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ire-Risk Prediction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by Classification of Fire Investigation Information

        Dongwoo Song(송동우) 융복합지식학회 2021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9 No.3

        화재 안전을 위해서,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다. 기상의 변화는 인간의 생활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기상 변화에 따른 화재 발생 예측은 화재 예방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예측 기술을 활용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른 화재 발생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예측 모델은 온도, 습도, 풍속, 지역의 4가지 입력 변수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러한 기상 조건을 기반으로 화재 유형, 발화원, 발화 원인 및 발화 물질과 같은 여러 화재 특성에 대한 화재 위험 예측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인구 시간당 화재 발생 빈도’를 산출하고 이를 위험등급으로 구분하는 데이터 전처리를 하였고, 인공신경망과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한 화재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 분석 결과 세부 변수별 화재 위험도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하였고 기상과 연관성이 높은 특정유형의 화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상 조건에 따라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세부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화재 특성별 위험도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For fire safet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s the most fundamental method. Changes in weather are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human life, and prediction of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changes in weather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fire preventi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hange in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weather by using the prediction technology. The prediction model’s results were based on 4 input variables (temperature, humidity, wind velocity, and region); it measured the fire-risk prediction accuracy for several fire characteristics such as fire type, ignition source, ignition cause, and ignition material based on those weather conditions. For the analysis, data pre-processing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population frequency of fires per hour’ and classify them into risk grades, and the fire prediction mod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decision trees was cre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fire risk for each detailed variable was compared, and a specific type of fire highly related to the weather was identified.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dentify detailed fire characteristics with a high risk of fire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nd to derive the risk level for each fire characteristic in the future.

      • KCI등재

        주유소 내 부대시설 화재발생시 복사열에 따른 주유설비 안전거리에 관한 연구

        김기성(Kisung Kim),이상원(Sangwon Lee),송동우(Dongwoo Song) 한국가스학회 2021 한국가스학회지 Vol.25 No.6

        최근 주유취급소 내의 건축물에 편의점, 자동차 수리점 등의 부대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대시설에서 화재 발생 시 고정주유기에 미치는 화재의 영향을 알아보고 현행 규정의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대시설에서의 화재 시 고정주유기까지의 이격거리에 따라 미치는 복사열의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FDS 5.5.3을 사용하여 화재모델링을 하였고, 화원의 크기는 실규모 화재평가 장치를 이용한 사무실의 연소실험을 통한 단위면적당 열방출율을 입력하였다. 화원과 고정주유기의 이격 거리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3 주유취급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명시하는 2 m 부터 이격거리를 1 m 간격으로 늘여가며 10 m까지 화원의 크기를 Case A의 경우 512.41 kW/m², Case B의 경우 250 kW/m² 로 설정하여 총 13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2 m의 이격거리는 부대시설의 화재 시에 주유기의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4m 이상의 이격거리에서 복사열이 피해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부대시설의 화재 발생시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며 부대시설의 용도를 제한하거나 건축물과 고정주유기의 이격거리를 다시 제고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Various research has been done on fires and explosions at gas stations at home and abroad. However, only studies of off-site damage in the event of fire at the gas station were conducted, and research on fire at the auxiliary facilities in the gas station was insufficient. The gas station is a place where anyone can easily access dangerous goods. As the risk of fire increases due to the recent increase of auxiliary faciliti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nd car repair shops in gas stations, it is important to detect the effects of fire on the main oil refinery in case of fire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existing regulations. In this thesis, we conducted a study to find out the effect of radiation heat on the separation between fixed and fixed oil reactors in the event of fire at an auxiliary facility. Simulation was modelled using FDS 5.5.3 Version, and the size of the fire source was configured with 13 fire assessment devices and the heat emission rate per unit area was entered. Simulation shows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of 2 m does not secure the safety of the gas pump in the event of fire at the auxiliary facilities, and radiation heat does not damage at the separation distance of at least 4 m. Accordingly, facilities that can block radiant heat in the event of fire at auxiliary facilities, and measures to limit the use of auxiliary facilities or to re-impose the separation between buildings and fixtures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