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LoRaWAN Class B 통신 거리에 따른 전송율 분석
서의성,장종욱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9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3
세계 각지에서 모든 사물에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물들을 관리하기 위해 연구 개발을 진행중에 있따. 사물인터넷은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생태계 구축을 위한 중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중가장 크게 대두되고 있는 통신 기술은 LPWAN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시대적 요구에 맞게 많은 LPWAN의 노드를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자원 낭비 감소 및 관리하기 위하여 각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LPWAN 통신 기술은 Semtech에서 개발한 장거리 저전력 무선 플랫폼인 LoRaWAN을 기반으로설계하고, Network Simulator-3를 이용하여 가상의 IoT 기반을 구현하여 분석하였다.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underway to connect the network to all things in the world and to manage the objects through the Internet. The Internet of Things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ecosystem of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most significant communication technology is LPWA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each data transmission rate to reduce and manage resource waste by using many LPWAN nodes more efficiently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LPWAN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in this paper was designed based on LoRaWAN, a long-distance low-power wireless platform developed by Semtech, and analyzed by implementing a virtual IoT base using Network Simulator-3.
서의성,장종욱,Seo, Eui-seong,Jang, Jong-wo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6
최근 4차산업 혁명으로 인하여 무인 이동체, 자율주행자동차, 커넥티드 카 등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자율주행능력도 올라가고 있다. 자율주행능력에 따라 최대 6단계로 나누어지며 높은 단계일수록 주행에 있어 사람의 관여가 줄어들고, 최고 단계에서는 사람이 관여하지 않아도 된다. 오늘날의 자율주행자동차는 4~5단계까지 개발되었지만 사고 발생 시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테스트 런만 가능한 상태이다. 이처럼 이동수단 주행 중 발생되는 사고는 거의 불가피하며 사고 발생 시 누가 더 잘못했는지 판단하여 사고에 대한 처벌을 가중한다. 이러한 부분을 명백히 하기 위하여 블랙박스를 사용하지만, 촬영된 영상을 삭제하기 쉬워 뺑소니와 같은 사고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고를 해결하고자 블록체인을 활용한 주행기록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Recently, interest in autonomous vehicle has increased, and autonomous driving capability is also increasing. Depending on the autonomous driving ability, the maximum number of steps is divided into 6 steps. The higher the step, the less the involvement of the person in the running, and the person does not need to be involved at the highest stage. Today's autonomous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high level, but solutions are not clearly defined in case of an accident, so only the test run is possible. Such an accident occurring during traveling is almost inevitable, and it is judged who has made a mistake in case of an accident, which increases the punishment for the accident. Although a black box is used to clarify such a part, it is easy to delete a record, and it is difficult to solve an accident such as a hit-and-run. In this paper, i design a driving record system using black chain to solve accidents.
리눅스 기반의 연성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대체 기법
서의성(Eui-Seong Seo),오승택( Seung-Taek Oh),이준원(Joon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A
Linux는 페이지 기반의 가상 메모리 시스템이다. 따라서 메모리가 부족할 때에는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page replacement algorithm)에 의해 선택된 페이지가 하드디스크로 대치되게 된다. 실시간 시스템에서 이와 같은 페이지 대치가 발생하면 실시간 제약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므로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이에 맞는 대치 알고리즘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성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한 N-Chance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새로운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은 기존의 Linux에서 사용하는 second chance 알고리즘을 수정한 것이다. 기존의 알고리즘은 페이지를 대치함에 있어서 사용되지 않는 페이지에 2번의 기회를 준 후 하드디스크로 쫓아내는 방법인데 반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페이지를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실시간 프로세스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기회를 주는 횟수를 달리하는 방법이다. N-chance 알고리즘을 사용했을 경우 실시간 제약 조건을 비교적 충족시키면서도 무조건적인 lock으로 인한 메모리 사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동형 개인 컴퓨팅 환경의 에너지 효율 증가를 위한 빠른 전압 조절을 고려한 가변 성능 알고리즘
