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의 심화발전 방안에 대한 재고(再考) -D대학교 클라시카 자유학 ‘고전교육’ 교과목 중심으로

        변상출,김현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현장 교육의 경험에 근거해서 대학 교양교육의 심화발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에 그목적을 두고 있다. 교양교육의 일반적 관점에는 오래된 오해가 있어 왔다. 요컨대 대학에서 교양은절대적 필요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이 덤으로 갖추었으면 하는 지적 장식품내지는 상식 차원에 놓는 경향이 그것이다. 그런데 21세기 글로벌 시대는 융합교육의 필요성이 더 높아진 때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이 필요성을충족시키기 위해 전공의 벽을 허물어 지식의 지평을 넓히려는 교육개혁을 국책 ACE사업을 통해 추진해왔다. 그 핵심 골자는 21세기 융합교육의 시대에 걸맞게 교양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에 발맞춰전국의 대학은 ACE 사업 유치를 위해 소위 ‘잘 가르치는 대학’을 표방하면서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해왔다. 문제는 ‘어떻게 잘 가르칠 것인가?’의 구체적 내용이다. 본고는 이 구체적 내용을 구체화한 사례를D대학의 교양교육의 발전 전략을 모델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 탐색을 위해 본고 1장 서론에서는 “어떻게 잘 가르칠 것인가?”를 화두로 삼았다. 그 방법으로시류를 거슬러 대학 본연의 정신, 즉 진리 탐구의 충족을 위해 고전 ‘통권 읽기’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2장에서는 ‘잘 가르치기’ 위한 D대학의 교양교육의 단계적 전술 변화 과정을 추적한다. 그 과정은모든 대학의 교양교육의 ‘기초’에 해당하는 ‘대학글쓰기’에서 출발한다. 그런데 연구의 모델인 D대학의경우, 글쓰기란 그 주체의 두뇌 속에 소재가 풍부하지 않고서는 글쓰기의 지평이 넓어지고 깊이가 더해질수 없다는 점을 감안해서 읽기와 쓰기를 병행한 ‘영역별명저와 창의적 글쓰기’의 의미를 탐색한다. 3장에서는 교양교육의 심화발전을 위해서 ‘영역별명저와 창의적 글쓰기’로부터 ‘클라시카 융합전공’ 으로의 교양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문⋅사회⋅경제⋅공학 등을 아우르는 ‘클라시카 융합전공’은 교양교육 환경의 질적 변화를 의미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단순한 이벤트성에서의 교양교육의 변화가 아니라 교양교육을 질적으로 비약 발전시켜 지속성을 요구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지속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국책 ACE사업 이후, 말하자면 포스트에이스(post-ACE)의 연속성을 살려내는 것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개 국책 사업은 종료 시점과 함께동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왔던 것도 사실이다. 동력의 상실은 사업 이전으로 회귀하는경향도 보이게 마련이다. D대학의 ‘클라시카 융합전공’은 이 회귀를 차단하는 효과를 지닌다. 학생이 전공 과정에 들어섰기때문에 학생이 이 과정을 끝내기까지는 이 트랙은 지속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이 점에서 ‘클라시카융합전공’의 교과 과정은 ‘포스트에이스’의 문제를 어느 정도 뛰어넘게 하는 교육편제라고 할 수 있다. 결론에 해당하는 4장은 포스트에이스 공간에서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를 단상의 차원에서 서술했다. 국책 ACE사업이 온전히 성공하려면 ACE사업 이후 애초의 기획이 지속⋅발전될 수 있어야 할것이다. 이의 가능성은 본 연구과제의 대상인 D대학의 ‘클라시카 융합전공’ 교육과정에서 찾을 수있지 않을까 제안해 본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furthering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based on the experience in the educational field. In general, there has been a long misunderstand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short, Liberal Arts in colleges tends not to be of an absolute necessity, but is rather regarded as something akin to intellectual ornamentation, so to speak, or simply as a pursuit that higher education requires. However, in our global age the need for “convergence education” is greater than ever. To meet this nee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been promoting educational reform in order to to break down the walls put up by various majors, and to expand the horizons of knowledge through the national ACE project. The main goal of this project is to strengthen Liberal Arts education, thus allowing for students to keep pace in this age of “convergence education”. In keeping in line with this goal, universities nationwide have reorganized their Liberal Arts curriculum to attract the ACE project, proclaiming to be a “well-teaching university”. The question remains, however: “How do we teach well?” the anser of which pertains to the exact nature of the content being taugh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actual matter of implementing this content based on the model of the development strategy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D university. For this exploration, the first chapter dealt with the question, “How do we teach well?”. By doing so, w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lassical reading for the fulfillment of truth inquiry, which is the very spirit of all higher learning, or should be. In Chapter 2, we traced the gradual tactical chang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explored the meaning of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which is a combin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t the D University, for the promotion of “teaching well". The course titled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a research model, was created by reflecting on the fact that writing can't be widened and deepened unless writing is abundant in the subject's brain. In Chapter 3, we proposed the necessity of a paradigm shift in Liberal Arts education, from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to a 'Classic Convergence Major',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 'Classic Convergence Major', which encompasses the humanities, society, economy, and engineering, means a qualitative change in the general education environment. This is because what we have here is not a chang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ventuality but a demand for continuity by the rapid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This persistence is of utmost importance because it is not related to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post-ACE after the end of the national ACE project. It is true that most national projects have tended to drop significantly at the end of their fixed period, and the loss of power also tends to bring these projects. However, the 'Classica Convergence Major' of D university serves to block this regression. Since the student is enrolled in his or her major, this track will continue until the student finishes their course. In this sense, the curriculum of the 'Classica Convergence Major' is an educational system that overcomes the problem of Post Ace “drop-off” phenomenon. Chapter 4 posed the question, “What is to be done during the post-Ace period?”. For in order for the national ACE project to be fully successful, the original plan should be allowed to continue after the ACE project is completed. This study carefully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of this can be found in the 'Classic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at D university.

