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특급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면환류가설(FFH)을 통한 긍정심리학의 적용-

        손정기 ( Jeong Ki Sohn ),김기성 ( Ki Sung Ki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급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 하위변수인 표면행위, 내면행위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감정노동의 결과변수의 연구는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영향을 주어 직무만족을 낮추고 이직의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는 소외가설과 감정노동이 감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는 안면환류가설로 연구가 되고 있다. 하지만 안면환류가설 의 관점에서 연구한 논문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4년 1월 20일부터 2014년 2월 5일 까지 17일 간이고 설문지는 총 195부 중 불성실한 설문 15부를 제외한 180부를 유효표본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감정노동 중 내면행위는 감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쳐 안면환류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감정노동 중 표면행위는 본 연구에서는 영향관계가 기각되었으나 직무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쳐 소외가설을 지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표면행위는 호텔 종사원에게 감정부조화,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영향을 주므로 호텔종사원 의 감정통제 교육을 실시하여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춘다면 서비스 질을 높아져호텔의 조직성과가 커질 것으로 사료된다. 내면행위 강화를 위한 호텔의 리더십, 멘토링, 인성교육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직원훈련과 교육프로 그램을 실시하고 지원 및 후원을 실시하여 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후 감정노동 연구뿐 아니라 조직연구에서 다면적으로 긍정 심리학 적용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of hotel employee, job satisfaction, intend to quit.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facial feedback hypothesis in causal relations of emotion labor and job satisfaction, intent to quit. The self-administerd survey was undertaken against 200 respondents who hotel employee. A total of 195 responses were collected. Excluding missing data, 180 usabl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deep acting factors positively impact on job satisfaction, while deep acting negatively influences intend to quit; second, it is found that surface acting factors negatively impact on job satisfaction, while surface acting positively influences intend to quit. First result support the facial feedback hypothesis while second result support the alienation hypothesi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can be discussed as following. Hypothesis on consequences of emotion labor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in contest of sub-configurations of emotion labor and consequences.

      • KCI등재

        합리적 행동이론(TRA)과 계획행동이론(TPB)의구조방정식모델 비교연구: 음식관광행동 예측을 중심으로

        손정기 ( Jeong Ki Sohn ),남장현 ( Jang Hyeon Na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관광에 있어서 TRA와 TPB 중 음식 관광행동을 예측하는데 우수한 이론을 검증하는데 있다. 그리고 음식관광에 있어서 TRA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음식관광에 있어서 TPB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5년 7월 1일부터 2015년 7월 19일 까지 20일 간이고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전주한옥마을을 방문해 음식상품을 구매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는 총 261부이고 이 중에 불성실한 설문 5부를 제외한 256부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은 IBM AMOS 20.0을 이용하여 확인요인분석, 구조방적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TRA와 TPB의 설명력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TRA의 모형적합도가 TPB의 모형적합도 보다 양호하여 음식관광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연구하기에는 TPB보다 TRA가 양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TRA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한 결과 태도, 주관적 규범 모두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PB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한 결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모두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기재하고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cellent theory for predicting food tourism behavior.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self-administerd survey was undertaken from first of July to 19th of July respondents who buy food products at the Jeon-ju Hanok Village. A total of 261 responses were collected. Excluding missing data, 256 usabl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RA model fit is better than TPB model fit. second, it is found that TRA factor attitude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and subjective norm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third, it is found that TPB factor attitude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and subjective norm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od tourism tourists are discussed. The limitations are also mentioned and suggested for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