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대형(Dae-Hyoung Lee),서재순(Jae-Soon Seo),신복음(Bok-Eum Shin),이용선(Yong Seon Lee),조창휘(Chang Hui Cho)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5
본 연구에서는 쌀 전처리 방법인 고두밥, 범벅, 죽으로 만드는 밑술 및 덧술의 발효 유형을 분석하여 품질이 향상된 다양한 탁주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밑술의 경우 알코올은 2일 후 고두밥에서 가장 높은 8.1%가 생성되었으며 다음으로 범벅, 죽 순이었다. 가용성 고형분(oBrix)는 발효 2일차에 죽, 고두밥, 범벅 순으로 15.3, 15.1, 1.4oBrix를 나타내었다. 고두밥의 glucose의 함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maltose 함량은 증가하였고 범벅의 경우 초기 0일차에는 maltose가 16.48 mg/mL에서 1.27mg/mL로 감소하였다. 죽의 경우 0일에는 glucose와 maltose가 14.05, 11.49 mg/mL에서 2일차에는 31.39, 42.53 mg/mL로 증가하였다. 고두밥과 범벅 밑술에서 succin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고두밥과 죽 밑술은 발효 초기에 검출이 안되었던 lactic acid가 분석된 반면 범벅 밑술에서는 lact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덧술 발효에서는 고두밥 밑술로 만든 탁주의 알코올이 9일에 18.0%로 가장 높았으며 범벅이 15.1%로 가장 낮았다. 산도는 범벅이 0.54%로 높았으며 죽은 0.41%, 고두밥은 0.39%를 나타내었다. 범벅의 총 유기산 증가가 가장 많았으며 고두밥의 총 유기산 증가가 가장 적었다. 향기에서는 고두밥의 경우 0일차에 높은 area %를 가졌던 ethyl caprate 및 ethyl caprylate가 9일 발효 완료시 감소하였으며 바나나향이 나는 isoamyl alcohol은 증가하였다. 죽의 경우도 유사하게 0일차에 높게 생성되었던 ethyl caprate, ethyl caprylate 등은 9일차에 감소하였으며 ethyl palmitate, ethyl linoleate 등의 향기 성분은 증가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ree rice pre-treatment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mit-sool (first mashing), with godubap (steamed rice), beombeok (undercooked porridge), and juk (porridge). The results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akju with improved quality. In terms of the base alcohol, godubap produced the highest amount of alcohol (8.1%) after two days, followed by beombeok and juk. After two days of fermentation, soluble solids were measured at 15.3, 15.1, and 1.4oBrix in beombeok, juk, and godubap, respectively, The glucose content of godubap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however, the maltose content increased. In beombeok, maltose decreased from 16.48 mg/mL on the initial day 0 to 1.27 mg/mL on day 9. In juk, glucose and maltose increased from 14.05 and 11.49 mg/mL on day 0 to 31.39 and 42.53 mg/mL on day 2, respectively. Succinic acid levels increased in the godubap and beombeok mit-sool. However, succinic acid was not detected in godubap and juk during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lactic acid was not detected in beombeok mit-sool.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of deot-sool (second mashing), the highest alcohol content of takju made with godubap alcohol was 18.0% and the lowest alcohol content was 15.1% in beombeok on day 9. The total acidity was as high as 0.54% for beombeok, 0.41% for juk, and 0.39% for godubap. In the flavor analysis, ethyl caprate and ethyl caprylate, which were high on day 0 in godubap, decreased upon the completion of fermentation on day 9. Banana-flavored isoamyl alcohol content increased. For juk, ethyl caprate and ethyl caprylate, which were high on day 0, decreased on day 9. Flavor components, such as ethyl palmitate and ethyl linoleate were increased.
