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 중 1920년대 자연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상

        소미(SHAO, WEI) 문학과환경학회 2015 문학과 환경 Vol.14 No.1

        This paper examines the ideological ideas contained in the poems of Kim So Wol and Xu Zhimo, both of whom were important figures in, respectively, the Korean and Chinese literary circles of the 1920’s. Although both of them were influenced by the Romantic Movement, their understandings of nature were decidedly Eastern. Most notably, the awareness that nature is the mother of humankind and the idea of being one with nature are two main ideas that pervade their poems. Both poets shared the opinion that modern civilization acts as a significant obstacle that continually estranges humans from nature. Although modern civilization appears glamorous on the surface, it has exceedingly negative implications. Both poets fulminate against modern civilization’s pernicious implications vis-a-vis nature. In Kim So Wol’s poems, Korean people suffer and nature loses its radiance as Korea is dominated by empires. Xu Zhimo, on the other hand, laments that the spirit of modern people has been corrupted by civilization. As a remedy, Kim So Wol asserts that the only way to relieve people and to restore nature to its former beauty is to bring an end to dominate-subordinate relationships. Thus in his poems it is quite clear that the poetic narrator can never be one with nature. By contrast, Xu Zhimo suggests that the pernicious effects of modern civilization can be overcome by getting closer to nature with the aim of becoming one with nature, which would also to greater vitality. In short, both poets propose different methods for overcoming modern civilization and both methods can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dialogue that currently surrounds ecological issues.

      • KCI등재

        신석정 후기 시의 도가사상적 성격과 그 생태학적 함의

        소미(Wei Shao)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1

        신석정(1907~1974)은 작품 창작의 초기부터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많이 받아온 시인으로 알려진다. 그동안 도가사상의 관점으로 신석정의 초기 시를 설명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의 후기 시집, 특히 2007년에 뒤늦게 출판된 그의 육필유고시집 『내 노래하고 싶은 것은』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후기 시에서 자연 이미지가 어떻게 나타나고 자연에 대한 신석정의 인식이 일관되게 나타나는지를 논의한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해서 본 연구는 유고시집 『내 노래하고 싶은 것은』을 신석정의 후기 시로 포함해서 후기 시에서 드러난 신석정의 자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신석정의 후기 시에는 시집 『대바람 소리』와 『내 노래하고 싶은 것은』이 포함된다. 『대바람 소리』에 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시집에 드러난 자연 친화적인 경향을 주목하여 초기 자연시로의 돌아감으로 보는 의견들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사실상 초기보다, 신석정의 시세계에서 노장사상이 가장 절실하게 드러나는 시기는 후기이다. 필자가 살펴본 결과에 따라 신석정의 후기 시에 나타난 도가의 무위자연사상은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첫째, 유신체제기의 엄격한 검열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우회적인 저항이다. 둘째, 근대화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회복하는 대안책이다. 신석정은 자기중심적이고 인간중심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자연 본성을 되찾아야 하고, 세계관의 전환을 통하여 병리적인 인간사회를 개선하려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신석정의 후기 시는 깊은 생태학적 함의를 지닌다. One of the most prominent figures in the modern literary circles of South Korea, Shin Seok-Jeong’s poetry is well-known for its recurrent Taoist leitmotif. Previous scholarship of his poetry has primarily sought to explicate and contextualize his early poetry with reference to its evocation of Taoism. There is, however, a general dearth of academic inquiry into his later poetry, and in particular his relatively neglected anthology The Songs I Want to Sing which was published posthumously in 2007. This paucity of research into how natural images and motifs manifest in his later poetry calls for greater theoretical exploration of his thought, especially with regard to potential progressions of his ontological consciousness of nature.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his perception of nature in his later poems. Two anthologies constitute his later poetry, which notably includes his The Sound of Bamboo Wind collection that was published prior to his death. Previous research on his collection tends to invoke as a referential analytical framework the nature-friendly tendencies of his early nature poetry; yet, amore dominant form of Taoist thought similarly pervades his later poems. This study illustrates how palpable the poetic natural thought of ‘Wuwei-Ziran’ is in his later poems; first, in terms of roundabout resistance to oppressive censorship, and, secondly, as an alternative means to both addressing the ills of modern society and h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kind. Shin advocates through his later poetry the abandonment of egocentrism and anthropocentrism and proposes instead the adoption of worldview informed by the tenets of ‘Wuwei-Ziran’, which he believes would afford society the opportunity to view its problems at a more elevated level. In this respect, the later poems of Shin Seok-Jeong have profound ecolog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신석정 초기 시에 구현된 상상계 연구

