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의 차원에 비추어 본 다문화사회로서의 한국의 특수성

        서덕희(Seo, Deok-He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3 亞細亞硏究 Vol.56 No.1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in terms of cultural dimensions, which are supposed to reveal systematically the relation between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In particular, it aims to explore how particularities of South Korea such as nationalism based upon bloodlineage and Confucianism operate in three dimensions of culture: law, tradition, and disposition (habitus). In result, it reals that paternal-lineagism is still dominant in the dimension of law, Confucianism is residual in the dimension of tradition, and ethnocentric instrumentalism pervades in the dimension of disposition( habitus). Based upon the resul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late modern historic experiences of South Korean people such as tragic colonization, division, and war have caused the formation of an absolute trust on family, the failure of internalizing democracy, and the inclination toward ethnocentric instrumentalism. From this interpretation, it is maintained that normative multiculturalism against the backdrop of universal globalization can be realized only with the full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of cultural particularities based upon South Korean history.

      • KCI등재

        “이게 학교야?”: 코로나 팬데믹 상황, 온라인학교 체험을 통해 본 학교의 의미

        서덕희 ( Seo Deok-h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이게 학교야?”라는 아들의 질문이자 부정에서 시작되었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자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2020년 1년 동안 내가 학부모로서 체험한 두 자녀의 온라인학교 체험과 나와 다른 사회경제적 배경과 자녀를 둔 7명의 학부모들의 체험에 대해 반성하고 해석하였다. 나를 포함한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대면등교뿐만 아니라 온라인학교 체험을 바로 옆에서 지켜보고 함께 참여하고 연루되는 과정에서 ‘학교’의 의미를 반성적으로 체험하고 있었다. 이 반성적 체험들의 본질적 의미 구조를 찾기 위하여 면담 자료와 관련 문헌들을 읽으며 자유 변경을 통한 본질 직관과 해석학적 순환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학교’란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을 벗어나 어린 세대들이 다양한 교과와 의례 등을 중심으로 가치추구를 연행(perform)하는 어른 세대의 ‘행위’를 상호신체적으로 체험하고 자신들도 참여하는 최초의 공적 영역이며, 그 속에서 또래들과 더불어 모방하고 서로를 알아나가는 체험의 축적 속에서 “내공”, 즉 ‘깊이’를 갖추고 자신을 탄생시켜나갈 수 있는 곳임을 밝혔다. 즉, 학교다운 ‘학교’에서 어린 세대는 미래 자신의 삶을 세계와 더불어 펼쳐나갈 ‘존재론적 자기주도성’을 키워나갈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학교교육은 ‘성년식(initiation)’이다. 특히 시장과 관료제적 합리성이 강력하게 발휘되고 있는 후기 근대사회에서 학교는 다양한 어른 세대와 또래들을 상호신체적으로 만나 본격적으로 진(眞), 선(善), 미(美), 한 마디로 ‘성(聖)’스러운 세계로 자신의 삶을 자유롭게 펼쳐 확장해 나갈 힘을 기를 수 있는 유일한 제도이다. 이렇게 볼 때 디지털 전환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학교’의 본질적 의미를 실현하는 일은 어린 세대의 교육적 성장을 위한 어른 세대의 책임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school through online school experiences during the Corona pandemic. Starting with my son’s question, “Is this school?,” the researcher, who is not only parent but also a teacher,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chool that parents has realized by watching and participating in their children’s online schooling. The meaning revealed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whose aim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along with questions generated from lived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of dialectical interpretation, is as follows: More than anything else, school is a ‘public sphere where children can connect and associate with others in person through ‘acting,’ which is Arendt’s critical concept. In school, children can experience and imitate teachers’ acting with other children and can have diverse opportunities to know others and themselves by corporeal interactions, and eventually can fold their options of acting, which results in ‘depth’ of experiences, called ‘ontological self-directedness’ which can be unfolded to the world in the future. In this vein, schooling can be interpreted as ‘initiation’. Schooling is not only an institution but also a phenomenon manifesting itself by liberating children from a narrow well of late-modern household and empowering them to unfold a free and sacred life with their peer against the strong centripetal force of the market’s and bureaucratic rationality.