이대형(Dae-Hyoung Lee),서재순(Jae-Soon Seo),신복음(Bok-Eum Shin),이용선(Yong Seon Lee),조창휘(Chang Hui Cho)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에서는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쌀을 당화시킨 쌀 당화액을 이용해 콤부차를 제조하였다. 쌀 품종별 당화액 및 콤부차 제조 특성으로는 멥쌀은 참드림, 보람찬, 추청을 사용했으며 중간찰벼로 가와지1호, 찹쌀로 동진찰벼를 이용했다. 쌀 당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분 함량은 가장 높은 것이 추청으로 80.40±1.33%를 나타내었으며 당화액 분석결과 90분 당화시 가장 높은 10.42oBrix를 나타내었다. 산도는 참드림이 0.38%로 가장 높았으며 가와지1호가 0.24%로 가장 낮았다. 쌀 품종별 콤부차의 발효 15일 유기산 분석결과 acetic acid는 참드림이 111.70±1.09 ppm이었으며 동진찰벼는 46.86±1.00 ppm이었다. 효소 종류에 따른 쌀당화액 콤부차 특성으로는 α-amylase를 처리한 쌀당화액이 1.06%로 가장 높았으며 β-amylase가 0.58%로 가장 낮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차 종류별 콤부차 특성에서는 녹차 첨가 콤부차의 산도가 1.09%로 가장 높았으며 루이보스 첨가 콤부차가 0.37%로 가장 낮았다. Polyphenol 분석결과에서 녹차를 이용한 발효 0일에 1,623.75 ppm에서 3,989.00 ppm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유기산 분석에서 녹차첨가 콤부차가 acetic acid가 발효 0일에는 172.89 ppm에서 발효 15일에는 2,649.11 ppm으로 증가하였다. 알코올(주정) 첨가 콤부차 특성에서는 알코올 2.0% 첨가 콤부차의 산도가 1.32%로 가장 높았으며 알코올 0.5% 첨가 콤부차가 0.97%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새로운 쌀 음료로써 쌀당화액을 이용해서 콤부차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kombucha was prepared using saccharified rice solution to assess this possible means of increasing rice consumption. Chucheong rice yielded the highest starch content (80.40±1.33%) when used to produce saccharified rice solution. The resultant saccharified rice solution showed the highest 10.42 oBrix at 90 min of saccharification. Chamdream rice yielded the highest acidity at 0.38%, and Kawaji No.1 yielded the lowest at 0.24%. Organic acid analysis on the 15th day of fermenting kombucha made with different rice varieties indicated an acetic acid content of 111.70±1.09 ppm in Chamdream, and 46.86±1.00 ppm in Dongjinchal. Comparison of enzymes used in saccharified rice kombucha fermentation revealed that α-amylase resulted in the highest acidity (1.06%), and β-amylase yielded the lowest acidity (0.58%). Kombucha with green tea yielded the highest acidity (1.09%), and kombucha with rooibos tea yielded the lowest (0.37%). Polypheno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polyphenol increased the most (1,623.75 ppm to 3,989.00 ppm) on day 0 of fermentation with green tea. Organic acid analysis revealed that the acetic acid content of kombucha supplemented with green tea increased from 172.89 ppm on day 0 of fermentation to 2,649.11 ppm on day 15. Kombucha with 2.0% added alcohol had the highest acidity (1.32%), and kombucha with 0.5% alcohol had the lowest (0.97%).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confirm that it is possible to make kombucha using saccharified rice solutions.
