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이문서에서 전자문서로의 이전에 따른 법정책적 연구

        성봉근 ( Bong-geun Sung ) 한국법정책학회 2016 법과 정책연구 Vol.16 No.2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전자정부의 출현 등으로 인하여 소통의 수단도 종이문서에서 전자문서로 급격하게 대체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기술적인 발전에 불과한 것으로 보는 입장과 법이론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다고 보는 입장으로 대립한다. 종이문서에서 전자문서로의 이전은 인터넷의 발전과 결합하여 공법상으로는 ``보다 좋은 정부``를 구현하게 된다.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행정목적을 달성하면서도 국민들과 소통하고 책임을 분담하여 민주주의적인 참여를 확대하는데 획기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는 영미의 후기 신공공관리 이론과 독일의 제어국가와 보장국가에서 추구하는 핵심내용들이다. 행정주체와 시민들 간의 소통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전자민주주의를 구현하는데도 크게 기여한다. 사법상으로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누리던 정보에 대하여 전자문서와 인터넷을 통해 신속하고 대량으로 소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거래의 자유와 기본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게 한다. 전자문서와 인터넷의 발달은 탈경계화와 분권화를 촉진시키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사인, 기업 등 사이에 책임의 분담 내지분할을 용이하게 한다. 전자문서는 정보화 사회의 발전을 위한 수단이자, 행정개혁의 수단으로서 핵심적인 의미를 가진다. 반면에 전자문서가 종이문서에 비하여 가지는 단점들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자문서가 종이문서에 대하여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면서, 장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이론과 입법상의 노력을 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이문서와전자문서의 등가성, 무결성, 보안성, 최신성, 공개성, 기밀성 등 기본적인 문제들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정보화 사회와 전자정부에서 전자문서가 종이문서로 대체해 가는 것에 대해서는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휴리스틱적인 접근과 실험적인 접근을 계속해 나가면서 시행착오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 행정주체는 전자거래와 소통의 활성화라는 이익과 기본권 보호 이익을 이익형량 하면서, 시장과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제어해 나가야 할 것이다. As Information Society and Electronic Government has appeared, Paper Documents as tools of communication are disappearing and replacing so fast by the Electronic Documents. Many Peoples are arguing about whether this Change is only technical progress or has the significant meaning in Law Theory. But we``d better know this Change is contributing to make ``better Government``s. Because we can improve Democracy and promote participation dramatically through allocating Government``s Burden and Liability with lower Cost and more effectiveness by the help of E-Document and ICT. This is also the core message of Post-NPM in UK and US, NSM and Steering States or Ensuring States in Germany. We``d better know that this change also contribute to make people use practically use the freedom of trade because information is widely and massively open to so many people by the help of E-Document and ICT.As E-Document and Internet are developing, so many Modern Phenomena are appearing for example, De-bordering or Beyond, Decentralizing, Allocating of Liability. In conclusion, E-Documents are the core tools for promotion of Information Society and revolution of E-Government. But we``d better also know about the demerits of E-Document compared to Paper Document for example, the lack of Body, weakness of manipulation, abnormal language because of technique, dependency of technique for security, and also Digital Divide. So we should take effort to overcome demerits of E-Document and get the merits in making Law and Theory. For this aim, we``d better think over several points. At first, we shall consider about Equal Value between Paper Document and E-Document. In Public Law area, we have the Article for Equal Value through ``Electronic Government Act``. But ``Administrative Procedure Act``which is basic law for Public Administration is lack of this Equal Value Articl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law, we``d better revise``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o add the Equal Value Article. In Private Law Area, although Electronic-Commerce is prosperous, ``Civil Act`` is lack of Equal Value Article. Instead of ``Civil Act``, this Article exists in ``Framework Act on Electronic Documents and Transactions`` and several Individual Acts. Also for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in legislation, we``d better revise ``Civil Act`` to get this Equal Value Article. Second point is about Integrity and Security. The Article which make E-Document has the assumed Integrity is devised to make the E-commerce prosperous and easy in ``Framework Act on Electronic Documents and Transactions``. This Act has been revised to admit and accept not only Digital Signature but also various types of Signature. But this Act requires strict requirements for security. There are two types of Signature, those are normal electronic signature and qualified electronic signature. They have different power, because that has only power of Authenticity, but this has Integrity and Authenticity. We``d better revise law to add the Security Article i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Civil Act`` for better and systematical Legislation. Third Point is Freshness and Publicity. To make Information Society prosperous and E-Gov. more communicative, we``d better declare doctrine of Freshness and Publicity. Fourth Point is Confidentiality. Individual Information and Privac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etc. must be practically protected. New Legislation Trend is not in traditional Administrative Regulation, but in using Self-Regulation at first for Market``s Autonomie and secondary Government``s Regulation to repair and help Market. This new Regulation is proper approach and method to access and control E-Commerce Market and Information Society. This means to accept Steering State and admit Enabling State. But we shall take more effort to concrete this ideal View of State and Theory and develop legislative skill, for example ``Experimental Article``. At the same time, we``d better take effort to control various Hacking.

