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순우 선생의 석탑과 석조 미술사 연구

        소재구 ( So Jaeg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최순우(崔淳雨, 1916-1684) 선생은 평생을 국립박물관에 재직하면서 국립박물관의 초석을 다진 분이다. 또한 한국 미술사학계의 원로학자로서 수많은 연구논문과 글을 남겨 온 국민과 후학들에게 우리의 전통 문화예술이 간직해온 위상을 일깨워주었던 선구자이다. 선생이 남겨 놓은 수백 편의 글 중에서 석조미술에 대한 논고는 극히 드물다. 아마도 당시의 사회에서 한국 전통 미술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공예와 회화 및 조각 분야에 많이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지 결코 석조미술에 식견이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생각 된다. 그 예로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등에 대한 논고를 읽어보면 한국불탑 조성의 발자취와 그 시대적 특징을 조목조목 정리하는 가운데에서 선생의 식견을 피력하고 있어 이 분야에도 상당한 관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선생은 석조건축이나 석조미술 분야의 연구 대상물 중에서도 조형적 창의성과 조성기법이 탁월한 작품에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그 예로 불국사 석조기단의 특수한 설계나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에 보이는 부조 장식과 석사자를 응용한 기둥 등을 언급한 내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생이 세상을 떠난 지 30 여 년이 지난 지금도 불국사 다보탑의 조형적 분석과 미술사적 해석이 전무한 상태이며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도 조성시기의 편년에 약간의 진전이 있었을 뿐 탑 조형의 해석에는 설득력 있는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에서 백제의 미륵사지 석탑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조형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으며 어떤 진전의 이행이 있었는지조차도 뚜렷이 밝혀진 바가 없다. 심지어 통일신라시대에 들어 석탑의 기단이 어떤 연유에서 2 층 기단으로 정형화 되었는지도 연구된 것이 없다. 선생이 극찬을 아끼지 않았던 불국사의 대석단(大石壇) 또한 그 조성 연원과 조형의 의미가 무엇인지 아직도 학계에서 풀리지 않는 과제로 남겨져 있다. 이 글에서는 선생이 관심을 가졌던 대표적인 석조문화재인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과 불국사 대석단에 대하여 필자가 갖고 있는 새로운 시각의 조형적 분석을 실험적 차원에서 시도하였다. 예를 들면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의 사자형 석주 조형의 연원을 고대 중국의 석비상의 사자장식 대좌의 조형에서부터 검토하였으며 불국사의 대 석단은 중국 및 아시아의 남방 수변건축에서 그 조형의 연원을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불국사 다보탑과 석굴암 본존상의 조형이 의미하고 있는 통일신라 전성기의 남방 선진문화 도입의 양상도 풀어보았다. 우리는 석탑의 석조미술사를 연구해오면서 석조물 구조의 변화에만 골몰하여 모든 석조문화재의 조성시기의 연구에만 치중하였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조형의 의미를 분석하고 조형적 특징이 보여주는 시대적 문화양상을 역사적으로 재해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몇 가지 더 조형적인 재해석이 요구되는 석조분야의 장식기법에 대하여 새로운 의견을 피력하였다. Director General Choi Sun-woo(崔淳雨, 1916-1684) is the founder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he spent his entire life at the National Museum. And also as a senior scholar in Korean art history, he is a pioneer who have left countless research papers and writings that our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have been preserved. But his work on stone art history is rare. Perhaps it was because there was a lot of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art culture in the society at the time, focusing on craft, painting and sculpture. I do not think that he was not interested in stone art at all. For example, in his treatise on the stone stupas, he explained the footsteps of the creation of the Korean stupa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ch period. He was also considerable interest in this area. Among the objects of study in stone architecture and stone art field, he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works with excellent formative creativity and creation techniques, for example, the special design of the stone foundation on the Bulguk-sa Temple and the relief and lion decoration on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of Hwaeom-sa Temple. However, even after more than 30 years since he left the world, there has been no formative analysis of the stone art and architecture in Bulguk-sa Temple. The lion-decoration stone stupa in Hwaeom-sa Temple has also made some progress on the study of construction period, but there is little persuasive research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molding. In addition, there was no research on the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tupa of the Mireuk-sa Temple-site and Five storied stupa of the Jeongrim-sa Temple-site of Baekje. Eve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re is no study on how the base of the stone stupa has been stylized to the double floor. The grand stone base of Bulguk-sa Temple, which he did not care for his praise, is still left unsolved. In this paper, I tried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my new perspective on the lion-decoration three-storied stone stupa of the Hwaeom-sa Temple and the grand stone base of Bulguk-sa Temple which he was interested in. For example, the lion-decoration three-storied stone stupa of Hwaeom-sa Temple were examined from the molding of the lion-decoration pedestal of the ancient Chinese stone statue and I researched the formative origin of the grand stone base of Bulguk-sa Temple in the southern waterside architecture of China and Asia. In addition to this, on the aspect of the Dabo-tap stupa of Bulguk-sa Temple and the prime statue of Seokgul-am Temple, I also suggested introduction of the advanced culture of the southern advanced Asia and China in Unified Silla period. Finally, I gave a new opinion on the decoration technique of the stone art field which requires some more formative reinterpret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