서의성(Euiseong Seo),이준원(Joon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DVS(dynamic voltage scaling)은 이동형 프로세서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DVS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대상 태스크의 특성과 하드웨어 특성에 맞는 DVS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상품화 수준의 많은 운영체계들이 일정한 인터벌(interval)을 바탕으로 시스템 사용 상황을 분석하여 목표 성능을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태스크의 특성이 갑자기 변하여 성능을 요구할 경우 인터벌만큼의 시간이 진행된 후에야 반응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태스크 별 특성이 아닌 시스템 전체의 특성을 따르므로 이질적인 성격의 태스크들이 동시에 실행 되는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다. 최근의 모바일 프로세서들은 수 마이크로초 수준의 성능 전환 시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속도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 프로세서의 고성능화로 인해 I/O 작업의 경우 프로세서 성능에 따른 실행 시간의 차이가 존재 하지 않는다. 이러한 두가지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는 TIB(timer interrupt based)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TIB 알고리즘은 일정한 길이의 인터벌 대신 타임 슬라이스(time slice)를 성능 결정의 단위로 삼는다. 성능의 결정은 태스크 별로 이루어지며 각 태스크가 사용했던 이전 타임 슬라이스가 타이머 인터룹트(timer interrupt)에 의해 끝났다면 최대의 성능을 그 외의 경우는 최저의 성능으로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I/O 작업이나 이벤트를 기다리는 태스크에 대해 최저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실행 시간의 적은 손해를 대가로 많은 에너지 절감을 이룰수 있다. 또한, 태스크의 속성이 변한 경우 타임 슬라이스 길이 만큼의 지체만을 허용하게 된다. 이러한 TIB 인터벌에 기반한 알고리즘에 비해 개별 태스크의 특성에 따른 성능 조절과 태스크의 변화에 따른 빠른 반응을 자랑으로 한다. 본 논문에선 TIB 알고리즘을 리눅스 커널에 구현하여 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기존 인터벌 기반의 알고리즘들에 비해 좋은 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단일사용자 다중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비례배분이 가능한 페이지대치 알고리즘
서의성(Euiseong Seo),박도현(Dohyun Park),오승택(Seungtaek Oh),이준원(Joon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A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이 발전하면서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수도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자원을 두고 경쟁하는 프로세스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분배되는 자원의 양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우선순위에 따른 자원의 비례배분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자원을 관리하는 운영체제들도 개발 되었다. 하지만, 가상메모리 자원에 대해서는 자원의 할당량의 모호함과 프로세스가 사용한 메모리 필요량이 예측불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가 단위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페이지폴트의 양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가상 메모리에 대한 비례배분 개념을 정의 하고, 프로세스 마다 메모리에 대한 요구 형태가 다른 환경에서 이를 가능하게 하는 페이지대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페이지대치 알고리즘을 리눅스 커널상에 구현한다. 구현된 페이지대치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우선순위가 낮은 프로세스에 비해서 페이지폴트를 적게 발생하고, 그 발생량은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보인다.
에너지 제한 스케쥴링에서 QoS 저하를 막기 위한 스케쥴링 패턴 보존 기법
조정욱,서의성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9 No.5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불만의 가장 큰 요소인 배터리 사용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배터리 사용시간 보장을 위해서는 일정 시간 동안 소비되는 에너지를 제한할 수 있는 에너지 제한 스케쥴링 기법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에너지 제한 스케쥴링 기법은 태스크들의 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시간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태스크들의 스케쥴링을 제한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일정 수준으로 억제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러한 에너지 제한 스케쥴링 기법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의 스케쥴링 주기를 불균등하게 분포하게 하여 QoS 저하를 일으킨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처음으로 밝히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에너지 제한 스케쥴링 중에도 아이들 스레드를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과 교차 실행하여 스케쥴링 패턴을 유지함으로써 에너지 제한 스케쥴링 중에도 QoS를 유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스케쥴링 기법은 구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탑재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제안하는 방식은 에너지 소비량을 제한하면서도 스케쥴링 패턴의 변화로 인한 QoS 저하 현상을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Unpredictable battery lifetime arising from multitasking is one of the biggest sources of user dissatisfaction with mobile devices.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various resource management schemes for predicting and guaranteeing battery lifetime of mobile devices. The existing battery-lifetime guarantee schemes commonly depend on some forms of energy-constrained schedulers. Energy-constrained schedulers schedule tasks only when the system has sufficient energy to use. Although this approach effectively controls energy usage of tasks, the distorted scheduling pattern from the energy-constrained scheduling significantly affects the QoS of multimedia or interactive applications. This paper experimentally identifies the QoS degradation due to the energy-constrained schedulers, and proposes a QoS preserving energy constrained scheduling scheme that compulsorily schedule idle threads interleaved with tasks to maintain the scheduling pattern. We implement the proposed scheme in a Google Android smart phone and evaluate it. Our evaluation shows that our approach effectively maintain the QoS while restricting energy consumption.
