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체력 수준 비교분석

        성순창 ( S. C. Sung ),김현수 ( H. S. Kim ),이만균 ( M. G. Le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일상생활체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농촌거주 농업종사 노인 394명과 도시거주 노인 627명을 다단계층화 집락 무선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 3개의 체격검사 항목과 7개의 체력 검사항목(성순창 등, 2004; Rikli & Jones, 2001)으로 체격과 체력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두 집단 간에 전체와 연령대 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도시 노인에 비하여 1) 남자의 눈뜨고외발서기와 여자의 등뒤에서손잡기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농촌 노인이 도시 노인에 비하여 더 우수하였다. 2) 남자의 연령대별 비교 결과, 체지방률 (모든 연령대 집단), 좌우 악력 (65∼69세), 아령들기 (70∼74세, 75∼79세), 의자앉았다일어서기 (70∼74세, 80세 이상), 등뒤에서손잡기 (75∼79세, 80세 이상), 의자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65∼69세, 70∼74세, 80세 이상), 그리고 2.44m 왕복걷기 (65∼69세, 70∼74세, 75∼79세)에서 농촌 노인이 도시 노인에 비하여 더 우수하였다. 3) 여자의 연령대별 비교결과, 체지방률(모든 연령대 집단), 좌우 악력(65∼69세, 70∼74세), 아령들기 (모든 연령대 집단), 의자앉았다일어서기 (70∼74세), 등뒤에서손잡기 (65∼69세, 70∼74세), 의자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75∼79세, 80세 이상), 눈뜨고외발서기 (70∼74세), 그리고 2.44m 왕복걷기 (80세 이상)에서 농촌 노인이 도시 노인에 비하여 더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농촌 노인의 체력이 도시 노인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 간에 체력의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농촌과 도시 노인의 생활 습관과 환경을 동시에 조사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aily living fitness levels between elderly farmers and urban dwellers. Three hundreds-ninety-four farmers and six hundreds-twenty-seven urban dwell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by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Seven physical fitness test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ggestion by Rikli and Jones (2001). 1) Physical fitness levels of the farmer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urban dwellers except one leg standing with eye-open for males and back scratch test for females. 2) For males, percent body fat (all age groups), grip strength (65-69 yrs), arm curl (70-74 & 75-79 yrs), chair stand (70-74 yrs, over 80 yrs), back scratch test (75-79 yrs, over 80 yrs), sit-and-reach (65-69 yrs, 70-74 yrs, over 80 yrs), and 2.44m up-and-go (65-69 yrs, 70-74 yrs, 75-79 yrs) of farmer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urban dwellers. 3) For females, percent body fat (all age groups), grip strength (65-69 yrs, 70-74 yrs), arm curl (all age groups), chair stand (70-74 yrs), back scratch test (65-69 yrs, 70-74 yrs), sit-and-reach (75-79 yrs, over 80 yrs), one leg standing with eye-open (70-74 yrs), and 2.44m up-and-go (over 80 yrs) of farmer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urban dwellers. It was concluded that physical fitness level of the farmers was better than urban dwellers. Research elucidating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wo districts by investigating the life patterns and environment would be warranted in near future.

      • KCI등재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혈중 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김형준 ( H. J. Kim ),이만균 ( M. G. Lee ),성순창 ( S. C. Su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9주간의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유산소 운동능력, 혈중 지질,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댄스스포츠 집단(14명)은 일일 40분, 주 3회, 9주간 댄스스포츠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10명)은 동일 처치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신체구성, 유산소 운동능력, 혈중 지질,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변인을 측정하여, 반복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댄스스포츠 집단의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그리고 BMI가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최대산소섭취량이 댄스스포츠 집단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혈중지질과 관련하여 댄스스포츠 트레이닝 집단의 TC와 LDL-C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4) 인슐린 저항성의 경우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댄스스포츠 집단의 HOMA-IR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에서 기술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9주간의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유산소 운동능력, 그리고 혈중 지질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아울러 댄스스포츠가 노인 여성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9 weeks of dance sports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erobic capacity, blood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Twenty-four elderly women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e., dance sports training group(TR: n=14) and control group(CON: n=10). Subjects in TR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for 40 minutes/day and three times/wk for 9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 were asked to maintain normal lifestyle during the same intervention period. Variables related to body composition, aerobic capacity, blood lipid, and insulin resistanc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pre- and post-test as well as between TR and CON utiliz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Body weight, body fat, percent body fat, and BMI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variables in CON. 2) VO2max tended to increase in TR, whereas it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N. 3) TC and LDL-C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4) Although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variables regarding insulin resistance in TR and CON, HOMA-IR tended to decrease in TR. It was concluded that the 9 weeks of dance sports training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aerobic capacity in elderly women. In addition, the training would have possibility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insulin resistance in elderly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