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2O방식이 적용된 대리운전 서비스의 소비자 후생효과

        석한음 ( Haneum Seok ),김수진 ( Sujin Kim ),최재헌 ( Jaeheon Choi ),김현명 ( Hyunmyung Kim ),강성민 ( Seongmin Kang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6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대리운전시장에서 O2O (Online to Offline) 서비스 도입을 위한 이용자 행태분석을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대리운전 이용자들이 확대되면서 운전자들의 성별이나 연령, 소득 분포들이 다양해지고 있어 이용자들의 대리운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리운전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이용행태와 현재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속성들을 동시에 조합해 가상적인 서비스 속성집합 간의 만족도 비교를 설문조사하여 각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지불의사를 파악할 수 있는 컨조인트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설문조사 참여자들은 O2O기반의 대리운전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현재 대리운전 서비스에 비하여 21% 정도의 추가 지불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연령 및 성별그룹에 따라 각 요소들에 의한 추가 지불의사가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젊은 여성들의 서비스 신뢰도에 대한 지불의사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이 대리운전 서비스 주요 속성에 대하여 중요도를 상당히 다르게 평가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used Conjoint Analysis to examine users` behavior for the case of the introduction of O2O (Online to Offline) Service to the rapidly growing `designated driver service` in Korea. With the growth of the industry, the diversity of customers has broadened in terms of their gender, age and income. Hence, in order to maximize customer satisfaction from the servi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level of service provided and customers` experience. This study surveyed users` satisfaction with various hypothetical attributes using multi-variable conjoint analysis assessing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and its effect on customers` willingness to pay. In sum, compared to the current service platform, customers were willing to pay an extra 21 percent for O2O-based designated driver service. Besides, the effects of service attributes on customers` willingness to pay varied significantly with customer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young female customers were inclined to pay more for service reliabilit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depended on customers` gender.

      •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을 이용한 회전교차로 내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석한음(Seok, Han Eum),최재헌(Choi, Jae Heon),손영태(Son, Young Tae),김영준(Kim, Young Jun)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국내에서는 2010년을 기점으로 전국적으로 회전교차로 시범사업이 실시되어 설치 및 운영되고 있으나 회전교차로에서의 사고분석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의 기하구조와 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하여 회전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사고 발생건수와 그 정도를 줄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회전교차로 시범사업에서 선정된 회전교차로 중 현장조사 자료가 있는 16개의 회전교차로를 대상으로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평균교통량, 중앙교통섬의 지름, 도시/지방부, 회전교차로의 유형의 변수들이 회전교차로 내 교통사고의 모형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운전자들에게는 아직 회전교차로가 익숙하지 않아 통과방식에 미숙한 운전자들이 많을 것으로 판단하여 통행방법 안내표지판 변수를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5개의 변수로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과산포가 존재하여 음이항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 졸음운전사고 위험구간 분석을 위한 셀(cell)단위기반 사고DB GIS 방법론 개발

        김수진(KIM, Sujin),최재헌(Choi, Jaeheon),석한음(Seok, Haneum),이현(Lee, Hyunseok),김현명(Kim, Hyunmyung)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해 마다 우리나라의 전체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감소하고 이에 따른 졸음운전 사고의 발생건수도 줄고 있으나,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졸음운전 사고 역시 일반적인 교통사고와 마찬가지로 사고다발지점과 같은 특정 지점(Spot) 및 링크(Link)에 집중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으로 확대한 구간개념을 도입하여 사고위험구간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고속도로를 포함하고 있는 셀(Cell)을 기준으로 셀 단위의 졸음운전 위험구간 시각화 방안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도로공사가 제공하고 있는 교통사고 속보자료(2011년~2015년)를 통하여 사고DB를 구축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하는 고속도로 35개 노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속보자료의 경우 GIS상의 정확한 위치좌표가 아닌 이정거리를 표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지오코딩(Geo-coding)을 통하여 xy-좌표를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지오코딩을 통하여 변환된 사고 좌표들을 셀 단위로 계산하여 졸음운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험구간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통사고의 지점을 표현하는 사고DB들과 달리 셀 단위를 기반으로 한 사고위험구간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GIS상 셀 단위의 사고 데이터와 다양한 지표들 간의 관계와 활용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