      • KCI등재

        부동산 전자거래에 있어서 사적 자치와 공법적 제어의 조화 - 공법과 사법의 새로운 관계 -

        성봉근(Sung Bong G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6 土地公法硏究 Vol.74 No.-

        부동산 등이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발전으로 인하여 전자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일일이 직접적인 규제행정을 활용하여 공익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규모면과 질적인 면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부동산 전자거래에 있어서 사적 자치와 공법적 제어를 조화롭게 할 수 있는 행정의 개혁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보장국가는 이러한 행정개혁을 대변하는 국가관으로서 논의되고 있다. 보장국가를 시장과의 관계에서 구현하게 되면, 제어국가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제는 공법과 사법의 관계가 엄격하게 단절되거나 공법과 사법의 구별이 전면 부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법관계를 공법관계가 감싸고 자율적인 성장을 촉진하는 관계에서 시장을 제어하여야 한다. 공법과 사법의 관계는 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특성과 유형 및 형태, 자율기능이 손상당할 위험의 정도 등에 따라 거리를 조절하여 행정이 개업할 여지와 방법을 유연하게 강구하는 동적인 것이어야 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 행정주체는 부동산 등 전자거래 시장을 활성화하고 공공복리에 대한 공익을 달성하기 위한 책임을 전적으로 지려고 해서는 안 되고, 시장과 보장책임을 분할하여 나누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법관계와 공법관계는 다양하고 원활하게 네트워킹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공사협동을 비롯한 다양한 협력관계를 활용하여야 한다. 특히 부동산 등 전자거래에 있어서는 인터넷 자율규제 등을 우선적으로 존중하되, 자율규제가 실패할 위험이 높아지게 되면 이에 비례하여 거리를 좁혀 규제하여야 한다. 이에 부합하도록 행정과 사법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헌법을 개정하고 부동산 전자거래에 대한 법령들을 지속적으로 제정 및 개정하여야 한다. Now we are expenencmg the New Era in which so many trade and exchange of goods including real estate by electronic methods in cyber space. We can call this society 'the Information Society' or 'the Digital Society'. At the same time 'E-Government' is working in this society. But because of splendid and huge progress of electronic Market and Technique, State and Provinces cannot solve many problems in this change of Era without Help of Private Sector. We cannot adhere to traditional administrative Paradigm and Government's hard Regulation any more because of already and enough experience of 'Government's Failure.' But also we cannot rely on 'Neoliberalism' and 'NPM' because of 'Market Failure'. So now we need to get the Revolutionary Paradigm so that harmonize the Market's Autonomie and Public Regulation. I propose and suggest 'Steering State' which can implement successfully 'Ensuring State' or "Guarantee State'. In this model, State respect Market Autonomie at first, so keep the wide distance with Market and prefer Self-Regulation in Market. The Struc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Market and Government is that Public Relationship and Public Sector embrace the Private Relation and Sector so that Market and Private sector work automatically very well. So State should keep the distance with Market watching and monitering Market. Even if Market works very well automatically, Steering State is prohibited to do nothing and abandon to hold Steering Handle. When the Function of Market is in danger, at that time Steering State should have narrow distance and intervene and steer the Market with proper and soft Methods. Like this way, Steering State handle and steer and control the Market considering Market's Character and Style, the Degree of Danger in Market, proper Distance with Market etc. If we want to make Steering State more effectively work even in electronic Market, we'd better to 'network' very well among State and Market, Individual, Enterprise, International Group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o 'Networking', we also need various PPP (Public Private Partnership). Especially we'd better to use combination of Self-Regulation and Government's Regulation considering distance between Market and Public Power. So we need to choose soft Self-Regulation in Internet Market primarily. But Secondary we can use strong Government's regulation only when Market Autonomie has significant problems and is in danger. We'd better revise and correct many Laws including Constitution in this direction of Steering State continuously for example as we see in German Constitution Article 87 e and Article 91 c. And we'd better to classify and divide laws into General Law and Individual Law. So We need to declare Steering State which keeps proper distance with Market including electronic market in these General Law. At the same time we'd better to give and take feed-back between General Law and Individual Law.

