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임 이용 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의 상호보완적 접근

        서도원(Seo Dowon),송용수(Song Yongsu) 한국게임학회 2020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0 No.1

        세계보건기구는 게임 이용 장애를 중독 행동에 따른 장애로 규정했는데 이에 학계의 상이한 관점 위에서 찬반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게임 과몰입을 바라보는 질병 모델적 관점과 심리사회적 관점, 문화적 관점의 시각차를 확인하고 이를 간학문적 태도로 상호 보완하여 게임 과몰입에 대한 해결방안을 중층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해결방안으로는 첫째, 다수의 게임 이용자에게 1차 예방, 즉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선용적 관점을 적용하고 둘째, 게임 과몰입 사용자들이 대안활동을 찾을 수 있게 돕는 2차 예방을 실시하며 셋째, 3차 예방으로 게임 과몰입의 폐해가 명확한 대상자들에게는 치료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e WHO has defined gaming disorder as a disorder, and there are arguments for and against i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response,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disease model, psycho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for complementing them with an interdisciplinary attitude. First, universal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for general game users to get literacy. Second, selective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for a potentially risky group to find out the alternative activity. Finally, indicated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for a risky group to be treated.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신천지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서도원(Dowon Seo),하태현(Taehyun Ha)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1 언론과 사회 Vol.29 No.3

        2020년 코로나19의 유행은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경제적·문화적 사각지대를 만들었다. 그중에서 신천지 담론은 ‘언론 권력의 대상화’를 통해 인정의 사각지대가 만들어진 영역이다. 이에 이 글은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언론 권력이 담론 투쟁의 적극적인 주체가 될 수 없는 대상을 어떻게 그려내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신천지 담론은 종교·정치·사회 유형에서 각기 다른 지배 권력과 상응하며 구성되었고, 이를 통해 종교에는 정통성이 있어야 하며, 정치에는 역할이 큰 정부가 필요하고, 시민은 순종적이고 사회적이어야 하며, 사회는 정상적이어야 한다는 상식을 제조하고 있었다. 이는 언론 권력이 지배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고 있음을 드러내는바, 신천지 담론뿐 아니라 소수자 관련 보도의 윤리적 지침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outbreak of the COVID-19 in 2020 has created economic and cultural blind spots throughout Korean society. Among them, the discourse of ‘Shincheonji’ has emerged as blind spots of cultural recognition through the objectification of the pr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subject is portrayed in the press through the methodology of CD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paper showed that the discourse of ‘Shincheonji’ during COVID-19 was form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ruling powers in the sector of religion, politics, and social. And the discourse of ‘Shincheonji’ was manufacturing common sense such as religion should be orthodox, politics needs a government with a big role, citizens should be obedient and society should be maintaining the status normal.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ess is reproducing the ruling ideology along with the discourse of ‘Shincheonji’ and points out the need for ethical guidelines for minority-related re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