곽한섭(Han Sub Kwak),서재순(Jae Soon Seo),배혜정(Haejung Bae),이화정(Hwajong Lee),이영승(Youngseung Lee),정윤화(Yoonhwa Jeong),김미숙(Mi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사과와인의 제조 시 술덧의 발효 온도에 따른 발효 기간 동안의 이화학 특성, 알코올 생성량, 발효 후 메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성량을 분석하여 사과와인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저온발효(15°C)의 경우 알코올 생성량이 낮게 나타나 20°C 및 25°C의 발효보다 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산의 함량이 높아 사과와인의 향미가 강할 것으로 생각된다. 20 및 25°C의 발효 온도에서 pH, 총산함량, 알코올 함량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유사하였다. 또한 알코올 생성량이 15°C에서의 발효보다 높아 사과와인 생산비가 절감될 것으로 생각된다. 메탄올의 생성은 발효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탄올 생성과정의 일부로 0.68 mg/L에서 1.69 mg/L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나, 아세트알데하이드 함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3.43 mg/L에서 1.02 mg/L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및 유해물질 생성량을 고려할 때 20°C 내외의 발효가 사과와인 제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wine. Apple wine mashes were fermented in 15, 20, and 25°C water bathes for 9 days. The pH levels of all samples were below 4 from 24 h of fermentation until the end. Total acidities of 0.05% acetic acid solution were 7.8, 7.4, and 7.0%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The evaporation of esters generated by combining alcohol and organic acids might be the reason for lower total acidity for high temperature fermentation. Alcohol contents of the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were 6.5 and 6.6% (v/v),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the 15°C fermented sample was 5.6% (v/v) an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s (P<0.05). Methanol contents were 0.68, 0.82, and 1.69 mg/L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Fermentation at higher temperatures generated higher methanol content in apple wine. On the other hand, acetaldehyde contents were 3.43, 2.39, and 1.02 mg/L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due to the lower boiling point of acetaldehyde (20.2°C). Based on the results, a fermentation temperature of 20∼25°C is effective for apple wine fermentation.
이대형(Dae Hyoung Lee),서재순(Jae Soon Seo),하태문(Tai Moon Ha),이용선(Yong Seon Lee),조창휘(Chang Hui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2
본 연구에서는 약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누룩 추출수의 미생물 제어와 누룩 이취 감소 조건을 검토하였다. 누룩추출온도별 효소 활성에서는 50℃ 처리구에서 glucoamylase 효소 활성이 184.3 U/mL를 나타내었다. 효모는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며 특히 60℃ 이상에서는 효모가 사멸하였다. 약주 발효 특성은 발효 기간에 따라서 알코올 생성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브산칼륨 첨가에 따른 α-amylase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소브산칼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효모와 일반세균 모두 감소하였다. 활성탄 종류의 경우 α-amylase 효소 활성은 CN 1 활성탄이 다른 활성탄보다 높은 41.5 U/mL를 나타내었고 많은 알코올을 생성하였다. CN 1 활성탄 100 ppm을 첨가했을 때 약주 제조의 최적 조건이었다. 일반 누룩을 사용한 약주 제조법과 비교했을 때 누룩을 50℃ 추출 시 소브산칼륨 200 ppm을 첨가한 후 CN 1 활성탄 100 ppm을 넣어 만든 누룩 추출수로 약주를 제조했을 때 가장 좋은 약주를 만들 수 있었다. 이때 약주의 특징적 색인 노란색을 나타내는 b 값은 가장 낮은 0.12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위의 방법으로 누룩 추출수를 제조하면 미생물이 감소하면서도 누룩취가 저감된 누룩 추출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누룩 추출수를 약주 발효에 적용하면 안정적인 발효와 함께 누룩취가 저감된 약주를 제조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yakju prepared through reduction with pre-treated nuruk microorganisms, and activated carbon being used to reduce the off-flavor. Glucoamylase enzyme activity with nuruk extraction was determined to be 184.3 U/mL at 50℃. Nuruk microorganisms were observ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and were killed above 60℃. Alcohol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ctivity of α-amylase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tassium sorbate, and increasing amounts of potassium sorbate resulted in decreased numbers of yeast and microorganisms. In nuruk extraction, the use of CN 1 activated carbon showed higher α-amylase activity of 41.5 U/mL, compared with other activated carbons tested. Therefore, high alcohol containing Yakju was produced through fermentation, and was considered best with activated carbon. The optimum amount of CN 1 for Yakju was determined to be 100 ppm. To summarize, our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with the general manufacturing method, premium Yakju was produced when the nuruk was extracted at 50℃ with 200 ppm of potassium sorbate, and fermented by adding 100 ppm of CN 1 activated carbon. The b-value, representing the yellowness index of Yakju, exhibited an SCNE of 0.12.