      • KCI등재
      • KCI등재

        사이버상의 안전과 보호에 대한 독일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성봉근 ( Bong-geun Sung ) 한국법정책학회 2017 법과 정책연구 Vol.17 No.1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 사이버 산업의 발전 및 사이버 안전과 보호 등의 이익에 비중을 둘 것인가? 아니면 민주주의와 헌법적 가치, 프라 이버시 및 정보자기결정권과 각종 기본권의 보호에 비중을 둘 것인가? 선택의 기로에서 우리의 입법·사법·행정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도록 비교법적인 분석과 소개를 하기로 한다.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연결되고 상호 접속되고 있다. 사이버 안보에 대하여도 사이버상의 안보라는 유형과 오프라인과 결합되는 유형을 모두 포함하여 이론적 접근을 하여 변화하는 현실에 대한 규범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들에 대한 해답을 얻는 접근방식은 `비교법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의 입법들을 검토하여 보았다. 이제 독일은 `헌법, 일반법, 개별법`의 순서로 배열된 매우 체계적이고 구체적이며 기술적으로 업데이트된 입법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헌법적 차원의 독일기본법이 최상위에서 작동하면서 사이버 안전과 보호를 통할하는 규범의 역할을 한다, 그러면서 일반법으로서 「전자정부법」, 「행정절차법」, 「IT 안보법」, 「IT망법」, 「IT-국가계약」, 「무선통신국가계약」등을 구축하고 있다. 개별법으로서 헌법과 일반법을 구체화하고 있는 것으로서, 「전기통신법」, 「텔레 미디어법」, 「정보보호법」, 「국제적 테러와의 전쟁에 있어서의 정보교환을 개선하기 위한 법률」, 「에너지 산업법 」, 「접근차단법」등이 있다. 이들 법률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우리 입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분석하여 보았다. 독일의 판례들도 인구조사 판결과 온라인수색 판결, 유튜브 판결 등의 주요 판결 등을 유럽연합사법재판소의 슈렘스 판결과 함께 검토하였다. 결국,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법치주의의 근본을 잘 지키면서 사이버 안전과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입법과 행정 및 사법을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주체, 절차, 형식, 내용상의 적법 요건에 부합하는 법과 행정 및 판례를 형성해 나가는 데 많은 노력과 비용을 투입하여야 하는 것이 앞으로의 중심과제이다. We shall choose the way which is convenient for merits that are from science and technology or on the contrary the way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I`ve tried to access to this theme with comparative law analysis especially using german law. I`ve analyzed many german laws on the cyber security classifying three step systems. There are from `German Constitution` to `general law` for example electronic government law, administrative procedure law, IT security law, IT Net Law etc. In addition to these laws there are also `individual law` for example, Telecommunication Law, Telemedia Law, Data Protection Law, Energiewirtschaftsgesetz Law to improve information exchange in the fight against international terrorism and protect IT-fundamental Rights etc. Also I have researched and analyzed german court`s decision including Census decision, Online investigation decision, Youtube decision and CJEU`s Schrems decision etc. Now with the IoT and Big Data technology, the wall and borders are disappearing very fast between off-line and one-line society. Therefore we are in need of change the way of thinking from separation of these two society to integration and convergence. Finally in this Information Society, legislation, administration, Judicial shall be changed for adaptation at developing and growing risks and dangers in cyber security. Especially we shall not abandon the value and interest of Human Rights including IT-fundamental as a price of convenience from science. We shall pursue the harmonization between both of them.

