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청소년 체중상태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및 비만과의 연관성 분석

        양시원 ( See-won Yang ),이향숙 ( Hyang-suk Lee ),김지은 ( Jieun Kim ),김윤명 ( Yoonmyung Kim ),서영균 ( Young-gyun Seo ),박경희 ( Kyung Hee Park ),장한별 ( Han Byul Jang ),이혜자 ( Hye-ja Lee ),박상익 ( Sang Ick Park ),임현정 ( Hy 대한영양사협회 2017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3 No.3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quantifying dietary intake according to the weight statu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on differences in quality among diets remain scarce. This study compared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die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wo hundred fourt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9 and 18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rmal weight n=104, Obesity n=110). The data related to food intake were investigated by dietary records,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and Nutrition Quotient (NQ) and then compared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s). In DQI-I, moderation factor (control of unhealthy foods) score was 21.7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19.5 in the obesity group. The normal weight group showed a higher score for moderation factor than the obesity group (P<0.001). Compared with KDRIs, vitamin B6, folate, vitamin C, vitamin E, calcium, potassium, and zinc intakes were insufficient in both group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QI-I moder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obesity (OR=0.77, 95% CI 0.69-0.87)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income, and total energy intake. Our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require nutritional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vitamin and mineral consumption. Especially,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needs to emphasize moderation of nutrient intake that can cause diseases with hyper-ingestion such as sodium and high calorie-low nutrition foods.

      • 주가지수선물과 주가지수의 비선형 동적 관계 분석

        김인준,서영균 한국선물학회 2002 선물연구 Vol.10 No.1

        이 논문은 1996년 KOSPI 200 주가지수선물 도입이후의 일별 자료를 가지고 비선형 Markov- Switching 벡터균형수정 모형을 사용하여 주가지수선물시장에서의 선물과 현물 사이의 동적인 관계를 재검토했다. 실증분석결과는 선물과 현물 사이에 공적분 벡터를 가진 하나의 공적분 관계가 존재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이는 베이시스의 평균 환원성을 의미하며 보유비용 모형의 예측과 일관된 것이다. 또한 선형 벡터균형수정 모형은 균형수정 모형의 평균과 분산-공분산 행렬에 2개의 상태를 허용한 Markov-Switching 벡터균형수정 모형에 대해 강력히 기각되었다. 주가지수선물과 주가지수 사이의 비선형 동적 관계를 Markov적 상태변화의 개념을 도입하여 밝혀 냄으로써 기존에 보유비용모형에 의해 밝혀진 단순한 비선형성 보다 한 층 의미 있는 비선형성을 밝혀 낼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밝혀진 두 가지 다른 상태의 존재는 실증분석 전에 이미 주가지수선물과 주가지수, 혹은 전체적으로 시장의 상승기와 하락기의 두 국면을 설명해 줄 것이라는 예상과 일치하였다. 예를 들어 수익률로 생각할 수 있는 에 대한 상태 1과 상태 2의 수치만 보더라도 이들이 각각 시장의 하락기와 상승기를 대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실증적 모형은 보유비용 모형 형태의 선물과 현물 사이의 동적 관계에 중점을 둔 많은 이론연구들, 그리고 점점 증가하고 있는 선물과 현물의 변동에 있어 중요한 비선형성의 존재를 강조하는 실증연구들과 일관된 것이다. 한편 직관적으로나 통계적으로도 기존의 선형 모형보다 의미 있는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주가지수선물과 주가지수 혹은 다른 모든 선물과 현물 사이의 선도-시차관계에 관한 연구에 이용하여 기존에 선형 오차수정모형으로 얻을 수 있었던 결과에 비해 월등한 선도-시차 관계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단순히 실무적인 선물가격결정모형으로 이용함으로써 차익거래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empiricall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pot and futures prices in stock index futures market using data for the KOSPI200 during 1996 to 2001, and employing nonlinear- equilibrium- correction approach that essentially is based on the extension of Markovian regime shifts to nonstationary framework. A linear-VECMwas rejected strongly when tested against a Markov- switching (MS) VECM that allowed for two regimes in the mean of equilibrium correction model, as well as in the variance- covariance matrix. The empirical model ultimately proposed therefore, is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Cost of Carry model, as well as with the increasingly growing empirical literature stressing the existence of important nonlinearities in both spot and futures prices m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