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년범에 대한 구금처우 대체방안 연구

        변지희(Byeun Ji Hee)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3 경찰학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based in community on young offender in Korea through case study on “Center for Alternative Sentencing and Employment Service” organization in America. Nowadays, Juvenile's violent crimes like murder, rape, mugger and arson and Recidivism are increasing in Korea. And juvenile crimes have recently been showing signs of ferocity, imitation of adult crime and the dropping of the age youth permit a crime. These results show that current measures and Criminal Justice System on juvenile crime in Korea were not functioning. And what's more, these results show the limit of treatment in custody. So, this study explains the limit of treatment in custody on young offender through youth protectionism, recidivism and labeling effect.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study introduces “Center for Alternative Sentencing and Employment Service” organization which is highly acclaimed as organization running the CEP(Court Employment Project) program of treatment based in community in America and analyzes success factors on decrease of recidivism rates and economy in expenditures of jail or prison. So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on treatment in custody and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based in community for young offender in Korea.

      • KCI등재

        학교안전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변지희(Byeun Ji Hee),최응렬(Choi Eung Ryul) 한국공안행정학회 2014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3 No.3

        최근 세월호 사고 이후 학교폭력과 같은 지엽적인 학교안전에 대한 접근방식에서 학교 내ㆍ외부 범죄행위에서부터 위기 및 재난대응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학교안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의 학교안전 강화를 위한 실효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학교안전 접근전략을 사례연구하였다. 연구내용은 캘리포니아주에서 운영 중인 "학교안전계획" 및 "학교안전전략"에 대한 분석과 학교안전을 위한 지역공동체와의 협력방안 중 경찰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학교안전계획은 학교안전 향상과 학생들의 학업성적 및 교직원의 직무만족 향상, 국가비용 절약과 지역공동체 참여 유발을 통한 서비스 확대 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교안전의 성공을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교안전계획 수립을 위한 7가지 단계의 전략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안전 접근전략으로써 첫째, 사람과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어 예방ㆍ개입ㆍ법적 장치단계에서의 학교분위기 향상 전략과 둘째, 장소에 초점을 맞추어 물리적 환경 개선을 통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학교안전전략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교안전을 위한 경찰의 개입과 역할 방향으로, 학교 내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범죄와 학교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교폭력 범죄에 한정된 경찰의 개입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경찰에게 "학교안전 검측 및 학교장에게 안전유지를 위한 조언 및 권고 권한 부여"를 학교전담경찰관의 기본 임무에 추가할 필요가 있으며, 범죄에서부터 재난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인 학교안전 강화를 위한 경찰의 적극적 역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engthening plan of school safety in Korea through the case study on "school safety strategy" in California, U.S.A. In recent years, we're threatened by the problems about outsider's access and violent or abusive behavior among student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school safety planning" and "the 7-step safe school planning process" operating in California. Above all things, school safety planning is a very important first step for school safety, because this step is a great helpful to improvement of school record, the teaching staff's job satisfaction, saving state's expenditures, promoting the neighborhood participation and school safety advancement. And the strategies of approaching for school safety in California are the improvement of school climate through prevention, intervention, legal tools focusing on human and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the things focusing on the place. So this study suggests that we adopt the school safety planning appropriate for the Korea's every school and cooperate with local community for safe schools. For cooperation of local community, Korean police especially need to perform important roles as great collaborator that is sharing information on the students, increasing the patrols around schools, providing a school equipment inspection and recommendation, and operating preventive education about school violence.

      • KCI등재

        112 거짓신고 식별에 관한 연구

        우대식(Woo, Dae Sik),변지희(Byeun, Ji Hee)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5 경찰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실제신고와 거짓신고간의 음성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음성분석 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를 향후 거짓신고를 판별해 내는데 중요한 선별도구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 Code 1의 중요범죄 신고 중 30건의 거짓신고 데이터와 30건의 실제신고 데이터를 선별하여 실제신고와 거짓신고간의 음성분석 차이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긴박한 문장에 대한 실제신고와 거짓신고의 음성차이에서는 발화속도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범한 문장에 있어서는 Pitch, Intensity, 발화 속도가 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긴박한 문장과 평범한 문장을 포함한 모든 문장에 대해서는 Jitter와 발화속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긴박한 문장에 있어서 남·여간 실제신고와 거짓신고의 음성차이 분석을 확인한 결과 남성의 경우는 발화속도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여성의 경우는 Pitch, DoVB, Jitter가 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평범한 문장에 있어서 남·여간 실제신고와 거짓신고의 음성차이 분석을 확인한 결과 남성의 경우 모든 요소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여성의 경우는 Pitch, Jitter, Intensity, 발화속도가 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긴박한 문장과 평범한 문장을 포함한 모든 문장에 대해서는 Pitch, 피치 표준편차, DoVB가 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oice difference between the false report and actual report. The 112 call data of this paper are 60 natural 112 report voice that are composed of 30 actual report and 30 false report. Each report is classified 2 sentences that are made of urgent sentence and ordinary sentenc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SPSS 18.0 for t-tes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ech speed” between actual report and false report on the urgent speech sentence. A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itch”, “Intensity”, and “speech speed” between actual report and false report on the ordinary speech sentence. A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itter” and “speech speed” between actual report and false report on the 1 call report sentence including urgent and ordinary sentence. Seco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ech speed” between male's actual report and false report on the urgent speech sentence, while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itch”, “DoVB” and “Jitter” between female’s actual report and false report on the urgent speech sentence. And there i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ctual report and false report on the ordinary speech sentence. while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itch”, “Jitter”, “Intensity” and “speech speed” between female’s actual report and false report on the ordinary speech sentence. A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itch”, “Pitch standard deviation” and “DoVB” between male and female’s actual report and false report on the 1 call report sentence including urgent and ordinary sen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