원선이 ( Seon Yi Won ),서재순 ( Jae Soon Seo ),강희윤 ( Heui Yun Kang ),이용선 ( Yong Seon Lee ),최용민 ( Young-min Choi ),이해길 ( Hae Kil Lee ),박인태 ( In Tae Park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산업 식품공학 Vol.20 No.4
To determine sugars conten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 simultaneous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and lactose by HPLC-RI. Analysis conditions were set as column ZORBAX car-bohydrate (4.6 ㎜ ID×250 ㎜, 5 ㎛), the mobile phase of 75% ACN, the column temperature of 35℃, sample injection amount of 10 μL and the flow rate of 1 mL/min. Five standard solutions were isolated without interfering peak within 30 minutes and the calibration curves of standard were confirmed excellent linearity from 0.10% to 1.00% with R<sup>2</sup>≥0.999. Based on the chromatogram of the standard solution,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nd the limit of detection (LOD) values were calculated. The accuracy of the analytical values were highest at 100% water extraction method to the fructose 95.7%, sucrose 98.7%, lactose 102.7% respectively,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 of a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BCR644), by applying the four solvent extraction methods. Using an in-house quality control material (infant formula),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values of this experiment were verified on the basis of AOAC guideline and reference values were set up at 1.17 g/100g of glucose, 0.85 g/100g of maltose, and 45.54 g/100g of lactose. Quality control charts were drawn up and used for sugars analysis of agricultural products.
이대형(Dae Hyoung Lee),정재운(Jae Woon Jung),이용선(Yong Sun Lee),서재순(Jae Soon Seo),박인태(In Tae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쌀과 다양한 잡곡 원료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발효조건 및 증류 품질을 검토하였다. 잡곡 발효주를 제조 후 증류하여 최적 발효조건 및 증류조건 검토 결과 보리 100% 만으로 발효시킨 경우 알코올이 5.6%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쌀을 이용한 경우 1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수 첨가량을 달리한 실험에서는 대조구로 설정한 수수 무첨가 시료의 경우 알코올이 19.0%로 나타났으며, 수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알코올이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수수 5% 첨가 증류주에서 높은 관능결과를 나타내었다. 입국첨가량에 따른 증류주의 관능평가 결과 입국 7% 첨가시에 향과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좋았으며 입국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기산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분도 쌀 첨가량(40, 50, 60, 70%)에 따른 증류주의 발효특성을 살펴본 결과 알코올과 산도는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초기 발효에서는 malic acid와 lactic acid였으나 발효 후기에는 citric acid와 lactic acid로 바뀌었다. 최종적으로 발효방식은 동일하게 하면서 원료에 있어 쌀과 혼합잡곡을 이용한 증류주의 관능평가 결과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혼합잡곡 증류주가 약간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에서는 부드러운 향을 내는 ethyl palmitate의 %area가 잡곡 증류주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mixed grain-derived hard liquor with enhanced favor and taste. Firs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according to the grain used showed that rice and adlay produced high alcohol outputs of 15.2% and 13.3%, respectively, while that of barley was low at 5.6%. In an experiment in which different amounts sorghum flour were added, the sample without sorghum flour showed an alcohol content of 19.0%. The effect of adding up to 7% ipkuk (koji) was examined in a sensory test. Comprehensive pre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ipkuk.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alyses of distilled liquor into which milled rice (5% degrees of milling of unpolished waxy rice) was added showed that alcohol content and acidity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its addition. Finally, an analysis of aromatic ingredien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ethyl palmitate, which produces a smooth aroma, was the highest in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이대형(Dae-Hyoung Lee),정재운(Jae-Woon Jung),이용선(Yong-Seon Lee),서재순(Jae-Soon Seo),박인태(In-Tae Park),김태완(Tae-Wan Kim),김재호(Jae-Ho Kim),안병학(Byung-Hak Ahn)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6
