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 통계 · 정보에 기반한 한국의 기초연구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귀순(Kwisun Park),석혜은(Hyeeun Seok),박진서(Jinseo Park),김해도(Haed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최근 과학기술정보 콘텐츠 분석 기반의 R&D 전략 수립이 중요시됨에 따라 국내 · 외 과학기술 통계 · 정보를 수집, 범주화하여 DB를 구축하고 이를 증거 기반의 기초연구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국내 · 외 49종의 과학기술 관련 보고서 등 자료를 수집하여 6,446개 지표 추출, 877개 통계 · 정보로 범주화, 이 중 208개를 집중 관리 통계로 도출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DB의 활용성 제시를 위해 논문정보 관련 심층분석을 통해 제한적으로나마 우리나라 기초연구의 효과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피인용 논문창출과 R&D 투자 간의 통계기반 분석과 고피인용 논문의 국내 · 외 지식맵 비교 ·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초연구비 증가가 우리나라의 보편적 연구활동도와 세계적 연구성과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수기초연구분야로 간주되어온 수학, 물리, 화학이 신성장동력이라 불리는 AI, 청정에너지 등 기술 발전의 기반이 되어왔음을 알 수 있었다. A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R&D strategy planning based on S&T evidence, the S&T DB was conducted to develop appropriate basic research support strategies by collecting 49 multiple-nations statistics and information, extracting 6446 raw data, categorizing 877 indicators including 208 core indicators. An statistical and knowledge map analysis using the highly cited publication-related indicator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ansion of DB utilization by demonstrating effectiveness of Koreas basic research. As a result, basic research investment have a strong influence on creating outstanding R&D outcomes and on producing a foundation of various S&T based-growth engines.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경화(KyoungHwa Kim),석혜은(HyeEun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308편의 연구들을 발표된 시기별로 양적 변화추이를 살펴본 후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는1990년부터 발표되었고,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5년부터였다. 특히 2009, 2013, 2016, 2021년에는 연구의 양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토픽모델은 계량적 지표와 정성적 기법을 종합하여 4개의 토픽으로 구성된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매체 교육’, ‘교육 내용 및 영역’,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한편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연구는 양적으로 매우 적어, 본 연구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To this goal, we examined the quantitative change trends in 308 studies by publication period and then analyzed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Domestic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research has been published since 1990, and discussions began in earnest in 2005. In particular, a quantitative increase in research was confirmed in 2009, 2013, 2016, and 2021. For the Topic Model, a model consisting of four topics was selected by combining quantitative indicators and qualitative techniques, and was categorized into the areas of 'media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 and area',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did. Meanwhile,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which is emphasized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is quantitatively very small,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