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낙인화 해소방안 연구: GMO에 대한 감성적 소구 전략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사지연 ( Sah Jeeyeon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기술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저해하는 주요요인 중 하나인 낙인화 현상에 주목하고 그 해소 방안으로써 감성적 소구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낙인화 현상이 존재하는 기술위험 사례로서 GMO를 선정하고, 그에 대한 소비자 개인의 의견형성과 확산이 어떠한 인과구조를 통해 이루어지는지, 나아가 그 구조가 감성적 소구 전략을 적용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였다. 위험의 사회증폭이론을 바탕으로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견의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모형을 가정하였고, 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GMO에 대한 낙인화를 완화시키는 데에는 사례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인식(비용인식)보다 긍정적 측면에 대한 인식(편익인식)을 강조하는 것이 영향력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GMO에 대한 소비자 개인의 인식과 태도,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행동의도는 이성적 소구보다 감성적 소구를 적용했을 때 더 균형적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는 감성적 소구가 개인적·사회적 차원 모두에서 낙인화 현상 해소에 더 효과적인 전략임을 확인시켜주는 결과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부가 GMO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용적 측면을 강조하고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해줄 것과 낙인화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하나로써 감성적 소구의 가능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해줄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tigmatization phenomenon, which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hinder the communication effect of technology risk.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casual structure of consumer's opinions about GMO, and how the structure changes under the two different risk communication strategy that emotional and rational appeal. We gathered the data from 560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using manipulated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s first, emphasizing the perception of benefit of GMO is more effective to alleviate the stigmatization, second, consumers shows more balanced and positive perceptions, attitudes, and communication behavioral intentions under the emotional appeal.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government should emphasize and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the benefits of GM technology, and also promote to use emotional appeal as a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to alleviate the stigmatiz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소비자단체 현황 분석과 소비자운동을 위한 제안

        여정성 ( Yeo Jungsung ),사지연 ( Sah Jeeyeon ),고대균 ( Ko Daekyun ),구명진 ( Koo Myoungjin ),이선명 ( Lee Sunmyeo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5

        우리나라의 소비자단체는 활동의 상징적 의미와 실질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장애요인들로 인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단체 활동의 사적 흐름을 알아보는 한편,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도출한 우리나라 소비자단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단체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취약한 재정이었으며, 이는 우수인력의 확보와 소비자운동의 역량 발휘를 저해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운동 활성화를 위한 재정 확보가 요구되었으며, 소비자권익기금제도의 도입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비자단체는 모호한 정체성으로 인한 혼란과 단체 활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단체의 전문성 강화, 후속세대 양성을 통한 인적쇄신, 소협 차원의 내부 개혁 등이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단체는 소비자단체의 활동 영역과 소비자원의 업무가 중복되어 소비자원과 부적절한 협치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원과의 명확한 역할 분담을 통한 소비자원과의 협치구조 확보가 요구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low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Korean consumer organizations, and suggested alternatives to vitalize consumer organizations. To pursue this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history of consumer organizations, and conducted interview with related experts. Based on findings and interviews, the following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developed. Firstly, the most serious problem of consumer organizations was financial weakness hindering them securing outstanding workforce and showing ability.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establishment of consumer rights fund, consumer organizations have to secure finance for consumer movements, Secondly, identity of consumer organizations was ambiguous and inconsistent with social expectation. For this matte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reinforcing expertise of consumer organization and training next generation, and internal reformation are needed. Finally, consumer organizations have improper governance with Korea Consumer Agency because of task duplication. It is suggested to improve governance with Korea Consumer Agency by clear role allo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제품안전 분야에서의 소비자안전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현행 제도와 운영실태 분석 연구

