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손해양(Sun, Hai-Yang),진기명(Jin, Gi-Myoung),맹해(Meng, Hai-Yang)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중국 통계총국의 2010년, 2013년에 각각 발행한 2007년, 2010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기본분류인 42개 산업 중 교통 운송 및 창고업을 물류산업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중국 물류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계는 2007년 2.6011에서 2010년 2.8279로, 행 합계는 4.2898에서 4.8292로 증가하였다. 둘째, 중국 물류산업의 감응도계수를 보면 2007년 1,4448에서 2010년 1.5936으로, 영향력 계수는 0.8760에서 0.9332로 증가하였다. 셋째, 중국 물류산업의 소득유발계수는 2007년 0.2928에서 2010년 0.3949로, 생산세 유발계수는 0.1344에서 0.1528로, 부가가치유발계수는 1.000에서 1.0040로 증가하였다. 끝으로,물류산업 산업의 부가가치유발액은 2007년 100.3조 위안에서 2010년 총 34.2조 위안으로 1/3로 감소하였으며, 물류산업의 총부가가치유발액 비중은 3.5%에서 4.7%로 다소 증가하였다. 또한 소득유발효과는 2007년 12.8조 위안에서 2010년 15.2조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생산세유발액은 2007년 33.8조 위안에서 2010년 약 5.4조 위안으로 감소하였다. This research focuses on Chinese logistics status and achieves a goal of pursuing sustainable development. Using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of 2007, 2010 published by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in 2010, 2013, classified traffic transportation and warehousing as a logistics industry among 42 basic classification, and analyzed economic ripple eff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irst of all, Chinese logistics industry s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has increased from 2.6011 in 2007 to 2.8279 in 2010 by total columns and from 4.2898 to 4.8292 by total rows. Secondly, Chinese logistics industry s sensitivity coefficient has increased from 14,448 in 2007 to 15,936 in 2010, and impact factor has increased from 0.8760 to 0.9332. Thirdly, Chinese logistics industry s income induction coefficient has increased from 0.2928 in 2007 to 0.3949 in 2010, production tax induction coefficient from 0.1344 to 0.1528, and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from 1.000 to 1.0040.Lastly, in 2010, assume that infuse final demand of Chinese logistics industry 0.6 trillion RMB into Chinese economy, and it induces total amount of production inducement 94.4 trillion RMB from whole industries. Among these, logistics industry takes portion of 3.7 trillion RMB and 3.9%. Also, logistics industry s amount of value added inducement has declined from 100.3 trillion RMB in 2007 to 34.2 trillion RMB in 2010 dropped by third. However, logistics industry s total amount of value added inducement portion has somewhat increased from 3.5% to 4.7%. Income inducement has increased from 12.8 trillion RMB in 2007 to 15.2 trillion RMB in 2010 as well. On the other hand,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has decreased from 33.8 trillion RMB in 2007 to 5.4 trillion RMB in 2010.

      • KCI등재

        중국 녹색물류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호장연(HU, CHANGYAN),,손해양(SUN, HAIYANG),최창열(Choi, Chang Youl)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4

