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朝鮮時代 突山島 防踏鎭의 설치과 그 구조

        邊東明(By?n Dong-my?ng)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7

        늦어도 신석기시기부터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한 돌산도에 방답진이 설치된 것은 조선 중종대였다. 당시 돌산도는 공문서상의 무인도로서 행정적인 공백지대였다. 돌산도 개간을 둘러싼 성종대의 논의에서 알 수가 있는 일이었다. 고려 말 왜구가 창궐하자 空島政策으로 돌산현이 육지로 옮겨간 때문이었다. 돌산진이 돌산도가 아닌 여수반도에 위치하게 된 것도 그에 따른 일이었다. 돌산현이 寓居한 지역에 설치된 수군진이다 보니 돌산도와 무관한 곳임에도 돌산진이라 불리게 되었던 것이다. 공식적으로는 그처럼 무인도이던 돌산도에 방답진이 설치되기에 이른 데에는 세 가지 정도의 요인이 작용하였다. 첫째, 여수반도에 자리한 돌산진의 효용성을 둘러싸고 문제가 제기되었다. 주위의 수군진과 거리가 너무 가까운 데다, 왜구를 퇴치하기에 그다지 유리하지 않은 위치라는 점 때문이었다. 둘째, 돌산도가 왜구의 주요 통로로서 해로상의 요충이라는 점이 부각되었다. 내륙 쪽으로 들어가 해로와 다소 떨어져 위치한 돌산진에 비해 훨씬 유리한 조건으로서, 돌산도가 새로운 수군진의 유력한 후보지로 떠오르는 배경이 되었다. 셋째, 그에 더하여 돌산도의 넓고 비옥한 농토를 개간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섬 안의 농지를 개간하자면, 왜구의 잦은 출몰에 대비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오랜 논의 끝에 육지의 돌산만호진을 권관진으로 격하시키는 것과 함께 돌산도에는 새로 이 방답첨사진을 창설하기로 방침이 결정되었다. 중종 17년(1522) 무렵이었다. 방답진은 전라좌수영 휘하의 蛇渡鎭管에 소속된 수군진이었다. 巨鎭이었음에도 소속 諸鎭을 거느리며 鎭管을 지휘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諸鎭의 하나와 같은 취급을 받은 첨사진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그것은 형식에 지나지 않았다. 실제에서는 사도첨사와 대등하거나 혹은 서열에서 앞서기도 하였다. 봄 · 가을의 훈련 편제에서나 혹은 무장의 수준에서는 서로 비등하였으며, 직속상관인 전라좌수사의 인수인계나 혹은 風和 · 風高期의 防戍 및 포폄 시의 열거 순서에서는 방답첨사의 서열이 사도첨사를 도리어 앞서는 게 보통이었다. 그리하여 평시는 물론 임진왜란과 같은 전란기에 전라좌수군을 구성하는 주요 수군진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였다. 방답진 첨사의 휘하에는 대략 500명에서 700명가량의 軍官 · 人吏를 포함한 수군이 배속되었다. 그들을 지휘하여 두 척씩의 戰船 · 兵船과 4척의 挾船을 운영하는 편제였다. 관아 건물이 즐비한 水軍鎭城과 그 주위에는 공문 서상 170호가 거주하였다. 다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稅役의 수취와 같은 대민 행정업무의 비중이 커지면서, 군사는 대개 문서상으로만 존재할 뿐이었고 전함은 파손된 채 방치되기 일쑤였다. 연해안과 도서지역의 경제 · 사회적인 변화 발전을 반영한 결과라고는 하지만, 해상에서의 외적방어라는 본연의 업무를 소홀히 하도록 이끈 잘못된 정책이 빚어낸 결과였다. Dolsan island, which people had begun to live on as early as Neolithic age, was designated as 'hy?n', a local administrative unit, since Three Kingdoms till the early years of Ch?sen dynasty. The governing body of the island once had to move to the mainland because of the raids of Japanese marauders[waegu, 倭寇] at the end of Kory? dynasty. Later, it was incorporated to be a part of Sunch?n county in the beginning of Chos?n dynasty. This brought to the end its function as a solid township. And then after a century, the garrison of Bangdap was established in this island. It was part of the effort by the government to guard against Japanese pirates by constructing a garrison of the naval forces in Dolsan island, which had been almost deserted in administrative control since the end of Kory? dynasty. This garrison in Dolsan island was one of the important garrisons for the Navy Command of Left Ch?lla province in Chos?n dynasty. The garrison of Bangdap kept many warships around and was armed heavily. The commanding officer of this garrison, who was under the leadership of Yi Sun-sin, Naval Commander, has been reported to have scored victories against Japanese naval forces that invaded Chos?n dynasty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Of course, we can assume that the victories may have been thanks to the garrison itself. The garrison of Bangdap was abolished in 1895 and left abandoned. The Reform of 1894[kabo ky?ngjang] brought that conclusion. When the garrison was disarmed, it not only had hardly a whole warship but was in a desperate financial need. That is, the garrison of Bangdap was totally different from what it looked like in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the people in the fort island suffered from burdens of overtaxation by governors.

