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분석 활용, 일학습병행제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수현(Su-Hyun 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기업 내 단일한 인적자원개발제도 활용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인적자본기업패널(HCCP)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직무분석 활용, 일학습병행제의 Log인당매출액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직무분석 활용은 R²= .294, β=.165로Log인당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칠수 있음을 확인하고 가설1은 지지되었다. 일학습병행제 참여는 R²= .283, β=-.129로 Log인당매출액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설 2는 기각되었다. 이는 66개의 부족한 자료에 기인하며, 새로 진입한 기업이 45개로 시간차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직무분석활용과 교육훈련 의무의 상호작용변수를 사용하여 교육훈련 의무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교육훈련을 의무적으로 이수한 기업일수록 직무분석활용이 Log인당매출액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가설3은기각되었다. 노동생산성이 증가할수록 기업들은 교육훈련에 오히려 투자하지 않으려는 이유 때문에 생산성효과가 유의하지 않다는 선행연구를 뒷받침하였다. 또한 교육훈련을 의무적으로 이수한 기업일수록 일학습병행제 참여는 Log인당매출액을 긍정(+)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가설 4는 지지되었다. 직무분석의 효과적인 면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발적 활성화를 전제해야 한다. 더불어 학벌, 성별, 종교, 국적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능력중심의 인재들을 채용하고 직무분석중심의 교육훈련을 통해 인적자원개발에 투자한다면, 일학습병행제의 학습근로자 모집은 물론 기업 내 제도적 정착이 가능하여 성과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use of a singl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in the enterprise on corporate performance using the Human Capital Enterprise Panel (HCCP) data.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sales per log of job analysis use, The use of job analysis confirms that R² = .294 and β = .165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 per log, and Hypothesis 1 is supported. The participation in the work parallelism particip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sales per log in R² = .283 and β = -. 129, and Hypothesis 2 was rejected. This is attributed to the lack of data of 66, and it was judged that there were 45 new companies entering the company. In addition,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confirm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raining and training obligation by using interaction variables of job analysis use and education and training obl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job analysis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sales per log, and Hypothesis 3 was rejected. As the labor productivity increases, firms have supported the previous study that productivity effect is not significant because they do not want to invest in education and train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training system in the job training system could strengthen the positive sales (+). Therefore, Hypothesis 4 was supported. In order to reflect the effective aspects of job analysis, the voluntary activation of enterprises should be premised. In addition, if employing talented people with diverse backgrounds such as academic backgrounds, gender, religion, nationality, etc. and investing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focused on job analysis, recruitment of learning workers in parallel with work-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performance.

      • USN과 RFID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및 출입통제 시스템

        하은용 ( Eun-yong Ha ),손혁 ( Hyuk Son ),성수현 ( Su-hyun S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2

        본 논문에서는 RFID 기술과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도어락과 출입에 필요한 카드 및 무선 도어락 정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EMS:Entrance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였다.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인 Zigbee와 비접촉식 RFID 기술이 적용된 도어락 그리고 무선 도어락과 Zigbee로 통신하는 ARM코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모듈을 개발하였고 출입통제에 사용되는 응용프로램을 웹기반으로 개발함으로써 출입통제 시스템의 접근과 관리가 용의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김진화(Kim Jin-hwa),고영화(Ko Young-hwa),성수현(Sung Su-hy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교육법이 평생교육법으로 개정된 2000년 이후,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동향을 탐구하여 발전과제를 제시하는데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이론-실천 및 정책-연구로 분석틀을 설정한 후, 평생교육의 개념과 영역에 대한 탐구,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논의과정, 평생교육의 정책 및 실천에 대한 탐색, 2000년 이후 한국 평생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BR>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평생교육학의 발전과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첫째, 인접학문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는 것에 대한 책무성을 가져야 할 것이며 둘째, 평생교육학계는 국가는 물론이고 지방자치단체까지 평생학습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평생교육의 실천현장을 확장시키고 안정시키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셋째, 평생교육학 내부의 현상과 쟁점을 명확히 하고 재생산하는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이론적 담론을 생성하고 활성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며 넷째, 평생교육학계는 인적자원개발과의 관계성을 보다 명확히 하여 협력적·공생적 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평생교육학의 지속가능한 자생적 성장과 발전을 위해 독자적인 연구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활성화되어야 하고, 평생교육의 실천 현장에서 확산되고 있는 현상을 고유한 개념으로 생성하고 법칙과 이론을 형성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academic tasks for improvement of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and reviewing the articles of the selected journals, the research documents, and the related documents of the korean policy for lifelong education practice since 2000.<BR>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verse lifelong education policy was planned and implemented since 2000. Second, the diverse theme of lifelong education has researched not only in lifelong education but also in the other fields. Third, korean lifelong education has changed and developed objective and original field.<BR>  In the article, it was to proposed that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has to bear the responsibility on the extended disciplinary of lifelong education, to make systematic lifelong educational system, to make proactive theoretical discussion, to collaborate HRD, and to develop originality methodology.