      • KCI등재후보

        ‘교양 키워드 읽기’를 활용한 《독서와 토론》의 수업내용 연구-대구대학교 공통교양 《독서와 토론》강좌를 중심으로

        변상출,박규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This study has two aims. The one is to rethink of effectiveness for ‘Reading and Discussion’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Reading and Discussion’, one of the curriculums for the common cultural subjects in Daegu Uni. The another is to seek for a new effective way ‘how to read and discuss’. It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pecial problems in Daegu Uni. and general problems in another Universities in Korea. Reading is a precondition for writing and discussing. To strengthen the reading education, a lot of authorized books are recommended, rea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introduced and curriculum subjects for reading books are opened in the most of the universities. Even though reading educ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Reading and Discussion’ curriculum in Daegu Uni., the institutional inertia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could not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common cultural subjects. ‘Reading and Discussion’ has been only another way of ‘writing’ curriculums. Reconsidering several problems caused from reading education which has just read data and short stories according to the topics, we should find out a new way to teach ‘Reading and Discussion’ to solve such problems. So we introduce the new way as not thematic reading but cultural key word reading. The curriculum, ‘Reading and Discussion’ aims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mmon sense about the world and create new ideas. To make this aim more or less easily achieved, we suggest ‘Reading Cultural Key Words’ which is the standard for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enhancement for refinement of modern society's key issues. The curriculum’s content is to teach cultural key words by means of crossover. For example, liberal art courses’ deficiencies are filled with art, music, physical and engineering ones. Also fine arts, physical and engineering ones’ lacks are substituted with liberal arts, fine arts and physical courses. First of all, the specific suggestion for teaching contents is to develop 30 cultural key words. Second, every cultural key words will be written in English. It is considered that English is a world-wide used language. Third, a book with 30 cultural key words will be written by virtue of the experts’ help in each course such as literature, linguistics, history, philosophy, fine arts and engineering. Lastly, based on the book and the contents, the teaching process will be done through reading, discussing and presenting. 본 논문에서는 대구대학교의 공통교양 《독서와 토론》을 사례로 하여 ‘공통교양’으로서의 《독서와 토론》과목의 효율성 문제를 강의 경험에 근거하여 재고하고, ‘공통교양’이라는 기본 교양교육의 목적을 제대로 성취할 수 있는 수업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려고 했다. 이는 대구대학교에서 나타난 ‘특수성’ 문제가 전국대학의 ‘보편성’ 문제와 별개 것이 아니라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글 읽기는 글쓰기와 토론의 전제 조건이다. 권장도서를 추천하고, 독서인증제를 실시하거나, 고전 읽기를 정식 강좌로 개설하여 독서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전국대학은 독서를 통해 교양 교육과 인문학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대학교는 《독서와 토론》강좌를 통해 독서교육을 하였으나, 통합적 ‘교수학습’의 장치 미비로 ‘공통교양’의 기본 목표를 성취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았다. 그동안 《독서와 토론》강좌를 《글쓰기》 강좌의 한 방편으로서 자료 읽기 수준과 주제별 독서로 짧은 글감 읽기 수준의 독서교육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을 재고하고 ‘주제별 독서’에서 ‘교양 키워드 읽기’로 새로운 《독서와 토론》강좌의 수업 내용을 제안했다. 《독서와 토론》강좌는 주체적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며, 자신이 속한 시공간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타인과 사회와 소통을 위해 지식에 접근하는 태도와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텍스트의 이해 기준이면서 현대 사회 담론의 핵심적 내용으로 교양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교양 키워드 읽기(Reading Cultural Keywords)’를 제안했다. 수업 내용은 문·사·철의 결핍된 부분을 예체능 계열과 공학 계열에서 채우고, 예체능과 공학 계열에서 결핍된 부분을 인문학 및 예체능 계열에서 채울 수 있는 교차방식의 교양 키워드를 수업내용으로 한다. 수업내용을 위해 구체적 제안은 첫째, 30개의 교양 키워드를 개발한다. 둘째, 각 분야(문학, 사학, 철학, 언어학 및 예체능과 공학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교양 키워드의 자문을 구해 30개의 교양 키워드로 채워진 책을 엮는다. 그리고 이러한 수업 내용의 기본 방향으로 《교양 키워드 읽기 및 토론》수업의 15주를 기준으로 수업 내용의 예시를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