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촌관광 서비스 지표개발 연구

        김지효 ( Kim Jihyo ),손호기 ( Son Hogi ),채혜성 ( Cha Hyesung ),김상범 ( Kim Songbu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7

        농촌의 지속가능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농촌사회가 유지되고 지속가능해질 수 있는 체제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농촌관광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촌 관광 서비스 및 발전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3회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농촌관광 서비스 평가지표, 농촌관광 지속가능한 발전 평가지표를 2가지 유형의 대분류 지표로 명명하였다. 농촌관광 서비스 평가지표에서는 환경여건 지표(7항목), 공급시설 지표(4항목. 6세부시설항목), 체험활동 지표(6항목), 운영관리 지표(7항목)로 4개 유형, 세부지표 총 30항목을 도출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농촌관광 서비스 평가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하였다. 또한, 농촌관광 지속가능한 발전 평가지표에서는 사업성 지표(4항목), 발전가능성 지표(4항목)로 2개 유형, 세부지표 총 8항목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발전시키고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s a basic research on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supply indicators,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icators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services and evaluation of sustainability in rural tourism, and to draw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As a result of the three delphi surveys, rural tourism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and rural tourism sustainable development evaluation indicators have been named as two types of major classification indicators. The rural tourism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are divided and four types of subdivisions are derived. They are, environmental condition indicators (7 items), supply facility indicators (4 items, 6 sub-facility items), experience activity indicators (6 items), and operation management indicators (7 items). The importance of rural tourism service evaluation has been decided by using 5-point Likert scale. The rural tourism sustainable development evaluation indicators are divided into two types as business value indicator (4 item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indicator (4 items), and using 5 point Likert scale is used to assess the importance of rural tourism servic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basic data for developing future sustainable rural tourism.

      • KCI등재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참여현황 -교사의 장소경험과 장소감의 관점에서-

        부혜진 ( Hyejin Bu ),손호기 ( Hogi Son ),김상범 ( Sangbeom Kim ),채혜성 ( Hyeseong Cha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8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의 경험과 자유학기제 담당교사의 인식간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에 있다. 현 중학교의 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의 경험여부와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소경험과 장소감의 개념을 분석의 틀로 이용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현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분석의 결과, 교사의 장소경험(농사경험, 농업·농촌체험경험 유무)은 농업·농촌 관련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참여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다. 장소경험으로 농촌에 대한 긍정적 장소감을 지닌 교사는 농업·농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만, 농촌에 대해 부정적 장소정체성을 지닌 교사의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다.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교사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물리적 환경’ 영역에서는 체험처간의 만족도 차이가 없었고, 오직 ‘진로교육’ 영역에서 만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가의 프로그램은 내용이나 체험공간, 강사의 측면에서 충분히 만족도가 높지만, 진로의 측면에서는 다른 체험처에 비해 만족도가 낮다. 즉, 진로교육의 측면에서 농가의 프로그램은 교사의 기대에 못미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농가의 프로그램은 진로체험으로서 진로교육 측면에서의 내용보완과 개선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relations between the experiences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programs for the Free Semes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Free Semester. Key concepts of Place Experience and Sense of Place were adopt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how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agricultural and rural programs influence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In addition,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the agricultural and rural programs for the Free Semester were also identified by analysing the level of the teachers’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roved that the teachers’ Place Experience(farming experience, agricultural and educational tourism) is relevent to the participation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programs. Some teachers who have a positive Sense of Place from experiencing the rural areas tend to participate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programs. The others who have a negative Place Identity for the rural areas avoid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With regard to the teachers’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s, the teachers are generally staisfied with the programs. There were no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the categories of ‘Program’ and ‘Physical Environment’, but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ategory of ‘Career Education’. In particular, the programs of the farm households are fairly satisfying in terms of content, experiencing facility and instructor. However, they are less satisfactory in terms of the career education than the other two program supliers. In other words, the programs of the farm households do not meet the teachers’ expectation about the career education. Therefore, the farm households are need to improve their contents for the care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