        녹색물류는 하나의 물류 산업에 있어 새로운 모델이다. 중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물류 산업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물류는 새로운 현대물류의 발전추세에도 불구하고 초기 수준에 놓여 있다. 중국 정부와 기업은 아직 까지 녹색물류에 대한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부족으로 녹색물류에 대한 개념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의 녹색물류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녹색물류에 대한 필요성을 경제주체 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기초 물류시설이 미비하고, 물류의 정보화 정도가 낮다는 것이다. 셋째, 전문 녹색물류 기술을 보유한 인재가 부족하며, 인재 교육 체계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녹색물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부는 녹색물류를 발전하기 위하여 통일된 녹색물류 평가기준을 제정하고 관련 법규 제정의 가속화하고 정부녹색구매 적극적인 도입하고 정부의 보조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물류기초시설의 건설을 가속화하고 물류인재 양성을 많은 투자를 하여야 한다. 둘째, 기업은 녹색물류를 발전하기 위해서 반드시 녹색물류 시스템을 도입하고, 녹색상품의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녹색물류의 경영전략을 정확히 계획하며 녹색인증을 획득하여야 한다. 셋째, 소비자들은 녹색소비의식을 수립하고 일상생활에서 녹색소비행위에 적극적인 참여하며 친환경 제품을 선택하여 녹색물류발전을 추진하여야 한다. This dissertation compares the relevant research situation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foreign green logistics. Combining the corresponding enterprise case and the exterior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green logistic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a s green Logistics. In addition, utilizing the pest derivatives (PESTEL) analysis to explore the macro-environment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technology, environment, and law of China s green logistics and indicate the impact of green logistics development and China s green logistics problems. Contemporarily, proposing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green logistics in China. In this dissertation, the following methods were presented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government should enact standard evaluation criterion for green logistics, speed up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legislation, and introduce government green purchase, and conduct supportive policies in order to develop green logistics. Moreover, government should accelerate the consturction of logistics infrastructure and invest more money in training competent experts in logistics. Secondly, companies should establish the principle of green development, promot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reen products, plan business strategies of green logistics accurately, and obtain green certification in order to foster green logistics. Thirdly, consumers should establish green consumption awareness, participate in green consumption behaviors in their ordinary lives, select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implement the development of green logistics. This dissertation proposed activatio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logistics with reference to research studies conducted b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all aspects such as theory and practice since green logistics in China remains at an early stage. Therefore, further research should analyze problem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green logistics in China, present more appropriate solutions, and speed up the development of green logistics in China.

      • KCI등재

        중국 항공물류 산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장몽택(Zhang, Meng-Ze),장 연(Zhang, Yan),손해양(Sun, Hai-Yang),배기형(Bae, Ki-Hyung) 한국물류학회 2018 물류학회지 Vol.28 No.5

        This study’s purpose is to propose improvement program about analyzing issues according to the aviation logistics industry of China which is in its early stages as the logistics market ope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internet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Chinese government, reports of Chinese government agency, relating papers and publications, document literature which are relating to the aviation logist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ssues of Chinese aviation logistics industry are shown as uneven development on regions and lacking of infrastructure, low level of information and smartification and shortage experts on macroscopic level, also it is appeared on micro level as logistics system backwardness and shortage of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and lacking of cooperation in enterprises of aviation logistics, small-scale logistics enterprises and operational disorder, severe service homogeneity because of insufficient innovation. The improvement program about these obstructive factors is suggested that improve policies and systems of aviation logistics, improve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enhance level of information and smartification, develope education and professionals, promote cooperation’s development through integration, mutually develope through federation, enlarge scales and increasing ability of management, and create differentiation and service through innovation. 본 연구는 발전 초기단계인 중국의 항공물류 산업이 물류시장 개방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및 중국정부 통계 자료, 중국 정부 기관 보고서 및 관련 논문과 간행물 등 항공물류와 관련 문헌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항공물류 산업의 문제점은 거시적 측면에서 지역 간의 발전 불균형 및 인프라 부족, 정보화와 스마트화 수준 저하, 전문가 부족 등으로 나타났고, 미시적 측면에서 물류 체계와 종합 경쟁력 부진 및 협력 부재, 물류업체 소규모 및 업무 절차 혼잡, 혁신 부족으로 인한 서비스 동질화 심각 등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문제 점들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항공물류 정책 및 제도의 개선, 인프라 보완 및 강화, 정보화와 스마트화의 구축 및 증대, 교육 및전문 인재의 육성, 일체화를 통한 협력 발전, 연맹을 통한 상생 발전, 규모 학대 및 관리 능력 제고, 혁신을 통한 차별화 와 서비스의 창출 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