      • KCI등재

        11세기말 12세기초 殷元忠의 활동과 사상 경향

        변동명 호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1 No.-

        Eun Won-chung lived in a remote village as a seclusive scholar from the end of the 11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He was entered in the central government by the King’s calling and left his name on the history book. However, Eun Won-chung had already known to the local and central society before he became a governor. The evidence was the record that he had an effect on the retired life of Yi Jung-yag and Yi Ja-hyeon. Eun Won-chung enjoyed Taoism, Feng-shui, and Buddhism, etc through his life time. We can see that he had a taste for Taoism as he, calling a seclusive scholar, was acquainted with Yi Jung-yag and Yi Ja-hyeon. The fact that he was famous for a Feng-shui expert was confirmed by the document which said that he invited king Yejong to transfer the capital to Namgyeong depending on monk Doseon’s Feng-shui theory. Owing to the fact that he had mingled with Yi Ja-hyeon and the monk Ikjong. it reveals that he had a relationship with Buddhists. Eun Won-chung, while being a scholar who pursued a non-Confucian life, chose the life of a hermit on Mudeung-moutain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Eun Won-chung entered in the central government owing to his relationship to a lady of the Euns ― a royal concubine of king Yejong. After he came to Gaegyeong, he helped Yi Jung-yag to move for office, and intervened in Namgyeong management and policy-making against Jurchen and the formulation of Feng-shui thought. Eun Won-chung participated in political reform as a king Yejong’s close associate and contributed to support the royal family and strengthen the political leadership of the king. The Taoistic life that Eun Won-chung pursued, contributed to bring about a new trend of the times in Taoism in the middle of Koryo. In addition, because he versed in Feng-shui, he intervened to take a new turn of Feng-shui thought. Furthermore, throughout the relation with Buddhists, he made a contribution to emerging the new stream of Buddhism in the middle of Koryo. As a seclusive scholar in a remote village, he was an uncommon person who contributed to make a big change of movement in the central thinking world. 殷元忠은 11세기말에서 12세기초를 살아간 草野의 學人이었다. 無等山 일원에서 은일의 삶을 누리다 국왕의 부름을 받아 중앙으로 올라가 출사하였지만, 미관말직에 재임했을 뿐 뚜렷한 행적을 남기지 못하였다. 자연히 그의 생애를 전하는 기록도 극히 영세하며, 그의 가문이나 世系 역시 알려진 바가 없다. 그에게 관심을 기울인 연구자를 찾기 힘든 것은 당연해 보인다. 그렇지만 은원충은 생존하던 당시 벌써 상당한 명성을 지닌 인물이었다. 지방의 일개 처사에 지나지 않던 그를 국왕이 개경으로 불러 올렸음이 사서에 전한다. 또한 그와 교유했던 李資玄이나 李仲若은 고려중기 사상계에 새로운 기풍이 일도록 고취한 것으로 이름있는 인물들이었다. 비록 그 행적이 도드라져 보이지는 않지만, 은원충은 관심을 베풀기에 부족함이 없는 인물이었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의 행적을 살피고 더불어 그러는 가운데 드러난 그의 사상 경향과 그 의미를 헤아리려는 게 이 글의 목표였다. 그리하여 당시 고려사회에서 새로운 사상적 풍조가 고개를 들기에 이른 의미를 되새기며, 나아가 그와 같은 신선한 기풍의 진작에 지방지식인이라 일러 무방할 초야의 학인이 나름대로 기여하였음을 이해함으로써, 고려중엽 들어 성장을 거듭하던 지방사회의 한 단면이나마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국왕의 부름을 받기 전부터 이미 지방과 중앙에 그 이름이 알려진 인물이었다. 가야산에 들어가 수행 중이던 이중약으로 하여금 월출산으로 옮겨가 道家的 수양을 지속하도록 그가 유도하였다든지, 혹은 관직생활을 하던 이자현이 마침내 청평산 문수원에서 은일의 삶을 누리기로 결정하는 데 그가 영향을 미쳤다는 기록 등이, 그러한 증거였다. 또한 은원충은 도가와 풍수지리 그리고 불교 등과 두루 연결된 삶을 누린 인물이었다. 처사라 불리며 이자현이나 이중약과 연계를 맺었던 데서 그의 도가적 취향이 드러나는 것은 물론이고, 道詵의 설을 앞세워 예종에게 남경 천도를 권유하였다는 기록에서는 풍수지리 전문가로서의 그의 명성이, 그리고 선승 翼宗 및 이자현과의 교유에서는 그가 불교계와도 교분을 맺었던 사실 등이 각각 확인된다. 고려중기에 非儒敎的인 삶을 지향하며 은일을 선택한 가운데 무등산에 묻힌 초야의 학인으로서, 지방과 중앙에 그 이름을 알린 이가 곧 무등산처사 은원충이었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나름의 명성을 바탕으로 肅宗의 부름을 받아 중앙으로 진출하였다. 고려중엽 중앙에서 활동하던 한두 殷氏들, 각별히는 태자시절 睿宗의 후궁이던 은씨와의 연고가 주요한 배경이었다. 개경에 올라간 은원충은 예종과 밀착된 가운데, 이중약을 천거하여 그의 출사에 도움을 주며, 남경 건설과 경영 및 대여진정책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더불어 『해동비록』의 편찬에도 간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등, 왕권을 옹호하고 강화하는 방향에서 활동하였다. 예종과의 연고에 힘입어 중앙으로 진출하였으며, 이후 예종의 측근에서 정치개혁에 참여하여 왕실을 옹호하고 국왕의 정치적 주도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도가적 삶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이중약과의 밀착된 관계에서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그것은 결과적으로 고려 敎團道敎의 성립을 예비하는 일이기도 하였다. 이중약의 경우와 같이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은원충은 고려중기 도교에...