        여정성 ( Jungsung Yeo ),사지연 ( Jeeyeon Sah ),이선명 ( Sunmyung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품안전 분야에서의 소비자안전관리체계의 제도적 문제점과 체계 작동과정에서의 실질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는 관련법·제도의 현황과 역사적 변천 과정을 정리하고, 분석틀을 개발하여 관련법, 관리주체, 관리제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동일한 틀을 사용하여 최근 발생한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갤럭시노트7 리콜 사건에 대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우리나라 소비자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과 본 연구가 제시하는 개선방향은 아래와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제품안전 관련법은 법의 제·개정과 운영에 대한 합의된 방향성의 부재로 법률 간 기능과 역할의 중복, 법률 간 안전관리 품목의 혼란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법 전반을 아우르는 통일된 정책적 철학이 마련되어야 하며, 그 방향성이 지속적으로 관철될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제품안전 관리주체들은 타 업무와의 병행, 관련 예산과 집행력의 부족, 기관 간 공조체계 부실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안전 총괄전문 기관을 신설하고 해당 기관에 대해 예산과 역량을 집중 투자하여 제품별 횡적 안전관리의 한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제품안전관리제도는 잠재적 위험 발굴, 시장 감시 및 신속 대응 측면에서 보완이 요구되었다. 구체적으로 원재료의 위해성 평가와 미관리 제품의 안전성 평가 제도를 마련하고, 소비자안전에 관한 종합대응기구로서 소비자안전센터의 제도와 기능을 활성화하여 시장 감시 업무 및 안전사고에의 신속 대응 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ritical issues in consumer product safety regulation in Korea with respect to laws, the related institutions charging safety regulation, and its operational procedures in order to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safety of consumers. To pursue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research frame to analyze current systems and conducted case study analysis on the case of Deaths caused by Humidifier Disinfectant and the case of Galaxy Note 7 Recall. Based on findings and discussion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were developed in terms of problems & solutions. Firstly, with respect to product safety related laws, it is suggested to have the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safety principle.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consistent principle of safety in the process of enactment, revision, and operation of law. It resulted in duplication of functions & roles among institutions, and confusions in different product control lists according to separate laws.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prehensive policy principle embracing related laws is needed and this principle is needed to be consistently applied.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product safety authorities,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the proper institution to deal with consumer product safety issues comprehensively. It is found the authorities are lack of budget and execution power, and there is poor cooperation system among authorities. For this matter, the proper institution with enough budget and executory power is needed to watch over safety issues throughout consumer products related authorities to supplement limitations of product-specific horizontal safety management system. Finally, with respect to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 it is needed to be improved in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potential risk, market surveillance, and quick response. Risk assessment of raw material and safety assessment of uncontrolled product should be introduced. And market surveillance and quick response can be reinforced by vitalizing role and function of Consumer Safety Center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 KCI등재

        중·고령 소비자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과 거래 행동: 모바일 거래환경을 중심으로

        구명진 ( Koo Myoungjin ),사지연 ( Sah Jeeyeon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21」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고령 소비자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 유형을 살펴보고, 이 유형의 차이가 이들의 모바일 거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고령 소비자는 선호하는 디지털 조력자의 종류별 활용 수준에 따라 ‘모두활용형’, ‘전문기관선호형’, ‘가족선호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때, 모든 조력자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모두활용형’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도가 가장 높았으며,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과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등 모바일 거래 행동의 수준 또한 가장 긍정적이었다. 한편 ‘전문기관선호형’은 ‘모두활용형’ 보다는 낮지만, ‘가족선호형’ 보다는 높은 디지털 조력자 활용도,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과 거래 수준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가족, 지인 등 사적 조력자가 아닌 제3의 전문기관을 활용할 때,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과 거래 수준 모두가 더 긍정적임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또한 각 조력자 활용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는 조력자 활용에서의 격차 또한 이러한 계층적 취약성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중·고령 소비자의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과 거래 행동의 수준 사이 디지털 조력자 활용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두활용형’과 ‘전문기관선호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가족선호형’과 ‘모두활용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가족선호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 향상에 따른 거래 행동 증가의 수준이 미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족을 주된 디지털 조력자로 활용하는 경우, 가족 조력자가 대리 사용자(proxy user)로 기능함으로 인해 조력을 통한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의 향상이 모바일 거래와 같은 실질적 활용으로 이어지는 수준이 떨어질 수 있음을 의미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고령 소비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와 지원이 가족과 같은 사적 조력자에만 치우치지 않고, 공적기관과 전문인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제도와 지원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과정에서 더욱 취약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지닌 중·고령 소비자들 대상의 지원 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침으로써 이들의 디지털 취약성이 심화되는 현상을 예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digital supporter usage among senior consumers(aged over 55) in Korea and examined how the differences in these types affect their digital transaction behavior in the mobile environment. Data from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2021” was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senior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all-use type’, ‘professional institution preference type’, and ‘family preference type’, according to the pattern in their use of each supporters. The usage level of support of ‘all-use type’, which use all supporter types in variety, was the highest, and their levels of mobile competency and mobile transaction behavior such as m-commerce and mobile banking were also the highest among three. Meanwhile, the ‘family preference type’ consumers’ levels of digital supporter usage, mobile competency, and mobile transaction behavior were the lowest and the ‘professional institution preference type’ consumers were somewhere in between. This finding showed that using specialized and formal supporters was more helpful to improvement of senior consumers’ mobile competency and increase of their mobile transaction behaviors rather than using family members as their digital supporters.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which showed that the divide in their supporter utilization was also affected by their demographic vulnerabiliti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usage type of digital supporters between mobile competency and mobile transaction behavior was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mily preference type’ and the ‘all-use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the improvement of mobile competency of the ‘family preference type’ consumers did not sufficiently lead to their active mobile transaction behavior compared to the other two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use type’ and ‘professional institution preference type’. These results showed that when family members are used as main digital supporters for senior consumers, they worked as ‘proxy users’ who used online services on behalf of the elderly in their family. Consequently, senior consumers’ direct use of mobile transaction did not increase to the extent that their mobile competency improved through the assistance. Based on the results, we recommended policies promoting senior consumers’ digital inclusion through the public institution and professional personnel rather than relying only on private supporters such as family. In particular, it is proposed to strengthen support activities to help seniors with more vulner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prevent the deepening digital divide amo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