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비교경제연구 20년 회고와 전망

        성원용 ( Weon Yong Su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2 비교경제연구 Vol.1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비교경제학회(KACE)가 진행해 온 비교경제연구 이십년을 돌아보고, 학회활동을 평가하며, 새로운 상황을 고려하여 학회의 미래를 전망하는 데 있다. 이 분야의 다른 해외학술단체와 마찬가지로 KACE은 학문적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해왔다. 구 소비에트 사회주의체제의 붕괴 이후 시장자본주의와 사회주의 행정명령체제 사이의 오래된 비교는 비교경제학의 기초로서 그 중심적 위상을 잃어버렸다. 구 비교경제학은 새로운 비교경제연구로 대체되었다. 비교경제연구 상황에서 발생한 극적인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다음과 같은 경향들이 대두되었다. 첫째, 행정명령경제로부터 시장경제로의 이행경제에 대한 연구이다. 둘째, 각기 다른 국가의 경제활동 간 차이를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제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연구 경향이다. 셋째, 자본주의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다. 결론적으로 KACE 앞에는 다음과 같은 실천적 과제들이 놓여있다. 첫째, 관련 분야의 학문후속세대를 육성하고, 유능하고 의욕적인 차세대 연구진들을 발굴하여 학회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학계에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방안들을 찾아야 한다. 둘째, KACE는 순수학술단체로서 연구, 학술회의 및 출판활동 등 본연의 임무와 역할에 집중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앞으로는 공익적 학술단체로서 학술활동의 성과를 사회발전에 반영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한국사회가 발전의 여러 대안들을 놓고 고민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선도적으로 제시해 나가야 한다. 셋째, ``한국적 비교경제연구``라 칭할 수 있는 지적 전통을 확립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KACE는 학문공동체로서 회원 상호간의 정보교류, 친목과 협력을 넘어 글로벌 단위에서 국제학술교류를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back on the previous twenty years of comparative economic studies carried out by the KACE, assess its academic activities, and foresee its prospect in consideration of new challenging circumstances. Like other academic organizations of foreign countries in this field, the KACE is faced with the crisis of scientific identit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model of command socialism the old comparison between market capitalism and command socialism lost its centrality as the foundation of comparative economics. The old comparative economics has been replaced by the new comparative economics. Following trends are supposed to be more predominant in response to dramatic changes in the circumstances of comparative economic studies. First one is the economics of transition from administrative-command economy to market economy. Second one i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institutions that are considered to play a decisive role in making difference between economic activity behavior in different countries. Third one is focus on the study of the varieties of capitalism. In conclusion, following practical tasks of the KACE for the future are put forward. First, we need to find ways to activate the KACE by training succeeding generations in the field of comparative economic studies as well as by motivating the next generation of researcher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academic activities organized by the KACE. Second, the KACE should try to adapt academic achievements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present policy directions that can be referred in choosing one among many alternatives. Thir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intellectual tradition that may be called ``Korean comparative economic studies``. Fourth, the KACE needs to promote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in a global world beyond domestic exchange of information, friendship and cooperation among its members.