      • KCI등재

        수재방지를 위한 제어행정과 입법

        성봉근(Sung, Bong-G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8 土地公法硏究 Vol.81 No.-

        We can not help but worry about why the administration and the legislation for control water disaster have failed. Why have we repeated failures, and what parts should we fix and correct so that steer and control it. I want to solve the problem from looking at the causes of doubts and failures for control of it. In order that our society is justified, at first we must be able to legally govern the administrative system, including administration plans, so that we can effectively control disasters including water disaster with social consciousness. And we revise the local autonomy laws and ordinances so that we can make cooperative control administration system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Recent trends in administrative law to prepare for water disasters are using way of PPP, which means cooperation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peopl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etc. In particular, Acceptance is recently being emphasized globally. This means that the viewpoint of the legitimacy of the administrative action is switched from the administrative government to the viewpoint of the other party or third party among citizens. This is called Acceptance. At second, we should groupe the legal systems in the relevant fields in a diverse manner, and coordinate the legal systems and improve so that we can steer and control it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we should be away from the point of narrowly 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areas for example architecture and disaster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construction law, the land regulation law, the road law and the river law, we should combine them with the environmental law so that performe the steering administration of it effectively. At third, We should shifted legal paradigm for water disaster from the post-tratment to the preventive principle (Katastrophenvorsorgeprinzip). We should now introduce step-by-step regulation of risk, which is classified in detail in the Western legal system into our legal system to provide a step-by-step comparison between the potential risk (Risiko) and the probable risk (Gefahr). We shall enact this new law theory and legislation specifically in the disaster law, anti-corruption law, building law, environmental law, local autonomy law and so on. And we shall make the administration for water disaster accordingly to this new system. In order to prevent legislation, we shall revise the law from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merely accessing the micro-level which cause duplicate authority, administrative redundancy, waste of budget, and maladjustment in the field. At last, furthermore, it is now necessary to make joint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of international law and control and maintenance of domestic law. Of course, We shall also take care not to neglect post-treatment of catastrophe(Katastrophennachsorge) . We shall make legislative and executive effort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flood damage, to minimize the damage, to reduce the residual risk, as well as to repair the loss compensation, relief and insurance system. We shall apply the new administrative law system to the existing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water disaster and change it so that our society can be defined just through common efforts. 수재에 대한 제어행정과 이에 대한 입법이 왜 실패 해 왔는지에 대하여 고민하지 않을수 없다. 왜 실패를 반복하여 왔고, 어떠한 부분을 수정하고 바로잡아 나가야 할 것인가? 의문과 실패의 원인들을 짚어 보는 것에서부터 문제를 풀어나가고자 한다. 첫째, 우리 사회가 정의롭기 위해서는 수재를 비롯한 재난에 대하여 ‘사회연대의식’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행정계획을 비롯한 각종 행정에 대한 거버넌스를 법제도적으로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행정작용의 적법성에 대하여 관점을 행정주체에서 전환하여 상대방이나 제3자 등 주민의 시각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를 수용(受容, Akzeptanz, Acceptance)이라 한다. 둘째, 건축이나 재난 등에 대한 특정 분야에서의 규명에만 좁게 대응하던 관점에서 벗어나야 한다. 관련되는 분야들에서의 법제도들을 묶어서 입체적으로 규율하여야 하며 법제 도들이 상호 효과적으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정비하여야 한다. 건축법, 토지규제법령, 도로법과 하천법 등을 정비함은 물론이고 환경법 등과 결합하여 수재 등에 대한 제어행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지방자치법령을 정비하여 수재에 대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협조적인 제어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최근의 세계적인 새로운 수재 등 재난에 대비하는 행정법의 흐름은 공사협동(PPP), 중앙과 지방의 협력, 행정기관간의 협동 등 대화형 행정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셋째, 수재방지는 사후방지 중심에서 사전예방의 원칙(Katastrophenvorsorgeprinzip)으로 비중을 옮기지 않으면 안 된다. 서구의 법제에서 상세하게 구분되고 분류되어 있는 위험의 단계별 규제를 이제는 도입하여 가능성 단계인 위험성(Risiko 또는 리스크)와 개연성 단계인 위험(Gefahr)의 단계별 대비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법이론과 법제도를 재난법과 수재방지법령, 건축법, 환경법, 지방자치법 등등에 구체적으로 입법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행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수재방지 등을 위하여 입법의 정비를 함에 있어서 미시적으로만 접근하여 권한이나 행정의 중복, 예산의 낭비, 현장에서의 부적응 등을 겪기보다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국내법을 정비하여야 한다. 나아가서 이제는 세계적으로 수재 등 재난을 어느 한 나라의 국지적이고 지역적인 문제로 치부하지 않고, 국제사회의 공동의 노력도 필요하다. 따라서 국제법의 고려와 국내법의 조절 및 정비 역시 필요하다. 물론 수재방지를 위해서는 사후배려(Katastrophennachsorge)도 경시하지 말고 신경을 써야 한다. 수재에 대한 재발 방지와 피해의 최소화, 잔존 위험성의 감소 등은 물론 손실보상과 구제 및 보험제도 등의 정비에도 입법과 행정상의 노력이 정비되어야 한다. 수재방지를 위한 기존의 행정법에 새로운 행정법의 내용들을 접목시키고 공동의 노력을 통하여 우리 사회가 정의로워질 수 있도록 변화하여야 한다.