전력 상한 제한을 강제하는 수단으로써 동적 이전의 실효성 분석
정진규,서의성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9 No.4
데이터센터의 전력공급 인프라스트럭쳐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기구축된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시설의 활용율을 높이기 위해 서버의 전력소비량을 일정 수준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측면의 접근을 통한 전력 상한 제한(power-capping) 기술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되어 왔다. 특히,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시스템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인 가상머신들이 집적되어 실행되는 서버들의 경우, 실행되고 있는 가상머신을 다른 서버로 이전하여 실행하는 동적 이전(live-migration) 기술은 서버 및 랙 수준에서 전력 상한 제한을 강제할 수 있는 중요 수단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동적 이전을 통해 가상머신을 이전하면 그 즉시 전력 소비량이 감소한다는 가정으로 동적 이전을 전력 상한 제한의 최후의 수단으로 제안하고 있지만, 실제 동적 이전을 전력 상한 제한에 사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효과에 대한 분석이나 연구는 알려진 바 없다. 본 논문은 동적 이전으로 인한 전력소비량과 실행 시간의 변화에 대한 실측을 통해 전력 상한 제한의 수단으로써 동적 이전의 실효성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for electricity infrastructure in datacenters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datacenter infrastructure, many researchers have introduced software-based or hardware-based power capping technologies. Especially in servers with consolidated virtual machines, which are popularly used in virtualization-based cloud systems, exporting virtual machines to other light-loaded servers through live-migration is a key approach to impose power-capping on servers and racks. Up until now, most researchers who have tried to achieve power-capping through live-migration assume that exporting a virtual machine instantly reduce the server power consumption. However, our analysis reveals that the power consumption remains high or, on the contrary, increases for a few seconds due to the migration operation.
이민,서의성,이준원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6
As the computing environment moves to the wireless and handheld system, the power efficiency is getting more important. That is the case especially in the embedded hand-held system and the power consumed by the memory system takes the second largest portion in overall. To save energy consumed in the memory system we can utilize low power mode of SDRAM. In the case of RDRAM, nap mode consumes less than 5% of the power consumed in active or standby mode. However hardware controller itself can't use this facility efficiently unless the operating system cooperates. In this paper we focus on how to minimize the number of active units of SDRAM. The operating system allocates its physical pages so that only a few units of SDRAM need to be activated and the unnecessary SDRAM can be put into nap mode. This work can be considered as a generalized and system-wide version of PAVM (Power-Aware Virtual Memory) research. We take all the physical memory into account, especially buffer cache, which takes an half of total memory usage on average. Because of the portion of buffer cache and its importance, PAVM approach cannot be robust without taking the buffer cache into accoun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AM usage and propose power-aware page allocation policy. Especially the pages mapped into the process' address space and the buffer cache pages are considered.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s of these two kinds of pages are analyzed and exploited for energy saving. 컴퓨팅 환경이 무선과 휴대용 시스템으로 변화하면서, 전력효율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내장형 시스템일 경우에 더욱 그러한데 이중 메모리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전체 전력소모의 두 번째 큰 요소가 되고 있다. 메모리 시스템에서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SDRAM의 저전력 모드를 활용할 수 있다. RDRAM의 경우 냅모드(nap mode)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의 5%이하의 전력만을 소모한다. 하지만 하드웨어 컨트롤러는 운영체제가 협조하지 않으면 이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SDRAM의 액티브 유닛(active unit)의 수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운영체제는 참조되지 않는 메모리를 저전력 모드에 놓음으로써 최소한의 유닛들만을 액티브 모드에 놓은 상태로 프로그램이 수행될 수 있도록 피지컬(physical) 페이지들을 할당한다. 이것은 PAVM(Power Aware Virtual Memory) 연구의 일반화된 시스템 전반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모든 피지컬 메모리를 고려하고 있으며, 특히 평균적으로 전체 메모리의 절반을 사용하는 버퍼 캐시를 고려하고 있다. 버퍼 캐시의 용량과 그 중요성 때문에 PAVM 방식은 버퍼 캐시를 고려하지 않고는 완전한 해법이 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메모리의 사용처를 분석하고 저전력 페이지 할당 정책을 제안한다. 특히 프로세스의 주소공간에 매핑(mapping)된 페이지들과 버퍼 캐시가 고려된다. 이 두 종류의 페이지들간의 상호작용과 그 관계를 분석하고 저전력을 위해 이러한 관계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