      • KCI등재

        평생교육사 직무모델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진화(Kim Jin-Hwa),김한별(Kim Hanbyul),고영화(Ko Young-Hwa),김소현(Kim So-Hyun),성수현(Sung Su-Hyun),박새봄(Park Sae-Bom)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실천현장에서 평생교육사가 수행하고 있는 업무와 직무모델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생교육 실천 영역별로 평생교육사의 직무를 객관적으로 확인ㆍ분석하여, 평생교육사의 직무모델을 설정하고 확인 및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용된 연구방법은 활동분석 및 경험채집방법, 직무분석 워크숍, 직무모델 타당성 확인을 위한 조사연구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결과는 첫째, 기존의 평생교육사 직무모델이 현장과의 적합성이 미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생교육사 직무모델을 9개 책무와 각 영역별 8개 과업으로 개발하였다. 셋째, 평생교육사의 새로운 직무모텔에 대한 타당성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BR>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직무모델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1)새로운 평생교육사의 직무모델은 9개의 책무 즉, 조사 및 분석, 기획 및 계획, 네트워킹, 프로그램개발, 운영 및 지원, 교수 및 학습, 변화촉진, 상담 및 컨설팅, 평가 및 보고 등으로 개발되었으며, 각 책무에 대해 각각 8개의 과업이 균형 있게 제시되었다. (2)기존 모델에 없었던 조사 및 분석과 변화촉진의 책무가 새로운 직무모델에 포함되어 평생교육사가 수행해야 할 전문영역에 대한 특성이 반영되었다. (3)새로운 직무모델은 평생교육사가 실천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내용 중심으로 과업을 설정함으로써 절차 중심의 일반론적인 과업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4)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평생교육 실천현장 영역의 특성을 고르게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직무모델은 표준 직무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 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empirically the lifelong educator"s job model matching with the fields of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started with the identification of lifelong educator"s duties and tasks which has been performed in the field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activity analysis and lifelong educator"s activity during last one year and sampling an experience at present. The specific techniques of the study were activity analysis, experience sampling method, workshop(DACUM), investigation.<BR>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existing lifelong educator"s job model had mismatched considerably with korean lifelong education fields. Secondly, it was developed the new lifelong educator"s job model composed of 9 duties and 72 tasks. The duties were composed of the investigation, the planing, the networking, the program development, the operation and support, the teaching and learning, the changing facilitation, the counseling and consulting, the evaluation and presentation. Thirdly, it was tested empirically the validation of the new job model.<B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w job model present impartially the duties and tasks performed in korean lifelong education fields, include the changing facilitator and the analyzer as a new role of lifelong educator, draw the practical tasks beyond general tasks matching with the field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and provide the possibilities as the standard job model of the lifelong educator in Korea.

      • KCI등재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아동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성수현 한국아동교육학회 1996 아동교육 Vol.5 No.2

        This study hopes to understand and se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and father's involvement when raising a child. And also, to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due to the mother's employment and child's sex{as to) father's involvement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8 of 5, 6 and 7 years old and 248 fathers totaling 496 in K and 1 kindergartens in Tae-Gu, and S kindergarten in Kyong Buk. For 2 weeks, achievement motivation test were conducted to 5, 6 and 7 years old children and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to 248 father to examine their involvement in raising their children. The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Lo verify the divergence between father's involvement in raising childen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well, to find infrastructure area of which, best effect the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To summariz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a statical correlation between father's involvement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That is, father's deep involvement in rasing children leads to high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children. Secon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her's involvement or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s to the child's sex. Third, a big difference appeared in father's involvement and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as to the mother's employment. Namely, father's involvement grows in working mothers, and thus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children rises as well. Forth,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involvement and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seem a bit more static in girls as to boys, working mother as to a homemaker. Finally, of all infrastructure areas of father's involvement, leasure activity appeares to have most effect in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This means that fathers participating in outings, maintain climbing, eat outs, visiting zoo or botanical gardens, playgrounds, and movie theaters with their children best effect th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