      • KCI등재

        공물법제의 규범과 현실의 불일치와 입법과제 : 하천 등 공유수면을 중심으로

        성봉근(Sung, Bong-G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2 No.-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하천의 범람이나 소멸 등과 관련한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공유수면의 경우만 보더라도 기존의 법이론과 법제도에 대하여 문제가 없는지 규범의 실효성과 괴리에 관한 질문들을 다양하게 던지게 된다. 하천 등 공유수면을 규율하는 공물법제는 제대로 입법된 것이 맞는지, 제대로 해석과 적용이 가능하도록 작동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질문도 그 중 하나이다. 공유수면이나 하천, 도로 등에 대한 공물법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외면한 채 제대로 정비되지 못하고 낡은 지 이미 오래된 분야에 해당한다. 공물법제는 다른 분야들에 비하여 법과 현실의 간격과 괴리가 심하다. 공물에 대한 입법은 지속적으로 법과 현실의 간격을 조사하고 발견해 나가면서 간격을 좁혀가야 함에도 입법부와 행정부는 이를 외면해 왔다. 공유수면 법제를 보더라도 이러한 입법의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행해나가는 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보장국가는 공유수면에 대한 급부를 국민들의 복지와 생존배려(Daseinsvorsorge)를 위하여 입법을 통하여 보장할 의무가 있다. 공물법제의 정비 없이는 문제해결 능력 있는 행정을 기대하기 어렵고, 법원의 판결 역시 체계적으로 축적되어 가기 어렵다. 예를 들면 공유수면의 경우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를 개정하여 현실과 규범이 불일치하여 무리한 법의 해석과 적용을 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시정하여야 한다. 규범과 실제 현실의 괴리를 좁힐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국유이든 공유이든 개인 소유이든 물에 대한 공공복리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도록 하여야 한다. 수면 또는 수류에 인접한 토지까지 포함해서 개념부터 수정하여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물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실질적인 공유수면의 개념을 정의하고, 물의 합리적인 이용과 유용한 이용을 위한 관리가 되도록 개정하여야 한다. 수면 및 수류 이외에도 인접 토지도 공유수면의 개념에 포함시키고 그 기준을 마련하는 입법적 작업(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행정규칙)의 체계를 구비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복잡한 법률을 잘 적용할 수 있도록 공유수면관리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s related to river flooding or extinction are frequently occurring. Even in the case of public waters, various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norm and the gap between law and practice are asked whether there are any significant problems with the existing legal theory and legal system. Public Property is specially regulated by public law through public designation for public purposes. Legislation should be in place so that the administration can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achieve public objectives for various tributaries such as roads, rivers, ports, airports, parks, and cultural properties. However, the gap and separation between law and reality is severe in administrative law with various individual fields. Legislation on Public Property should also continue to investigate and discover the gap between law and reality, and make legislative efforts to reduce the gap. The Ensuring State is obligated to guarantee the use and benefits of Public Properties through legislation for the welfare and survival of the people. When we fulfill the legislative obligations to reduce these gaps and catch up with the reality, we can in the course of the administration easily find the standard to solve the problem and implement it. And we can also easily accomplish the justification of the court s ruling. In order to find and reduce the gap between these laws and reality in various individual fields related with public property, above all in this article I have focused on and discussed the scope of public waters. Especially Article 2, Section 1 of the 「Act on the Management and Reclamation of Public Waters」 shall be revised to fundamentally correct the phenomenon of mis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s due to inconsistencies between reality and norms. It should be possible to match the norms with the reality without discrimination. Whether the kind of Public Property is state-owned, shared or privately owned, systematic management for public welfare of water should be made successfully and effectively. Including the land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or current can provide a legal basis for solving the problem through legisl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the legislation can consider a concept of shared water and thus is able to manage for rational use and useful use of water. In addition to water and water curr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of legislative work (laws, legal statute, and administrative rules) to include adjacent lands in the concept of shared water and to establish standard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mend ‘PUBLIC WATERS MANAGEMENT AND RECLAMATION ACT’ so that complex laws can be applied very well reducing and overcomin the gap between law and practice.

