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유형별 역할과 성격

        손선옥(Son, Seonok),김소영(Kim, Soyoung),노연희(Rho, Yeon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는 최근 10여년간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재단을 대상으로 이들의 역할과 특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료검토 및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해당 지역복지재단들은 모금배분 중심, 조사연구중심, 시설운영 중심 그리고 복합기능형이라는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이 4개 유형의 재단들은 재정, 조직구조, 사업 수행 등에 있어서 소민대관이라는 특성을 공통적으로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유형은 지역의 복지욕구, 지방정부의 정치적 욕구 및 기존의 복지 행위자들과의 견제와 협력 등 지역사회의 복지환경에 따라 설정되었다. 본 연구는 8개의 지역복지재단을 유의적으로 표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의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특성에 대한 경험적 토대뿐만 아니라 이들의 역할 정립에 대한 기초적 논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oundations funded by local government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a unique type of foundations in Korea. This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case study by reviewing online and offline documents and also doing in-depth interviews with staffs of eight local government-funded community foundations. The study categorizes local government-funded foundations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roles: fundraising-and-distribution-centered, research-centered, facility-operation-centered and multi-functional type. All of these four types share a common characteristics, not semi-public, but mostly-public or government-dependent. Also the study finds that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were affected by community environments of the setting-up stage, including local welfare needs, the relations with the existing social service agencies, and the needs of local government. Although the use of a purposive sampling method brings a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understanding of what roles local government-funded community foundations play in the community.

      • KCI등재

        대처전략의 하위유형과 우울 수준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현용 ( Hyunyong Park ),손선옥 ( Seonok So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스트레스-대처 모델을 기반으로 개인의 대처전략의 잠재적 하위유형을 확인하고. 대처전략의 잠재적 하위유형과 우울 수준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1,019명의 성인에 대한 이차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대처기술 없음, (2) 낮은 대처, (3) 문제중심대처, (4) 문제중심과 정서ㆍ회피형 대처, (5) 모든 대처기술 활용의 다섯 가지 하위유형이 확인되었다. 둘째,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수준의 대처기술 혹은 모든 대처기술을 활용하는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처기술을 없거나 문제중심의 대처기술을 활용하는 집단이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동시에 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기술과 우울 수준의 종단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종단자료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latent subtypes of coping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levels of depression based on the stress-coping model. The study included 1,109 adult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and latent class 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ive subtypes of coping strategies were found: (a) no coping, (b) low coping, (c) problem-focused coping, (d) problem-focused coping with emotional-avoidance coping, (e) all coping. Second, higher levels of perceived stres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belong to low coping and all coping. Lastly, no coping and problem-focused coping were associated with low levels of depression. Findings highlight individuals may utilize different coping strategies simultaneously. Future study is needed to analyze longitudinal data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levels of depression over time.

      • 지역사회 기관 간 아동보호서비스의 연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민경 ( Minkyoung Jun ),박현용 ( Hyunyong Park ),손선옥 ( Seonok Son ) 인문사회콘텐츠학회 2023 인문사회콘텐츠학회지 Vol.1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아동보호서비스 기관 간 연계수준을 확인하고, 지역적 특성, 학대피해아동 발견율, 기관 간 연계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서 2019년도에 수행된 아동보호서비스 연계망에 대한 이차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관 간 연계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UCINET 6.0을 활용하였고, 기관 간 연계 수준에 따른 지역적 특성과 학대피해아동 발견율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비모수 통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내용: 아동학대 대응에서 지역사회 기관 간 연계 수준을 알아보고, 지역 특성과 아동학대발견율 사이의 관계가 기관 간 연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지역사회에서 아동학대 대응 과정에서 연계를 추진함에 있어서 경찰서와 시·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역사회에서 연계수준이 높은 지역은 아동보호전문기관-경찰-시군구를 중심으로 연계망이 작동하고, 아동학대 발생의 위험요인이 되는 부정적인 가족과 지역사회 특성의 영향력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아동학대 대응을 주도할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s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in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 its role between community factors and child maltreatment rates. Secondary data from Gyeonggi-do Women and Family Foundation was used to assess levels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using UCINET 6. Based on the levels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factors and child maltreatment rates was examined by non-parametric statistics.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between community factors and children maltreatment rates. Future study is needed to strengthen the role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by increasing more samples and geographical lo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