본 연구에서는 입국 증류주를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에 숙성시키며 숙성 시간별 증류주의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알코올의 경우 초기 39.8-40.9% 알코올이 숙성 180일에 항아리는 38.0-38.9%를 스테인리스 용기는 39.1-39.7%를 나타내었다. 항아리와 스테인레스 용기 모두 숙성 기간이 증가할수록 TBA값이 감압과 상압 증류주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증류주의 n-propanol, isobutanol, isoamyl alcohol는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 모두 숙성 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압과 상압 증류주 모두 감소하였으며 A/B의 비율은 감압과 상압 모두 비슷한 1.32-1.35, A/P는 2.17-2.22, B/P는 1.62-1.68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입국을 이용한 증류주의 향기 성분 분석 결과 증류 초기에 감압 증류에서 높은 검출 결과를 나타낸 것은 isoamyl alcohol>isobutyl alcohol>ethyl palmitate> decanoic acid>ethyl octanoate 순서 였으며 상압 증류에서 높은 검출 순서는 isoamyl alcohol>decanoic acid>ethyl palmitate>isobutyl alcohol 순 이었다. 항아리에 숙성을 한 증류주의 경우 숙성 기간이 경과하면서 관능 점수가 감압, 상압 증류주 모두 상승하였으며 가장 높은 관능을 보인 것은 감압 증류 600 mmHg로 종합 기호도에서 6.98±0.28으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ging of liquor brewed with fermented wine using ipguk (koji) in a jar (JA) and stainless steel container (SC), which are generally used in Korea, an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quors as a function of aging time. The initial alcohol content was 39.8-40.9%, and gradually decreased in the JA and SC as the aging time increased. In the case of fusel alcohols, the n-propanol, isobutanol, and isoamyl alcohol contents did not increase with increasing aging time, in the cases of both JA and SC. The A/B (isoamyl alcohol/isobutyl alcohol) ratio was similar under reduced pressure (RP) and atmospheric pressure (AP), at 1.32-135. The A/P (isoamyl alcohol/n-propanol) and B/P (isobutyl alcohol/n-propanol) ratios were 2.17-2.22 and 1.62-1.68, respectively. During the early stages of distillation, under RP, the isoamyl alcohol content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isobutyl alcohol and ethyl palmitate. Under AP, the isoamyl alcohol content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decanoic acid, ethyl palmitate, and isobutyl alcohol. The highest sensory score under RP, 60 cmHg, was 6.98±0.28.
이대형(Dae Hyoung Lee),이용선(Yong Sun Lee),조창휘(Chang Hui Cho),서재순(Jae Soon Seo),박인태(In Tae Park),김희동(Heui Dong Kim),임재욱(Jae Wook Lim)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6
국내 육성 가공품종 중 다수성 벼를 원료로 한 양조적성 확인을 위해 인디카계통인 안다와 다산 1호 자포니카계통인 드래찬과 보람찬을 사용하여 원료쌀 품종에 따른 양조 적성 확인을 연구하였다. 또 국균과 효모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K의 함량은 드래찬과 보람찬에서 높게 나타났다. 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단백질 함량은 안다벼가 7.5±0.2%로 다른 쌀에 비해 높았으며 아밀로스 함량은 자포니카계통 드래찬과 보람찬 쌀이 18.9±0.7%, 18.9±1.4%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전분가는 자포니카계통인 드래찬 보람찬이 78.6±0.2, 77.2±0.4%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인디카계통인 안다와 다산 1호는 86.2±0.3, 82.0±0.5%을 나타내었다. 호화특성으로는 전분의 열과 전달력에 대한 저항의 척도인 강화점도(breakdown)는 안다와 다산 1호가 120.92±2.5 cp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발효적성을 실험한 결과 먼저 입국법 막걸리의 경우 다산 1호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발효 완료시 16.6-17.4% 사이의 알코올이 생성 되었다. 