      • KCI등재

        학부모운동의 변천에 관한 한 교육인류학적 소고

        서덕희 ( Seo Deok-h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1

        이 글에서 나는 공교육의 변화를 추구하는 학부모들의 의식적인 노력과 실천을 ‘학부모운동’으로 보고 그 변천이 교육과 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이해 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학부모’가 어떻게 호명되면서 주체로 세워졌으며 어떤 역사적 맥락 속에서 그러한 길들임에 저항하며 스스로의 주체됨을 찾아나가려고 했는지를 페쇠의 동일시(identification)-반동일시(counter-identification)-탈동일시(dis-identification)이론으로 해석하였다. 이 과정은 역사적으로는 학부모가 국가와 시장, 교사 등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이었으며, 실존적으로는 ‘학부모-되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학부모운동의 변천은 학부모들을 둘러싼 문화적 혹은 길들임의 주체로서의 국가와 시장, 즉 ‘체계(system)’와 그러한 체제의 길들임에 대하여 저항하며 오랫동안 체제에 의하여 ‘식민화’되었던 ‘생활세계(lebenswelt)’에서의 교육의 자율적 영역과 가치를 재구성하기 위한 노력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면, 오랜 ‘국가주의’, ‘학교주의’, 그리고 ‘시장주의’ 담론으로부터 교육을 떼어내 부모 그리고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세우는 과정이며, 개인적으로는 나의 학부모로서의 ‘현재’ 체험을 연구자로서의 내가 ‘역사적으로’ 맥락화하고 ‘미래’ 학부모로서의 내 삶을 결단하는 일에 다름 아니다.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cultur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parents’ movements in the school system, which includes the efforts and practices of parents to pursue change in the school system. The researcher reviewed the literature concerned with parents’ movements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how parents had been ‘interpellated’ by the state and the market in a particular juncture and how they had resisted the cultivating power of the system (the state and the market) in terms of Pecheux’s theory of identification, counter-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Such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parents’ movements in the school system could be understood as that of efforts to reconstruct the autonomous area of education in ‘the Lebenswelt’ and its intrinsic value against the domesticating and colonizing power of ‘th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research, this is no other tha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concept of ‘education’ from the discourse of ‘statism’ and ‘schoolism’. Also, it is the very process of contextualizing the researcher's lived experience of parents in the school system and projecting their life as a parent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의 포스트휴머니즘과의 접속과 생성

