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에서의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발현

        서형진 ( Hyoung Jin Sou ),김종욱 ( Jong Wook Kim ),김세련 ( Se Ryun Kim ),이상엽 ( Sang Yeop Y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1

        목적: 산화질소는 반감기가 짧고 아질산염으로 쉽게 산화되어 활성도 측정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을 통하여 산화질소가 월경 주기에 따른 영향과 자궁근종에 의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확인하여, 자궁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관여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양성 질환으로 전자궁적출술을 받은 폐경 전 여성을 대상으로 근종만 진단된 경우를 실험군으로, 근종이나 다른 병변이 없었던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각각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고, 증식기와 분비기로 분류하여 각 시기에 해당하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자궁내막과 자궁근육에서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혈관내피세포에서 많이 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319, P=0.264). 월경 주기에 따른 자궁내막의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 발현 비교에서 증식기에는 대조군에서, 분비기에는 실험군에서 강하게 발현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549, P=0.240). 월경 주기에 따른 자궁근육의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 발현 비교에서 증식기에는 대조군에서, 분비기에는 실험군에서 더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0.279, P=0.224). 결론: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는 자궁에서 자궁내막이나 자궁근육의 혈관 내피세포에서 발현하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궁근종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좀 더 많이 발현하고, 분비기에 좀 더 많이 발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Objective: Nitric oxide has a short half-life and is easily oxidized by nitrite, we can indirectly find out its activity by measuring the nitric oxide synthase in 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modes of eNOS in uterine endometrium and myometrium between the patients of uterine leiomyoma and the control group. Methods: We defined the patient group as perimenopausal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uterine leiomyoma and underwent total hysterectomy, and the control group as the women who had no lesions in uterus. All of them were classified into proliferative phase and secretory phase by the Noyes standards and compar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eNOS. Result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of uterine leiomyoma and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endometrium P=0.319, myometrium P=0.264). The expression of eNOS in the vascular endothelial cells of the endometrium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by menstrual cycle (proliferative phage P=0.549, secretory phage P=0.240). The expression of eNOS in the myometrium als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y menstrual cycle or by group statistically (proliferative phage P=0.279, secretory phage P=0.224).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was higher in the patients of uterine leiomyoma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during the secretory phase in menstrual perio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e suppose that we can ge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f we have many cases of subjects.

      • KCI등재
      • KCI등재

        자궁 근종의 치료로 자궁동맥색전술 시행 후 3년간 임상 경과의 변화

        서형진 ( Hyoung Jin Sou ),김세련 ( Se Ryun Kim ),박영준 ( Young Joon Park ),장형선 ( Hyoung Sun Jang ),류기영 ( Ki Young Ryu ),김종욱 ( Jong Wook Kim ),송순영 ( Soon Young S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자궁 근종 환자에게 자궁동맥색전술을 시행한 후 약 3년 간의 추적 관찰 도중 증상의 호전 여부와 자궁 및 근종의 크기 변화를 알아보고 일차적 치료 방법으로써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5년 동안 질식 초음파 및 MRI를 통해 자궁 근종이 진단된 환자로 수술적 치료를 원하지 않고 외래로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25명을 대상으로 자궁의 용적, 근종의 용적 변화, 증상의 호전 여부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자궁의 용적은 시술 3개월 후 147 cm3 (-27%, P=0.0238), 6개월 후 167 cm3 (-22%, P=0.0072), 3년 후 154 cm3 (-27%, P=0.0082)로 용적이 감소되어 있었고, 근종의 용적은 시술 1개월 후 66 cm3 (-59%, P=0.0070), 6개월 후 41 cm3 (-55%, P=0.0014), 3년 후 65 cm3 (-60%, P=0.0445)로 용적이 감소되었다. 3년 경과 후에도 20명의 월경과다 환자 모두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였으나, 생리통 및 하복통을 호소하던 환자 9명 중에서 2명 (22%)은 시술 전, 후 증상의 개선이 없었다. 결론: 자궁 동맥 색전술 시행 후 3년간 관찰한 결과, 자궁 용적 및 근종의 용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보이며, 근종과 관련된 증상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our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uterine artery embolization as primary treatment for symptomatic uterine fibroid Methods: From December 1999 to December 2004, 25 patients underwent uterine artery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uterine fibroid.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at regular intervals (at 1st, 3rd, 6th month and annual) for 3 year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about 41 month (range; 41±15). During follow-up period, consecutive uterine and fibroid volume, and symptoms were checked. Results: The uterine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27% (P=0.0238) after 3month. And the fibroid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59% (P=0.0070) after 1month. The uterine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27% (P=0.0082) after 3 years. And the fibroid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60% (P=0.0445) after 3 years. All women reported noticeable improvement of menorrhagia after complete of follow up. But, two of nine women who had symptoms of dysmenorrhea or lower abdominal pain, showed no changes in symptoms Conclusion: Uterine artery embolization appears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symptoms, and substantially reducing uterine and fibroid volume with few complication after 3 years. However, long 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efficacy of this proced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