다산 1호만 14.3%의 알코올이 생성 되었으며 또한 관능결과에서는 다산 1호가 다른 품종의 막걸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종합적인 기호도가 좋았다. 무증자법 막걸리의 경우 인디카계통인 안다와 다산 1호가 발효 완료시에 알코올이 17.2%, 17.0%로 다른 품종에 비해 낮게 생성되었다. 총산의 경우 안다와 다산 1호는 총산이 0.33, 0.31%로 드래찬과 보람의 0.28%보다 높게 생성되었다. 관능결과에서는 향기, 목넘김, 종합적 기호도의 경우에서 안다와 다산 1호가 다른 품종의 막걸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기호도가 좋았다. 입국과 무증자 막걸리 제조에서 다산 1호가 가장 우수한 관능 값을 보였으나 입국 제조시 알코올 생산량이 낮은 문제를 해결한다면 다수확 품종 중 다산 1호가 막걸리 생산에 적합한 품종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brewing and fermenting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produced from high-yielding rice varieties. We used the high-yielding indica rice varieties, Anda and Dasan 1, and the japonica varieties, Deuraechan and Boramcha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rice protein level was the highest in makgeolli produced from Anda (7.5±0.2%), while the amylose level was the lowest in makgeolli produced from the mid- to late-maturing japonica varieties (Deuraechan, 18.9±0.7%; Boramchan, 18.9±1.4%). Samples of makgeolli produced from Anda, Deuraechan, and Boramchan by using the Ipguk (Koji) method had an alcohol content of 16.6-17.4% on completion of fermentation. By contrast, makgeolli produced from Dasan 1 had an alcohol content of 14.3%; further, the makgeolli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sensory test and was scored as excellent regarding comprehensive preference. For makgeolli produced by using the uncooked rice fermentation method, samples produced from the indica varieties, Anda and Dasan 1, had lower alcohol contents (17.2% and 17.0%, respectively) and higher total acidity levels (0.33% and 0.31%, respectively) than did samples produced from the japonica varieties, Deuraechan and Boramchan (0.28% for both). In the sensory test, samples produced from Anda and Dasan 1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regarding scent, swallowing, and comprehensive preference.
누룩 사용 발효주로 제조한 증류주의 숙성 용기 및 기간에 따른 특성
이대형(Dae-Hyoung Lee),박인태(In-Tae Park),이용선(Yong-Seon Lee),서재순(Jae-Soon Seo),정재운(Jae-Woon Jung),김태완(Tae-Wan Kim),김재호(Jae-Ho Kim),안병학(Byung-Hak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0
본 연구에서는 누룩 사용 발효주로 제조한 증류주를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에 숙성시키며 숙성시간별 증류주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알코올 분석 결과 알코올은 40.4∼39.3%로 시작하였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의 알코올은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휘발 산도는 감압증류 항아리 및 스테인리스 용기 숙성에서 약간 상승하였다. Acetic acid의 함량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 모두에서 변화하지 않았다. 2-Thiobarbituric acid(TBA)는 증류 직후 감압증류가 상압증류보다 낮았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TBA 값은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 모두 큰 변화가 없었다. 숙성에 따른 증류주의 fusel alcohol 중 n-propanol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지 않았으며 iso-butanol은 항아리 숙성의 경우 측정값이 감소하였으나 스테인리스 용기는 변화가 없었다. 향기성분의 경우 항아리 보관에서 증류 직후보다 180일에서 좀 더 다양한 향기 성분이 측정되었으며 특히 고비점의 향기성분들이 많아졌다. 스테인리스 용기 역시 0일차보다 180일에 좀 더 다양한 향기 성분이 나타났으나 그 양은 상대적으로 항아리보다 적었다. 항아리 숙성 관능 결과 180일에는 감압 50 cmHg의 관능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상압 80℃ 증류주는 0일에 비해 180일의 관능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ine using Nuruk according to the type of aging container (jar or stainless container) and aging time. Alcohol analysis was initiated at 40.4~39.3%, and alcohol contents in the jar and stainless container decreased as aging time increased. Volatile acid content slightly increased in the reduced pressure (RP) jar and stainless container and showed a different result in the atmospheric pressure (AP) container. Amount of