        서덕희 ( Seo Deok-h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0 교육인류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 담론과 마주치면서 느꼈던 불편함이라는 정서를 해명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포스트휴머니즘과 적극적으로 접속하면서 내 안에 체화된 교육인류학적 문제의식과 질적 연구의 존재론적 정당성을 다시 해체하고 재구성한 과정이자 잠정적 결과물이다.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에는 인간의 특이성에 대한 휴머니즘적 관점이 있다고 보았던 나의 지향성에 따라 포스트휴머니즘들이 정초하고 있는 인간에 대한 존재론과 인식론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그 결과 포스트휴머니즘의 문제의식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인간’과 인간이 인간다운 인간으로 되어가는 과정으로서의 ‘문화’와 ‘교육’을 다시 재개념화할 수 있었다. 생성의 결과, 인간은 더 이상 비인간과 경계가 없는, 그보다 우월할 것 없는 행위자로, 다른 존재와 마찬가지로 어떤 배치 속에 놓이느냐에 따라 그 속성이 달라지는 ‘사이-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유기물인 인간은 또한 비유기물과 달리 들뢰즈의 표현을 빌면 스스로 주름을 접거나 펼치는, 배치를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다른 동물과 달리 언표적 배치, 즉 언어로 대표되는 ‘문(文)’으로 길들이는 과정 즉 ‘문화’적 과정에 놓인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그 ‘문화’의 과정으로 유토피아적 테크노퓨쳐리즘이나 신물질주의 중 객체지향존재론은 자칫 잘못하면 부버가 말하는 ‘나-그것’의 세계를 생성하여 세계와 더불어 인간도 소외시키는 ‘문화’일 수 있음을 비판하였다. 그와 달리 인간을 넘어선 생명, 비생명까지 나의 인식(文)으로 다 파악할 수 없는 ‘너’(質)로 부르는 일, 즉 ‘나-너’의 세계를 생성하는 일이 ‘질적 교육’이자 ‘질적 연구’의 핵심이라는 점 역시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포스트휴머니즘과의 접속을 통해 인간이 자신의 특이성인 ‘문(文)’을 인정하되 그 한계를 넘어서 ‘질(質)’로 나아가는 운동, 즉 문질빈빈(文質彬彬)을 반복할 때야 비로소 정신/육체, 인간/비인간, 문화/자연의 이분법을 넘어 세계와 더불어 존재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이를 교육인류학도이자 질적 연구자-되기의 측면에서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Anthropology of Education is no other than the inquiry on the ‘human-ism’, which is the process for human-being to become human. That is why I have not been at ease with recent confrontations with emerging Post-human discourses. Such negative ‘affect’ made me encounter properly with post-human discourses and ‘think over’ the ontological rationale of the problematics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again. After an in-depth inquiry on post-human discourses, I realized that these discourses can be divided into ‘techno-futurism’ and ‘new-materialism’, and that they can be articulated into a new ‘becoming’ by the feminists who have problematized the conceptual differentiation between sex and gender and have protested against male/white/reason-centered humanism. However, in the educational research field, I realized that such two discourses have still been accepted in a vague, contradicted, and polarized way, and that the two polarized discourses can have a physical impact upon creating not only the world of ‘I-it’ but also the world of ‘I-Thou’ by exchanging bodies between human-being and the world. Through the ‘thinking’ started by a few confrontations with post-human discourses, I came to realize that it is the very essence of qualitative research to call the other beings ‘thou’ including lives and non-lives, and to respect the uniqueness of all the other beings including human-beings is no other than to unfold the world in which the very meaning and value of all the materials can be respected. Eventually, as a qualitative researcher and an anthropologist of education, I tried to throw myself into the future in the direction of becoming and unfolding the world of ‘I-Thou’ with the other beings on our only planet, Earth.

      • KCI등재

        사회적 소수자 연구 윤리로서의 "초월": 국제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들을 "직면(直面)"해야 하는 한 연구자의 성찰일지

        서덕희 ( Deok Hee Se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1

        이 글은 질적 연구자로서 연구 참여자를 섭외하는 과정에서 느낀 상심(傷心)에서 출발하여 내가 체험한 연구자로서의 윤리적 딜레마의 상황을 기술하고 이를 실존적 차원에서 해명하고 해결하는 계기를 마련하려는 실존적인 노력의 일단이다. 특히 국제결혼이주여성들과 그 자녀들 등 사회적 소수자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얼굴을 직면해야 하는 질적 연구자들만이 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문제 상황과 그 상황에서 느꼈던 나의 정서적 체험을 서술함으로써 나의 체험을 다른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이 체험이 생성된 맥락으로 연구자로서 길들여진 내 몸의 태도와 그 태도의 근거로서의 이론적 관점 등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자로서의 내 뒤에 숨은 윤리적 태도를 드러내어 성찰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내 상심의 근원이 기존의 연구 윤리의 관점에서 보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이러한 상심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윤리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지를 기존의 연구 윤리, 특히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질적 연구의 연구 윤리에 관한 이론적 논쟁들을 검토하면서 그 답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결국, 사회적 소수자들을 연구하는 질적 연구자들은 그들의 얼굴이 요구하는 명령을 떠안고 윤리적 주체로 설 결단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실존적이며 교육적인 힘을 가질 수 있어야 함을 깨달았음을 고백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transcending oneself as an ethics of research on social minorities with a focus on my ongoing research project on wome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By adopting an educo-graphy, I tried to contextualize my ethical struggles during the fieldwork for the project and to describ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alternative to the ethics inscribed onto my body. After critically reviewing liberal proceduralism and Nodding’s caring ethics in terms of my intentionality as a researcher, this paper shows that the relation between a researcher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especially social minorities, is not symmetrical in terms of social-cultural power, therefore the action which the researcher should take for the participants cannot be autonomously determined but by dint of obeying the order given by ‘the face of the others’, and finall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ers’ ethical actions should be transformed by way of proximal fieldwork. In a word, the researcher should transcend oneself not only by leaving one’s prior category and one’s superficial ideas of liberal recognition of others, but by transforming the realities as a result of obeying the order given by the participants.

