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족센터 가족지원프로그램 이용현황 및 요구도 분석: 관악구 가족센터를 중심으로

        변주수(Joosoo Byun),서찬란(Chanran Seo) 한국가족정책학회 2022 가족정책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관악구 가족센터의 프로그램 이용현황과 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비대면 사회에서 가족센터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악구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3주간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06명의 자료로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증,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후로 남성, 미혼(비혼)자, 1인가구 등의 이용자 참여가 확대되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자아탐색, 자기관리, 취미생활 등 “나”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셋째, 가족센터를 이용해본 적이 없는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나”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넷째,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의 경우 비대면 방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대면과 비대면 방식의 만족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어떠한 진행방식이든 상관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학습이나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은 비대면 방식에 대한 선호도 높았으나, 소통과 체험 및 교류를 중시하는 프로그램은 대면 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앞으로 대상의 특성과 요구에 맞춘 프로그램 주제와 운영 방식에 대한 준비와 변화가 필요하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needs and status of family support programs at the Gwanak-gu Family Center in the context of COVID-19. An online survey targeting Gwanak-gu residen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21. Descriptive statistics, a chi-squared test, a t-test, and a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from 506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numbers of male, single (unmarried), and single-person household participants increased. Second, demand for “me”-related programs, such as self-discovery, self-management, and hobbies, was generally high. Third, demand for “me”-related programs was the highest among the group that had never previously used the Family Center. Fourth, although women with children in preschool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non-face-to-face metho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atisfaction between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ethod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most respondents did not have a strong preference for either the face-to-face or non-face-to-face methods. Fifth, in educational programs,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the non-face-to-face method, while in programs emphasizing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exchange,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the face-to-face method. Th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program themes and operation methods by tailoring them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target population and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new progra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