      • KCI등재

        忠宣王과 萬僧會 : a Buddhist Mass with ten thousand monks

        변동명 영남대학교 2003 민족문화논총 Vol.27 No.-

        Manseunghoe(a Buddhist Mass with ten thousand monks) was held at Yeo ̄n'gyeo ̄ng'gung, Kaeso ̄ng in October of the year when King Chungsuk was acceded. The Buddhist mass was the ceremony promoted by King Chungso ̄n to serve maigre feasts for 108 monks and turn the 108 lights on. Manseunghoe was held for about four months and a large number of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e mass. The very exceptional mass was held at Yeo ̄n'gyeo ̄n'gung only, participation renowned monks of both Zen and Kyo School. Chungso ̄n was the king with strong religious belief in Buddha. The opening of the mass was, of course, an expression of his personal belief. With the participation of renowned monks of each sect, the king strived for harmony of allsects that had disputed each other and ahd intention to obtain a hegemony toward Buddhist society. Above all, with the mass, the king intended to unify national opinions so that he could display the political stability of the period. At that time, King Chungso ̄n needed to have justification to continue his political activity again in Yu¨an. He needed to make others sure that Koryo ̄ Dynasty was stable politically and had an unified public opinion regardless of his absence. In a summary, Manseunghoe was planned to display the political stability of Koryo ̄ Dynasty with the harmony and King Chungso ̄n had intention to overcome the criticism, with the mass, that Koryo ̄ Dynasty would be broken and politically unstable with his absence. Moreover, it was to purpose to arrange the justification of his continuous political activity in Yu¨a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城隍神 金洪術과 義城

        邊東明(Byeon Dong-Myeong) 역사학회 2006 역사학보 Vol.0 No.189

        Gim Hongsul became a powerful local gentry of Uiseong County standing by himself from Jinbo County at the end of Silla. He died in the battle against King Gyeongwon by standing with King Wang Geon. Thus, the residents in Uiseong County heartily remembered him, who protected the region and gave his loyalty to Goryeo dynasty. Driven by his descendants and influential locals in King Hyeonjong's reign, he was worshiped in a shrine as the god of castle. As Uiseong County was degraded as an administrative unit due to the reformation of local ruling system, residents appealed the recovery of status of Uiseong County by emphasizing the achievements of Gim Hongsul. Since then, a sacrificial rite which praised Gim Hongsul as the god of castle was held until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t the time of Sukjong reign, there was a flow of change, in which the god of castle was perceived in a negative spirit and thus relegated so that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was strengthened with political principles. With this change, residents in Uiseong County tried to alter the shrine of the god of castle into a Chungnyeol shrine and installed him there. This project was relatively belatedly driven by other dan leader. This was caused by the fall of his direct descendants, that is to say, it was the result of the social differentiation in which the rise and fall of each clique in the clan of Uiseong Gim happened. It was also caused by social change that yangban literati family who gained ascendancy over traditional natives of influence established a secure superior position in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