      • KCI등재

        공공부문 클라우드 규제 현황과 개선과제 : 자율규제와 규제된 자기규제의 연구를 중심으로

        성봉근(Sung, Bong-G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1 土地公法硏究 Vol.96 No.-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가 우리 사회와 기업 등 민간부분 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도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과 4차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하여 학교와 기업, 시장 및 가정 등은 물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클라우드(cloud) 서비스 사용이 폭증하게 되었다. 이제 클라우드 서비스가 민간 부분뿐만 아니라 공공부분에서도 점차 활성화되어 가고 있다. 최근 우리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디지털 혁신방안’을 이행하기 위하여 공공부문에서도 클라우드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비대면과 비접촉 방식을 요구하게 되는 재난사회 또는 고위험사회에서 급증하는 트래픽을 관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는 공공부문에서도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우리 정부는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신뢰성과 안전성, 보안성 및 기술성에 하자가 있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공공부문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사후구제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심각한 상황이 된다. 그렇다고 일일이 국가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감시와 규제를 할 수도 없는 일이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질서를 불어넣은 법적인 접근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법을 취하여야 할지 등 중요한 문제가 현안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연구의 중점을 자율규제와 규제된 자율규제를 통해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두고 연구하였다. 핵심은 공공부문 클라우드 서비스는 공공서비스로서 제대로 제공되는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제 공공재는 동산이나 부동산 같은 유체물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공공부문 클라우드와 같은 공적 서비스도 강조된다. 법령을 종합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이용지원시스템에 등록된 디지털서비스라고 하더라도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장관의 등록취소는 전통적인 고권적 규제로서 행정청의 권력적인 단독행위로서 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의 처분에 해당한다. 등록취소사유를 분류하면 우선 잘못 등록이 된 하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발급하는 직권취소의 경우가 있다. 정부가 조달사업법 을 전면 개정하면서 ‘규제된 자기규제’를 공공부문 클라우드 서비스 등 각종 디지털서비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고권적 규제를 통하여 공공부문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도록 혼용하는 방법을 취하기 시작하였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법령의 개선과 변화는 적절한 규제믹스를 활용하여 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이므로 타당하다. 앞으로 더욱 탄력적이고 효과적으로 다양한 규제를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Corona virus is causing many changes in the public sector as well as in the private sector such as our society and businesse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use of cloud services has exploded not only in schools, businesses, markets and homes, but also i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Now, cloud services are becoming increasingly active not only in the private sector but also in the public sector.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is expanding cloud adoption in the public sector in order to implement the ‘digital innovation plan’ at the Cabinet meeting. Cloud services are becoming essential even in the public sector in that they can manage and process rapidly increasing traffic in a disaster or high-risk society that requires non-face-to-face and contactless methods due to the Corona crisi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PROTECTION OF ITS USERS . In such a situation, if the cloud service provider commits an act that has defects in reliability, safety, security and technology, the damage occurring in the public sector becomes a serious situation that cannot be resolved only by post-remedies. However, the state cannot monitor and regulate cloud services individually. Therefore, important issues such as whe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orderly legal approach while respecting the autonomy of the cloud service market and, if possible, what kind of method should be taken, are becoming important issues. In this paper,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effectively improving the regulation of public cloud services through self-regulation and regulated self-regulation. The key is to maintain the level at which public sector cloud services are properly provided as public services. Now, public goods are not only important for tangible objects such as personal property and real estate, but also public services such as public sector cloud. Combining the laws and regulations, the Minister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ay cancel the registration of a digital service registered in the use support system through the review of the committee. Cancellation of the Minister s registration is a traditional high-authority regulation, and it is a single act of power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which corresponds to the disposition under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f the reasons for cancellation of registration are classified, there is a case of ex officio cancellation issued to remove defects that have been incorrectly registered. While the government completely amended the Procurement Business Act ,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digital service contract system so that regulated self-regulation can be used in various digital service fields such as public sector cloud servic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take and analyze the method of mixing so that public sector cloud services are properly provided. Improvements and changes in these laws are justified because they are to revitalize the market by utilizing an appropriate regulatory mix. In the future, various regulations should be utilized more flexib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실시계획에 대한 인가 절차 및 법적 쟁점