      • KCI등재

        문화와 교육 개념의 실존성: "살아있는" 교육인류학을 위한 소고

        서덕희 ( Deok Hee Se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9 교육인류학연구 Vol.12 No.2

        이 글에서 나는 최근 교육인류학자들에 의하여 제기된 문화와 교육의 재개념화 논쟁과 관련하여 논의된 개념들의 한계와 의의를 확인하는 가운데 연구자의 세계에 대한 실존적 태도와 가치지향이 내재된 개념화를 주장하였다. 문화와 교육 개념 모두 가치판단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자명하게 받아들이는 가운데 ‘메타적’ 삶의 형식으로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메타적 삶의 형식으로서의 문화는 계통발생적으로 유태성숙하는 인간이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자연을 ‘길들여’ 다양한 ‘내용’으로서의 삶의 형식들, 즉 ‘문(文)’을 창출하는 과정이자 바로 자기 자신과 타인의 몸에 그 ‘문’을 새기는 과정을 뜻한다. 반면, 메타적 삶의 형식으로서의 교육은 자신의 몸에 새겨진 ‘문’의 강요와 억압으로부터 벗어나 더 높고 넓은 세계와 자유로운 몸을 지향하는 과정을 뜻한다. 살아있는 교육인류학을 위한 토대로서 문화와 교육 두 개념은 책상머리와 문화이론들을 정리하는 가운데 구성된 것이 아니라 질적 연구자인 내가 다른 ‘문’을 지닌 타인들을 만나고 그들을 이해하고, 그리하여 나를 이해하려는 과정에서 취하게 된, 연구자로서의 나의, 내 몸의 세계에 대한 태도이다. 즉 ‘몸의 관점’에서 규정된 개념과 교육인류학은 실존적이며 가치지향적일 수밖에 없으며 바로 그 점에서 학문 형성과 생산, 그리고 유형의 면에서 다른 교육인류학의 관점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conceptualize culture and education in terms of their existence with full consideration of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recent works on reconceptualizing culture and education for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anthropology and educology. After revealing that even recently established concepts of culture and education cannot be value-free, this study tries to conceptualize culture and education as value-oriented `meta-forms of life`. Culture as a meta-form of life is conceptualized as the human process of culturing (cultivating or taming) nature including the human being itself into various facets of life such as economy, art, religion, science, and so forth. Education as another meta-form of life is conceptualized as another human process of emancipating itself from cultivated or tamed norms (文, particular forms of life), which is inscribed in its body, and thereby prevent it from growing into a higher and wider world with a freer body. This paper gives an emphasis on the existence of these two concepts in that they are no other than the two different attitudes assumed in the world by my body as a qualitative researcher, who has encountered others with different norms from mine, and has tried to understand them and myself.