acetic acid did not change either in the jar or stainless container as aging time increased. In the case of 2-thiobarbituric acid (TBA), RP was lower than AP after distillation, and TBA value did not change much either in the jar or stainless container. In the case of fusel alcohol by aging time, n-propanol content did not increase either in the jar or stainless container as aging time increased. Iso-butanol content was reduced in the jar but did not change in the stainless container. In the AP container, more aromatic components were measured on the 180th day of aging time than after distillation. High boiling point aromatic components increased in particular. In the stainless container, more aromatic components were generated on the 180th day of aging, but their amount was relatively lower than in the jar. In the jar aging sensory test, the sensory score at RP 50 cmHg was highest on the 180th day of aging. In the case of AP 80°C liquor, sensory score on the 180th day was the most improved.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효모 88-4로 제조한 술의 증류방법에 따른 숙성기간 중 품질 특성
이대형(Dae-Hyoung Lee),강희윤(Heui-Yun Kang),서재순(Jae-Soon Seo),원선이(Seon-Yi Won),김태완(Tae-Wan Kim),김재호(Jae-Ho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에서는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S. cerevisiae 88-4를 이용하여 제조한 술의 증류방법에 따른 숙성 기간 중 품질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8가지 조건에 따른 숙성 기간 180일까지의 알코올은 조금씩 감소하여 조건 8 (압력 -50 cmHg, 증류 온도 60℃, 초류 7%, 본류 30%)의 경우 2.2%, 조건 1 (압력 -50cmHg, 증류 온도 50℃, 초류 0%, 본류 50%)의 경우는 0.4%의 알코올이 감소하였다. 2-싸이오바비트루산(TBA) 분석결과 숙성이 진행되면서 대부분의 증류주에서 TBA 값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초기 알코올 농도가 낮았던 5 (압력 -60 cmHg, 증류 온도 60℃, 초류 7%, 본류 50%), 6 (압력 -50 cmHg, 증류 온도 50℃, 초류 7%, 본류 50%)번은 증가하였다. 노말프로판올(P), 아이소뷰탄올(B), 아이소아밀알코올(A) 분석결과 이후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른 노말프로판올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아이소뷰탄올은 감소하였으며 아이소아밀알코올은 변화가 없었다. 증류주의 숙성 기간별 향기성분은 각 증류주의 숙성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조건 3 (압력 -60 cmHg, 증류 온도 60℃, 초류 0%, 본류 30%) 증류주의 경우 위스키 향이 나는 아이소아밀알코올은 증류 0일차 이후에 조금 증가하였으며 달콤하면서 견과류의 향 특성을 나타내는 데칸산은 조금 감소하였다. 감각 검사 결과 숙성 기간에 따라 감각 결과에는 큰 차이 없었으며 종합적 평가(5.8±0.9)가 가장 좋았던 3번 증류주의 감각결과가 숙성 180일까지 이어졌다. The current study reviews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upon aging, using different distillation methods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88-4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The alcohol content slightly decreased at 180 days of aging period, under the conditions: -60 cmHg, distilling temperature 50℃, head cut 7%, and body cut 30%. The alcohol content decreased by 2.2% at: -50 cmHg, distilling temperature 60℃, head cut 7%, and body cut 30%. From 2- thiobarbituric acid (TBA) analysis, the TBA values were not found to change significantly in most of the alcohols, but increased at conditions of: -60 cmHg, distilling temperature 60℃, head cut 7%, and body cut 50% and -50 cmHg, distilling temperature 50℃, head cut 7%, and body cut 50%, when initial alcohol levels were low. According to npropanol, iso-butanol, and isoamyl alcohol analysis, with increasing aging period, the n-propanol and isoamyl alcohol content did not change, although that of iso-butanol decreased. The flavor components showed different results based on the aging period.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aging. The sensory evaluation test was continued for 180 days at a condition of: -60 cmHg, distilling temperature 60℃, and body cut 50%, which had the best overall evaluation (5.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