        성봉근(Sung, Bong-Geun),손진상(Son, Jin-Sa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8 No.-

        대규모 공공시설에 대한 실시계획인가들은 더 이상 일방적인 행정을 강요하여 우리 사회의 갈등과 반목이 반복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실시계획에 대한 인가 역시 구성원들의 공적인 토론에 의하여 결정되는 ‘숙의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은 물론 행정기관들 사이에서의 ‘대화형 행정’의 세계적인 흐름에 부합하도록 실시계획인가의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한다. 공간에 있어서 ‘평등한 생활관계 보장’ 이라는 관점에서도 마찬가지로 절차를 소홀하게 취급하는 법제와 판례의 실무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실시계획에 대한 인가는 대규모 공공시설에 대한 행정계획결정으로서 처분성이 있으며 계획재량이 인정된다. 계획재량에 대한 인가는 보충행위인 인가라고 하기 보다는 설권행위인 특허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실시계획에 대하여는 여러 복합적인 법령상의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인허가의제 규정을 두어서 관할과 절차를 집중하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것은 겉으로 보면 대단히 행정능률을 도모하기에 편리한 법제도이지만, 실질적으로 속을 들여다보면 수많은 이해관계인들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절차를 덮어 버리는 것이다. 이는 개발위주의 행정정책으로 이어져 온 우리 행정의 현실과 관련성이 있으며, 일방적 행정의 패러다임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개발위주보다는 충분한 토론과 대화를 통하여 공공갈등을 해결하는 대화형 행정의 단계로 가야할 시기이다. 독일의 계획확정절차를 도입하거나 아니면 우리식으로 수정한 실시계획절차이든, 대화형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야 한다. 따라서 독일의 ‘계획확정결정’에서처럼 ‘집중효’를 도입하거나 우리의 ‘인허가의제’에 대한 입법을 수정하여 중요한 절차는 생략할 수 없도록 개정하여야 한다. Government has been often decided to determine Authorization about Scheme of Execution for Public Facility without communication and due process. This one-sided administration paradigm in it caused public conflicts grow bigger in our society. Now is the time to stop this decision style in also public facilities. We shall change it and determine Authorization about Scheme of Execution for Public Facilit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members in this society by the communication process about whether to decide, where to locate and how to compensate etc. Therefore, we shall change the paradigm of Authorization and Plan about Scheme of Execution for Public Facility so that we can catch up with the global trend of ‘interactive administration’ among the social members as well as administrative institutions. We are also necessary to revise the practice of law in court and legislation not to neglect the procedure, because we shall also consider the viewpoint of ‘guaranteeing equal living relations’ in space. Authorization about Scheme of Execution is an administrative plan decision for large-scale public facilities. It is disposable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planneddiscretion is used for balance between so much related public interest and private interest. It is not exact if we call it Authorization because it’s character is belongs to patent which is generated to privilege to build public facilities for public interest. It is a principle that the Authorization about Scheme of Execution for Public Facility should be issued with conditions under various complex laws and ordinances. But it is often that the jurisdictions and procedures are concentrated with the provision of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or ‘concentration effect’. This legal system is very convenient for promoting administrative efficiency on the surface, but if we look inside, it neglects often the process for resolving the conflicts of many interested parties. This is related to the reality of our administration, which has lead to developmentoriented administrative policies, and it remains a paradigm of unilateral administration or ‘command and control’ administration. It is time to transfer to the stage of interactive administration to resolve public conflict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and dialogue rather than development-oriented decision. Now I suggest that we change the paradigm interactively, either by introducing a ‘German plan confirmation procedure’ or by implementing a modified version of our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Therefore, as in the German ‘German plan confirmation procedure’, we have to amend the legislation including ‘administrative procedure law’ so that important procedures for resolving conflicts of people can not be omitted.