      • KCI등재

        한국 교육인류학의 특징에 관한 일 고찰

        서덕희 ( Deok Hee Se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2

        현재 한국 교육인류학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비전을 밝히기 위해서 교육인류학 내외의 맥락 속에서 기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형성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이 논문은 ‘형성’의 관점에서 한국 교육인류학의 현재, 즉 그 특징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 교육인류학의 형성과정을 먼저 이해함으로써 ‘통시적으로’ 한국 교육인류학의 기원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공시적으로’ 한국 교육인류학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서구 주도 아래 근대학문이 형성,발전된 맥락 속에서 한국 교육인류학은 미국 교육인류학의 ‘선택적 이식’을 통해서 생성되었지만 한국 학문공동체의 탈식민주의적 풍토 속에서 제1기 교육인류학도들은 학문의 ‘토착화’를 중요한 학자적 과제로 삼았다. 또한 교육학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교육학과의 담론적 분위기와, 인류학과 교육학의 다른 세부전공과의 긴장관계 속에서 개념정립을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고, 교육인류학의 옅은 학자층은 질적 연구와의 필연적 공생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육인류학은 성격상 학문중심적인 ‘인류학적 교육인류학’에서 출발하였으나 ‘교육학적 교육인류학’을 중심으로 점차 미시적 실천의 성격이 강한 학문적 특징을 가지게 되었고, 차이와 경계 속에서 서로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대상의 개념적 정립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한국 교육인류학은 이제 과거와 현재, 교육학과 인류학, 이론과 실제, 그리고 미시와 거시의 변증법적 관계를 딛고 토착적이지만 세계적인 학문으로 도약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Based upon the problem that it is urgent to understand the formative process of Korean anthropology of education (KAE) from its origin to the present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in order to shed light on its futu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AE from the historical anthropology perspective of ``formation``. In particular,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in the US, the study aims tocompare it presently with KAE, as well as to understand historically the origin of KAE. Like all the modern sciences, KAE is generated by transplanting the US anthropology of education in the Korean academe, in particular,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wever, the postcolonial atmosphere of the Korean academe urged the first Korean anthropologists to settle KAE in a different institutionalized academic framework from that of the US. Also, a very small number of education anthropologists and their students has caused the group to search for symbiosis with qualitative researcher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KAE started from theory-oriented ``anthropological`` AE but had taken on the character of practice-oriented ``educational`` AE in time. Encounters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d also caused KAE to deepe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phenomena researched (culture and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identities of each other in overlapping studies.

      • KCI등재

        어윤치미크에게 말 걸기 -한 몽골 여성과의 만남을 통해 본 다문화교육-

        서덕희 ( Deok Hee Se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2

        나는 이 글에서 한 몽골 여성과의 만남에서 촉발된 선입견의 개방이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 나의 체험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분석·해석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을 "계획"이 아니라 "체험"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계획"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적 상황 속에 처해 있는 바로 그 사람들의 체험과 관계에 대한 이해에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다문화교육이라는 교육과정의 투입-산출에만 관심을 기울이기 쉽다. 나는 이런 관점에서 관광이라는 다문화적 상황에서의 나의 체험에 주목하여 관광가이드인 한 몽골여성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의 과정을 교육의 관점에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체험"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적 상황에서의 자신의 체험을 맥락화하는 과정에서 선입견이 생성되고 깨어지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들과의 중복된 체험 속에서 그들과 자신이 서로 같지 않지만 또 다르지도 않다는 것을 깨달아 나가는 과정임을 알게 되었다. 다문화적 상황이 국민국가, 종교, 인종, 성, 연령, 장애뿐만 아니라 문화 간 차이를 인지하는 당사자의 안목에 의하여 존재한다고 본다면, 다문화교육은 일상 속에서 상존할 수밖에 없는 객체화, 전체화 혹은 지배문화의 미시권력 행사에서 벗어나 공감과 연대의 힘을 키우는 삶의 형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multicultural education (ME) not as a "plan" but as "lived experience"(Aoki, 1993). In this paper, my lived experience, specifically that of a tourist in Mongolia, and my lived relations with a tour guide were described and interpreted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t first, Mongolia as a sightseeing site had mystical images and the lived relations between a tour guide as a saleswoman and me as a consumer, can be called, "objectification". But these images and relations were broken by "Wonderful Korea", a cry by a red-eyed Mongolian nomad. With that cry, I realized Mongolia is a nation-state that suffers from economic and social difficulties as a developing country. For most Mongolian, Korea is "a modernized and developed country". In this context, the relation between a tour guide and myself represents the hierarchy among the countries in the Third-World. Despite overcoming my first impression, that kind of relation can be called "recognition of difference". However, after four days touring with her, I understood her experiences through her narrative about her relatives and her own. Her experience and my own are "not the same but not that different either". This paper reveals the ME as "lived" can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form of life in multicultural situation. Specifically speaking, understanding other`s experience through the overlapping experiences are needed for ME. The category defining multicultural situations are not confined to nation-state, ethnicity, religion, etc. Race, sex, sexual identity, age, the handicapped, and many other categories can define multicultural situations. Therefore,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considered as a form of life for emancipating, objectifying and totalizing the process of dominant cultures in everyday life.