      • KCI등재

        푸틴시대 러시아의 대(對) 중국 경제관계 : 에너지와 교통물류 협력을 중심으로

        성원용 ( Weon Yong Su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09 비교경제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에너지자원개발 및 교통물류 부문에 집중하여 최근 러시아와 중국간의 경제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경제협력의 미래를 전망한다. 양국간에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경제협력이 강화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 과거 사회주의경제체제의 역사적 경험, 경제구조 및 경제발전 수준의 상호 유사성 등은 양국이 경제 현대화라는 당면과제를 해결함에 있어 공동의 대응책을 강구하면서 호혜적 관계에서 경제협력을 진행시킬 수 있는 잠재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게다가 현재 역동적인 경제발전을 배경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호보완적인 교역구조는 양국간 경제협력의 증진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문제는 경제협력 발전의 잠재력과 의지 유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잠재력과 의지를 어떻게 지속적으로 현실로 전환시켜낼 것인가에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양국은 경제협력의 토대를 제도적으로 구축하는 시도와 함께 교역과 투자를 질적으로 고도화하는 노력을 병행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This paper examines Russian-Chinese economic relations by sector for the period of Putin`s regime and projects their future development, focusing on the field of energy and transportation. There are plenty of potential for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Russia and China in a wide range of economic activity. Historical common experience of socialist economic system in the past, economic compatibility and complementary economic structure might act as factors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a reciprocal principle. In addition, complementary trade structure based on the two countries` recent dynamic economic development is expected to open up the new possibility of promot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the problem is not whether there is potential and willingness for developing economic cooperation, but how to keep on transforming these potential and willingness into a reality. In this respect, the two countries are expected to upgrade level of trade and investment in quality in parallel with the efforts to institutionalize the foundations for economic cooperation.

      • KCI등재

        남ㆍ북ㆍ러 철도협력의 현황과 발전 전망

        성원용(Sung Weon Yo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8 슬라브학보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TKR(Trans-Korean Railway)-TSR(Trans-Siberian Railway) connection project run by three countries(ROK, DPRK, and Russia) and to offer prospects for its development. With regard to railway cooperation project, this paper will focus on examining various problems by dividing the main issue into two parts - modernization of railway infrastructure in the railway section between Rajin and Khasan and the so-called ‘Rajin-Khasan project’ as logistics business that includes the building of a container terminal in Rajin and operation of ‘sea & rail’ transport with the port ‘Pusan’. Based upon these investigations, we suggest a few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execution of the TKR-TSR connection project. Finally,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show that the ‘Rajin-Khasan project’ has a real possibility of making an alternative model for infrastructure investment in North Korea. It can be argued that the ‘Rajin-Khasan project’ means to build the basis for deepening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ROK, DPRK, and Russia and to further implement international multilateral cooperation program capable of inducing North Korea into open society and market economy by bypassing Russia which has frontiers with North Korea.

      • KCI등재

        푸틴주의와 러시아 국가자본주의: 역사적 기원과 현대적 변용

        성원용 ( Weon Yong Su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4 비교경제연구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푸틴체제의 향배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푸틴주의”를 분석하고 러시아 “국가자본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기원, 그리고 그것의 현대적인 작동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이다. “국가자본주의”는 자본주의와는 다른 원리에서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자본 주의” 그 자체를 가장 근원적인 원리로 삼고 있다. “강한국가”론으로 집약되는 푸틴주의(Putinism)의 기저에는 국가자본주의가 작동하고 있고, 그것은 크렘린의 푸틴 대통령에 의해 새롭게 창조된 낯선 모델이 아니라 러시아의 전통적인 경제문화 및 러시아인의 멘탈리티(mentality)와 친화력을 갖고 있다. 푸틴시기 러시아의 국가자본주의는 옐친시기 체제전환개혁에 좌절한 대다수 러시아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전략적 선택이었으며, 국제유가 상승은 그 과실을 국 민들에게 배분하고 공감과 지지를 유인할 수 있는 호의적인 외부 환경이었다. 러시아에서 “국가자본주의”에 내재된 “강한 국가 - 강한 경제”의 원칙은 결코 약화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첫째, 러시아의 역사적, 구조적, 제도 적 전통 및 특징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고, 둘째, 현재 러시아에서 보여주는 “강한 국가”론은 러시아 역사 발전에서 내재화된 “경제문화”로의 복귀라는 점에 서 합리성과 정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동시에 국가자본주의에는 러 시아의 경제체제를 국가경제로 귀착시킬 수 있는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향후 푸틴체제와 러시아 국가자본주의의 미래는 바로 그와 같은 딜레마를 합리적으로,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utinism” as a key factor to decide the future of Putin regime, and to explore historical background of Russian state capitalism and its contemporary mechanism of work. State capitalism does not work on a quite different principal from capitalism”s one. But, on the contrary, the basic principle of capitalism itself applies to state capitalism, too. State capitalism underlies the “Putinism” converged at the discourse on “strong state”. Russian state capitalism is not a strange model made by the president Putin at the Kremlin. On the contrary, it contains some similarities to traditional economic culture and Russians” mentality. Russian state capitalism in the era of Putin was no more than a strategic choice to come up to expectations of Russian people frustrated by Yeltsin”s radical economic transformation. And the rise in the world price of oil has served merely as favourable external circumstances for getting sympathy and support from the population by sharing the fruit of the rise in oil price among them.