      • KCI등재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법적 규제

        성봉근(Sung, Bong-G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0 No.-

        The corona virus is changing the global economy and society. One of them is the increased use of cloud services. Post-Corona society and government have become more dependent on cloud services. By the way around the cloud service, global cloud service companies use market dominant power to abuse or inadvertently cause damage to users, and even cross the border and cause conflicts with administrative bodies such as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Despite the recent legislation of Act o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Protection of its Users, there is a wide range of things that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The challenge remains how to fill the legislative gap successfully. The recent international trend of regulation is not only ‘high-level regulation’ but also ‘Self-Regulation’’ or “Regulated Self-Regulation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regulation. In this paper, however, the scope of the study is reduced, focusing on effective administrative measures for global cloud services as high-level regulations. In this regard, we reviewed the significance, legal obligations, and effective administrative measures in case of failure to comply with global cloud service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stands on the premise to be used with self-regulation or regulated self-regulation. Administrative Penalties should be used for minor violations rather than Criminal Penalties. However, there is also a challenge in the market for Administrative Penalties.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and the legislative system of Act o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Protection of its Users should be maintained as general-concrete legislation system, but the specific and individual contents of the penalty shall be legislated and appli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peculiar nature. In addition, I believe that we should not only impose penalties but also combine other effective mea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However, in order for the effect to be a real success, it is very important to use new penalties to eliminate illegal profits. It is also necessary to raise the new penalty amount to an effective level. Furthermore, for global cloud companies, as shown in Europe, naming global companie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rket and giving them shyness and shaming by indicating the violations are more effe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public announcements in administrative law. In order for the government s regulation of this market to be constitutional and justify, without under- or over-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and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코로나 바이러스가 글로벌 경제와 사회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그 중에 하나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코로나 이후의 사회와 정부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더욱 의존적이 되게 되었다. 그런데, 클라우드 서비스를 둘러싸고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이 시장지배적인 힘을 이용하여 이를 남용하거나 부주의하여 이용자들에게 손해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국경을 넘어서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 행정주체와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제 기본권침해의 주체는 국가 등 행정주체에 국한하지 않고 인간에게 필요불가결한 서비스를 독과점하는 기업에게로 확대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이 최근 입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규명되지 못하는 것들이 광범위하다. 어떻게 이에 대한 입법적 공백을 성공적으로 메워나가야 할 것인지 쉽지 않은 과제가 남아 있다. 최근의 규제의 국제적 흐름은 ‘고권적 규제’ 뿐만 아니라 ‘자율규제’나 공동규제의 성격을 가진 ‘규제된 자기규제’를 ‘병행’하여 조화롭게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고권적 규제로서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실효적 행정조치에 포커스를 맞추어서 연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의 의의, 법적인 의무, 그리고 의무를 불이행하였을 때를 대비한 실효적 행정조치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율규제나 규제된 자기규제 등과 함께 활용하기 위한 전제에 서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행정형벌의 수단보다는 경미한 의무위반에 대하여는 과태료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 시장에서는 과태료 역시 개선할 과제가 남아 있다. 질서위반행위법이라는 총론과 클라우드컴퓨팅법 이라는 각론적인 입법체계는 유지하되, 각론적인 성격에 부합하도록 과태료의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내용은 다르게 입법하고 적용하여야 한다. 또한 과태료 부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비례의 원칙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효과적인 다른 수단들을 함께 병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효과가 실질적인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과징금을 사용하여 불법수익을 박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과징금의 금액을 실효적인 수준으로 상향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서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에게는 유럽 등지에서 보듯이 과학기술분야의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에 대하여 이름을 밝히고(Naming), 그 위반사실을 적시하여 부끄러움과 수치심(Shaming)을 안겨 주는 것이 오히려 더욱 성과와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행정법상 공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의 이 시장에 대한 규제가 과소규제나 과대규제가 되지 않고 성과를 거두면서도 헌법적 정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비례의 원칙을 적용하고 준수하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