery, drainage volume during 24 hours after surgery was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Group 1 had five cases of transfusion (8.6%), while there were 9 cases in group 2 (30%) and three cases in group 3 (9.4%). The Chi-squared tes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6). An average of 343.67±165.20 ml, 452.10±197.91 ml, and 311.00±129.32 ml was drained in the 24 hours after surgery in groups 1, 2, and group 3,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was analyzed using ANOVA test,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3). The need for transfusion in group 2 was 3.71 times higher than that in group 1. The need for transfusion in group 2 was 4.14 times higher than that of group 3.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navigation use and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has no synergistic effect in reducing the need for blood transfusion and post TKA bleeding. In addition, an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in the joint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blood transfusions and blood loss after TKA than navigatio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는 초심자에게 네비게이션이 줄 수 있는 장점

        조명래(Myung-Rae Cho),송석균(Suk-Kyoon Song),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5

        목적: 숙련된 술자와 인공 슬관절술을 단독으로 시작하는 초심자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비교하고 초심자에게 네비게이션이 주는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경험이 풍부한 술자와 단독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처음 시행하는 초심자가 2015년에 시행한 연속적인 각각의 60예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후향적 방식으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과 술 후 3개월에 외래에서 스캐노그램을 측정하여 술 후 정렬과 골 절제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네비게이션이 나타내는 숙련된 술자와 초심자의 대퇴부 외과적 상과축과 후방과축의 값을 비교하여 대퇴부 삽입물의 외회전을 비교하였다. 술 후 기능의 검사를 위해서 술 후 1년째 외래에서 Knee Society Score (KSS)를 측정하였다. 결과: 숙련된 술자는 60명 중 49명에서 술 후 안정적인 관상면상 축(hip knee ankle angle 값 0°±3°)을 획득하였으며 초심자는 60명 중 51명에서 획득하였다. 네비게이션에 표시된 대퇴부 외회전에 대해서는 골 지표의 입력 이후 표시된 대퇴부 상과축 값은 후방과축 값에 대하여 숙련자의 경우 평균 3.8°±2.9°, 초심자의 경우 평균 1.2°±3.0° 외회전되어 있었다. 대퇴부 상과축이 후방과축보다 내회전되는 것을 이상점(outlier)으로 보았을 때, 초심자에서는 60명 중 18명이, 숙련된 술자에서는 6명이 이상점에 해당했다. 대퇴부 삽입물 외회전을 후방과축에 3° 외회전된 기구를 이용하여 교정한 결과 초심자에서는 60명 중 명 중 10명이, 숙련된 술자에서는 0명이 이상점에 해당했다. 수술 1년 이후 시행된 KSS에서는 KSS knee에 대하여 숙련된 술자의 환자는 평균 83.2±6.8, 초심자는 평균 83.1±7.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네비게이션의 사용이 초심자에게 비교적 안정적인 관상면 축의 획득과 정확한 대퇴부와 경골부의 골 절제를 하도록 도움을 준다. 하지만 네비게이션이 초심자에게 목표된 대퇴부 외회전의 획득에 도움을 주지는 않는다. Purpose: To compare the outcomes of navigation-assisted total knee replacement conducted by a skilled surgeon and novice surgeon, as well 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navigation assistance to a novice surge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made a comparison between 60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ies conducted by skilled surgeon and 60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ies by a novice surgeon during the 2015. Scanograms were taken both preoperatively and at 3-month postoperatively to measure the accuracy of bone cutting and alignment. As for external rotation of the femur, we checked the values of the distal femur surgical epicondyle axis, and the posterior condyle axis displaced by the navigator after bone registration for both novice and skilled groups. For postoperative functional examination, Knee Society Score (KSS) were evaluated at 1-year follow-up. Results: Forty-nine knees in the skilled group, and 51 knees in the novice group achieved coronal axis alignment of hip knee ankle values of 0°±3°. The mean external rotation degree of the femoral epicondyle axis against the posterior condyle axis, measured by the navigator, was 3.8°±2.9° in skilled group, and 1.2°±3.0° in novice group. When regarding femoral epicondyle axis, which showed a more internal rotation than the posterior condylar axis as an outlier, six cases were outlier in skilled group, while, 18 cases were outlier in novice group. After revising external rotation value of femoral implants comparing values navigation displaced and values using 3° external rotation manual jig against femoral posterior condylar axis, the skilled group showed 0 case of outlier and the novice group showed 10 cases of outlier. The mean KSS knee assessed at 1 year postoperatively was 83.2±6.8 in skilled group, and 83.1±7.0 in novice group,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Navigation provides advantages to novice surgeon to achieve stabilized coronal plane axis, as well as accurate resection of the femur and tibia. However, the navigation does not provide any advantages in achieving the aimed amount of femoral external rotation to novice surge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