      • KCI등재

        TKR-TSR 연결 시범사업으로서 ‘나진-핫산 프로젝트’의 현황 분석과 대륙횡단철도 연결을 위한 정책과제

        성원용(Sung Weon-Yo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1 슬라브학보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cent change of conditions surrounding the TKR(Trans-Korean Railway)-TSR(Trans-Siberian Railway) connection project run by three countries(ROK, DPRK, and Russia), analyze the state strategies for this project in Russia and DPRK. Based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o-called ‘Rajin-Khasan project’, this paper presents the short-term and mid-to long-term tasks for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the project to connect railroads between ROK and DPRK, modernization of DPRK’s railroad infrastructure and its linkage to the Trans-Siberian Railway. In addition, the author suggests which policy priorities are more desirable in order to bring a deadlock to an end and seek for exit strategy in the tripartite dialogue between ROK, DPRK, and Russia.

      • KCI등재

        러시아의 극동지역 개발전략과 한,중,일의 극동진출정책 비교연구

        성원용 ( Weon Yong Su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09 비교경제연구 Vol.16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러시아의 극동지역 개발전략과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한·중·일 3국의 대러 극동지역 경제협력 현황 및 극동진출정책에서 드러난 각국의 전략적 목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극동진출을 활성화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러시아는 극동·자바이칼 지역이 아·태지역 국가들의 에너지·원료공급지로 전락하고 아시아-유럽간 경제적·공간적 연계체계에서 러시아가 보유한 통합적 잠재력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는 것을 국가안보상의 중대한 위협요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혁신`원리에 기초한 극동·자바이칼 지역의 경제잠재력 증대, 아·태지역에서 러시아의 국가이익 실현, 안락한 거주환경 구축 및 정주 강화 등을 지향하는 종합적인 지역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접경국의 이점과 `전략적 동반자관계`라는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지역 및 국경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일본은 일-러 지역협력의 대원칙을 선도적으로 제시하면서 실질협력을 견인하는 실용주의적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한국이 국익 극대화를 위한 국가간 견제와 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극동지역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서는 한-러간 상호신뢰 확보를 전제로 전략적 이익 공유지점을 찾아 이를 실질협력 사업으로 발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examine the latest Russian Far East development strategy and then present policy directions to accelerate Korea`s Far East advance hereafter by making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Russian Far East and ROK,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and strategic goals of each country to entry into the Far East. Russia has become wary of the risks that Russia could be transformed into only raw material and energy resources supply area for Asia-Pacific countries and could not realize its total potentials owned in economical and spatial linkage between Asia and Europe. Against this backdrop, Russia is with a great will implementing strategy for developing backward Russian Far East and Trans-baikal regions and enforcing its economic cooperations with Asia-Pacific countries. At this moment, China is enforcing regional and cross-border cooperations with Russia on the territories between Russian Far East and Northeast China provinces, using its comparative advantage as a neighboring country having common border with Russia and closer bilateral ties based on the principal of `strategic partnership.` On the other hand, Japan has taken a practical position to drive up real business cooperation, showing its ability to take the initiative in developing action plan for Russian-Japanese regional cooperation in the Far East. Therefore, in order to fully entry into the Far East under circumstances in which fierce restraint and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for national interests are expected, ROK needs to find strategic potentials of common interests based on mutual trust and convert them into real business cooperation projects.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 농업개혁의 패러독스 개인부업농과 상품 화폐관계의 공존은 가능한가