        소미 ( Wei Shao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4 No.-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으로 신석정의 초기 시를 재분석하고자 한다. 라캉은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세 가지 질서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신석정의 초기 시를 라캉의 상상계의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상상계는 동일시와 오인을 기반으로 구축되는데, 주체는 거울 이미지를 자신으로 오인하고 거울 이미지와의 동일시를 상상한다. 그러나 이런 동일시는 주체의 상상에 불과하고 주체와 거울 이미지는 처음부터 이질적인 존재이므로 동일화될 수 없다. 동일시의 실패로 인하여 주체는 거울이미지로부터 소외된다. 이런 과정 속에서 주체는 자신이 타자와 분리된 독립체인 것을알게 된다. 한편 거울 이미지는 주체와 외부 세계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거울이미지를 통하여 주체는 이상적 자아, 성숙된 자아를 내다볼 수 있다. 이상적 자아는 라캉의두 번째 질서인 상징계 중의 자아 이상의 원형으로서 기능한다. 흔히 신석정의 초기 시로 분류된 두 권의 시집, 『촛불』(1939)과 『슬픈 목가』(1947)는 모두 일제강점기 아래 창작되었다. 같은 시대 배경임에도 불구하고 두 시집의 시적 경향은 많이 다르다. 『촛불』에서 이상적 자연 공간의 상징인 어머니는 거울 이미지로 나타난다. 시적 주체는 어머니와의 동일시를 상상함으로써 어두운 현실을 부인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런 상상에 의한 동일시는 외부 현실로 인한 주체의 무의식적인 불안감을 지울 수 없다. 이런 무의식적인 불안감은 주체가 ‘어머니’를 반복해서 부르는 것, 의문구와 가정법의 재차사용을 통하여 엿볼 수 있다. 『촛불』에서 주체가 추구하는 어머니와의 이자적(二者的) 자연 공간은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환상적인 세계이다. 서로 이질적인 이미지들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이상적 자연 공간은 무한성을 지닌다. 어머니로부터 소외된 주체는 계속해서 동일시할 대상을 찾게 된다. 동일시는 리비도의 투사이다. 『슬픈 목가』에서 주체의 리비도는 ‘인사로푸’와 같은 청년들로 전이된다. 청년들은 주체가 동일시하려는 두 번째 거울 이미지로 작용한다. 청년들은 주체의 이상적 자아이며 주체는 그들과의 동일시를 통하여 혁명과 조국의 해방을 꿈꾼다. 이상적 자아와의 동일시 또한 실패할 수밖에 없지만 이상적 자아의 출현은 주체에게 자신의 미래의 모습에 대한 예기를 제공해 준다. 이상적 자아는 『슬픈 목가』 뒤에 발표된 중기 시에 드러난 투쟁적주체의 원형이다. 이처럼 라캉의 이론을 통하여 신석정 작품 경향의 변화를 보다 면밀하게 고찰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arly poems of Shin Seok-Jeong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s Psychoanalysis. According to Lacan, the establishment of subject happens in three stages.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Shin Seok-Jeong``s early poems match the first of the three stages, the one called the Imaginary. The Imaginary, a crucial stage in the formation of the ego, is based on identification and misconception. By equating him or herself with the mother, an infant child can find the perfect love given by mother at the time of birth. However, the identification is an imagined one that cannot come true. It is a Mirror image that helps to connect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mirror image, the child could anticipate the ideal and mature ego, misconceiving the mirror image for himself to gain unity,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ing alienation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himself and mirror image. Shin Seok-Jeong``s early poems include two anthologies, "Candlelight" and "Sad pastoral songs", both of which were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e two anthologies are quiet different in character. In "Candlelight", a world constructed only through the subject and a mother figure is expressed. The Mother represents a transcendental guide, a companion, as well as a natural space where one could break away from reality. So the subject tries to escape from reality by equating himself with the mother. However the unconscious anxiety persists. In "Sad pastoral songs", young people act as mirror images. Through the displacement of misconceiving young people for himself, the subject dreams of revolution, and a social participatory ego is formed.

      • KCI등재

        채만식과 루쉰 지식인 소설의 풍자성 비교 연구 :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소미 ( Wei Shao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3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4 No.-

        Chae Man-shik and Lu Xun were both widely renowned satirists in Korea and China during the mid-modern and early contemporary periods, when both Korea and China were transitioning from premodern kingdoms to modern states, largely due to the influx of Western ideas. Both writers employed satire as a metaphorical weapon, underlining the absurdity of the societies created in both countries due to continued Japanese interference and also the utter foolishness and fatuousness of the peoples of these societies. They furthermore lamented the fact that they, despite being members of the elite, were powerless to alter the absurdity of the reality they so poignantly described. The process that led to the formation of their views regarding satire can largely be ascribed to their upbringing in their native countries and also the Western ideas they were exposed to. This paper investigates and explains the unique features of their views of satire in their literary works, mainly by analyzing their personalities and their societal backgrounds. A sample of eight novels were selected for detailed analysis, namely Chae Man Shik’s A Ready-Made Life, Tomorrow, My Innocent Uncle, and A Little Madness, and LuXun’s A Happy Family, In the Drinking House, The Misanthrope, and Sadness. By examining the manner in which satire is expressed in the aforementioned novels, certain conclusions regard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ovels written by the elite, as represented by Chae Man-sik and Lu Xun, can be made. In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forementioned novels, the types of satire analyzed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amely the satire of the elite and the satire of society and the others. Similarly, in analyzing the techniques used in satires, two categories were employed, namely use of irony and tone. Through this analytical process, certain conclusions were made regarding the satire of Chae Man-shik and Lu Xun, and also the consciousness with which they faced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