      • KCI등재

        문화의 차원에 비추어 본 이주배경청소년의 진로상황과 진로지원

        서덕희 ( Seo Deok-hee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진로의 문제를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해명하고 해결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특히 이주배경 청소년들이 법적인 위치와 문화적 전통의 차이, 게다가 이주와 정착 경험으로 인한 성향의 차이 등으로 인해 진학에서부터 직업을 선택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어려움을 겪는다는 관점 하에 그들의 진로 상황을 확인하고 적합한 진로지원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주배경청소년들이 한국에서 처하게 되는 상황을 분석하는 틀로서 법과 전통, 그리고 성향이라는 문화적 차원을 소개하였으며, 둘째로, 이주배경청소년 대상 진로 관련 선행연구들과 문헌연구들을 분석하여 위에서 제시한 차원별로 진로상황을 확인하면서, 각 차원 내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법 차원에서는 부계혈통주의적인 국적법, 체류자격법과 사회통합법이, 전통 차원에서는 유교적 가부장주의와 숭문주의에 근거한 학부모문화와 학교교육과정과 문화가, 성향 차원에서는 이주배경과 과정, 정착의 과정에서의 체험의 차이 등이 이주배경청소년들의 진로 상황에 차이를 만들어내는 주요한 맥락을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해에 근거하여 차원별로 어떤 지원정책들이 필요한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alities of careers of youth with a migrant background and to suggest the career support system for them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y experience different courses of life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situations in law, traditions, and disposition. As its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the situations in which they have been thrown, first, this study introduced three dimensions of culture: law, tradition, and disposition. Secondl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ourse of lives of youth with a migrant background were identified in terms of the three dimensions by analyzing the established research and the documents collected. As results, in terms of cultural dimension of law, jus sanguinis nationality act, and the laws regarding qualification of sojourn and social integration, in terms of tradition, parents`` culture and school curriculum based upon confucius patriarchy and academic factionalism, and in terms of disposition, different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were identified as the key contexts to make difference the career situations of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s. Finally, the proper directions of career support system for them were explored.

      • KCI등재

        세 여성의 삶, 세 차원의 다문화교육: 결혼이주여성들과의 만남을 통한 한 질적 탐구

        서덕희 ( Deok Hee Se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1

        나는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천이 교육주체의 구체적 삶으로부터 괴리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다문화교육을 일상적 삶의 형식으로 보고, 그 핵심 요소인 문화를 삶, 즉 몸의 관점으로 바라볼 것을 주장하였다. 이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과정을 구체적인 사람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파약하고자 한국에 이주, 결혼생활을 하는 세 여성의 삶을 질적 탐구를 통해 기술하고, 다문화적 상황에 대한 세 여성의 대처과정의 특성을 ‘도구적’, ‘인지적’, ‘초월적’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다. ‘도구적’ 다문화교육은 주체의 자아정립의 조건 마련을 위해 타인을 수단화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라면, ‘인지적’ 다문화교육은 갈등적인 다문화적 상황을 인지적으로 맥락화함으로써 거리두기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 차원의 다문화교육이 향유와 인식을 통해 타인을 자기에게로 환원하는 것일 뿐 주체들의 몸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며, 타인을 낯선 것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 얼굴이 명령하는 바에 순응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을 성장시키는 근원적 차원의 ‘초월적’ 다문화교육이 근원적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 세 차원은 개인들의 삶의 가치 면에서 수직적인 성격을 띠지만 초월적 차원이 대면적 관계를 넘어선 무수한 타인을 포괄하고자 할 때 필연적으로 도구적, 인지적 차원과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By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form of life, and conceptualizing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one`s life or body, I aim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given people`s lives through qualitative inquiry. Describing the lives of three women immigrants in a rural area, this paper tries to reveal how the women cope with the diverse multicultural situations. The lives of three women are interpreted respectively as the process of ‘instrumental’, ‘cognitive’, and ‘transcendent’ dimens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instrumental’ dimension is to accept or domesticate the other for realizing one`s purpose, the ‘cognitive’ one is to keep a distance from conflictive multicultural situations by understanding the other and the situations with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and the ‘transcendent’ one is to accept the imperatives from the other`s face without reducing the other to one`s own and to transform one`s body and the o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s body, these dimens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vertical. However, expanding the transcendent dimension to the infinite others necessitates the interdependence of instrumental and cognitive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