        성원용 ( Weon Yong Su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1 비교경제연구 Vol.1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개인부업농의 변화 분석을 통해 현대 러시아 농업개혁의 현황을 진단하고 그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보다 거시적으로는 21세기 자본주의의 다양성이라는 각도에서 러시아 농업자본주의의 성격을 진단하며, 나아가 상품?화폐관계의 발전과 비자본주의적 경제조직의 공존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개인부업농은 러시아 농업생산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현대 러시아 농업개혁의 패러독스적 상황을 예증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현대 러시아 농업개혁은 농업생산 단위의 재조직과 토지의 사적소유를 통해 상품?화폐 관계의 발전을 지향했지만, 역설적으로 ``비자본주의적`` 경제주체들과 조직방식이 해체되기보다는 오히려 강화되는 기이한 현상을 낳았다. 소비에트 시기 비공식경제의 유산인 개인부업농은 시장경제화 과정에서도 사멸하지 않았고, 농민이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한 도덕경제의 기반이 되었다. 최근에는 이들 중 일부 농장 규모가 독립자영농의 수준까지 근접하고 있고, 점차 상품성을 확보해나가는 경향도 발견된다. 향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협동조합 결성 등으로 대응해나가는 전략을 구사한다면 상품화폐관계 내에서 조화로운 발전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the post-Soviet agrarian reform in Russia and to forecast its future trend by analyzing the change of individual subsidiary farm. Taking a broad view of it, we will examine the nature of the contemporary agrarian capitalism in Russia and seek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commodity-money relations and non-capitalist economic organ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versity of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 Individual subsidiary farms produce not absolutely great percent of recorded agricultural output. However,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is issue, because it is one of the factors well illustrating the paradoxes of agrarian reform in Russia. Contemporary Russian agrarian reform intended to develop commodity-money relations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units and private ownership of land, but, paradoxically, it led to the uncommon situation that is consolidation of non-capitalist economic organizations, not their disintegration. Individual subsidiary farms, as the legacy of the Soviet informal economy, have not faded out in the transition to market. On the contrary, they served as the foundation of moral economy, with the help of which the peasant could survive the unprecedented economic crisis. In recent years, we find some of Individual subsidiary farms, which are close to independent farms in terms of the scale of farm and have typical characteristics of commodity-money relations. Therefore, if Individual subsidiary farms push forward a strategy to form cooperatives in order to realize economies of scale, their harmonious development with commodity-money relations are expected to be possible in the future.

      • 한ㆍ러 경제협력 10년 : 회고와 전망

        성원용(Sung Weon Yong)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1 아시아문화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t seek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in the main fields of economic cooper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Republic of Russia in the 1990s. Second, it tries to foresee the future of their economic relations in the long run and to suggest the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m. Since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Russia in September 1990, bilateral cooper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been developed in the various dimensions of economy, military, national security, culture etc. Based on the intrinsical characteristics of mutual complementarity in the field of economy, Korea and Russia have developed a very close cooperations in trade, investment,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xchanges with each other. However, we can not deny that current Korean-Russian economic cooperations have not reached to what we expected at the early stage of cooperations. In addition, the potential of economic cooperations could not be transformed into reality. For example, the volume of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only 1-2% of the total volume of Korean and Russian foreign trade respectively. Moreover, in terms of volume and number of investment, capital investment of Korean companies into Russia is very small. Equally important, problem related to the redemption of the loan provided to Russia is one of the obstacles to promote and advance the Korean-Russian economic relations. In conclusion, although many exper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terprises' activities in business level, both governments still have to play a great role in developing economic relations. It is difficult to consider Russian market, which are underdeveloped, fragile, and disorganized, as a locomotive to transform cooperative potential of two countries into reality. Therefore, both governments should actively resolve major impediments to develop trade, investment etc. Finally, they have to take a step to minimize problems that will happen in the process of economic coop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