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의 국제 연구 동향 분석

        백송이(Beak, Song yi),박기웅(Park, Kiwoong),고사론(Ko, Saron),계보경(Kye, Bo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Web of Science(WoS)에서 제공하는 학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 이슈를 탐색하고 향후 포용적 디지털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WoS에서 제공하는 학술 논문 중 디지털 포용성과 관련해 출판된 SSCI, SCI, SCIE, A&HCI급 1,082편의 논문을 텍스트 마이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R과 Netminer를 활용해 주요 키워드에 대한 빈도 분석(TF, DF, TF-IDF), 토픽 모델링 기반의 디지털 포용성 이슈 분석, 그리고 각 이슈에 대한 연도별 출연 빈도를 분석하여 디지털 포용성 연구의 경향성을 탐색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사회담론(social discourse)’, ‘기술의 영향력(influence of technology)’, ‘디지털활용능력(digital literacy)’, ‘학습장소(learning space)’등의 10개 이슈로 분석되었고, ‘사회담론(social discourse)’, ‘기술의 영향력(influence of technology)’, ‘디지털활용능력(digital literacy)’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디지털 포용성에 대한 국제적 연구 동향을 기초로 우리나라 디지털 교육의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issues on ‘Digital Inclusion’ by collecting academic big data from Web of Science(WoS), to provide further implications for the inclusive digital education policies. Using the WoS, the authors collected 1,081 studies from SCI journal related to digital inclusion. After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using R and Netminer, the authors obtained the TF, DF, TF-IDF values on main keywords, and analyzed issues on digital inclusion using topic modeling. Then the authors anlayzed research trend on the topic of digital inclusion while analyzing the frequency.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ten keywords had been driven: ‘social discourse’, ‘influence of technology’, ‘digital literacy’, ‘learning space’ et cetera. ‘Social discourse’, ‘influence of technology’, ’digital literacy’ appeared in a higher proportion relatively. Based 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on ‘digital inclusion,’ this thesis provided implications on digital education.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채용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취업준비생의 인식 분석

        김혜영(Kim Hyeyeong),백송이(Beak Song Yi),윤재희(Youn Jaehee),박인우(Inn Woo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채용 환경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취업준비생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진로 및 취업교육 설계를 위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 전문대, 4년제 대학의 취업준비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 IPA분석을 활용하여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 모두 중요도와 현재 수준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IPA분석 결과,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영역은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과잉상태로 인식되는 영역은 자원관리능력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별 요구도를 확인한 결과, 전문대 취업준비생은 문제해결능력을,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을 집중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job applicants on core competency in the recruitment environ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nd also to obtain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eeking of employment and employment education plans. A survey and paired t-test were conducted on 355 job applicants of vocational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Through these applica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level of importance dependent on areas of core competency was analyzed. In addition, IPA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educational necessity in this area.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level of importance in all 10 areas. IPA analysis confirmed that educational needs are prioriti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reas which should be strengthened in both groups were interpersonal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numerical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evelopment ability. The area recognized as being in ’a state of excess’ was resource management ability. As a result of checking the necessity levels of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job applicants of vocational colleges had to strengthe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applicants of four-year universities had to intensify their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and information ability.

      • KCI등재

        중학교 정보교과 개념 제시 방법이 학습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박진용(Jin Yong Park),백송이(Song Yi Beak),이은주(Eun jo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2015 개정 정보 교과에서는 컴퓨터 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및 기술을 바탕으로 실생활과 다양한 학문 분야의 문제를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교과서의 내용이 어떻게 설계되어 있는지는 이러한 교육 목표 달성 여부와 교육 내용을 쉽고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느냐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제시 방법을 텍스트 중심 유형, 그림 중심 유형, 사례 중심 유형의 3가지로 분석하여 학생의 개인 변인(성별, 선호 과목)에 따라 이해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개념 제시 방법을 제시하기에 앞서 사전 진단평가를 실시하고 개념 제시 방법을 제시한 후 학생들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사후 평가지와 선호도를 묻는 설문지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 중심 유형이 가장 높은 이해도를 보였으며 개념 제시 방법의 선호도와 성별에 따른 이해도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선호하는 과목에 따라 개념 제시 방법의 이해도 차이는 선호하는 과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2015 revised information curriculum emphasize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real life based on the basic concepts,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computer science. How the contents of textbooks are designed is an important issue in terms of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and whether contents can be easily and clearly communic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presentation method presented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by three types of text- centered type, picture-centered type, and case-centered type- to analyz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sex, subject preference). Analysis results found the figure-centered type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comprehension among students, and the preference of contents design type and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sex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subject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design typ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eferred subjects.

      • KCI등재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instruction in flipped learning: focused on Buber s dialogue education

        한지윤(Han, Ji-Yoon),백송이(Beak, Song-Yi),신창호(Shin, Chang-Ho) 한국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duce the flipped learning principles of instruction based on Buber s communion in order to solve the crush of authority and freedom occurr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during flipped classrooms. Communion is a alternative to this as it has an inherent intersubjectivity both teacher and Learner. First, the flipped learning principles of instruction which were deduced based on communion, are relation-focused principles. Through the dialogical relationship which acknowledges intersubjectivity, teacher can help the learners build their intersubjectivity. Second is the dialogue principle. The teacher asks questions facilitating an opportunity for change in the learner, and learners possess the responsibility to respond to questions, and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through mutual interaction. Third, is the duality principle. As with the reiteration of the I-It and I-Thou relationship, online classes are being taught a method of transmitting knowledge through online media by a teacher, and offline classes are centered learning activities to exchange his/her experiences in a face-to-face manner without media. Fourth is the inclusion principle. Learning is facilitated in the free expression of character and creativity, as learners possess the attitude of respecting ideas without erasing the differences of others.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수업 도중에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권위와 자유의 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부버의 친교에 기반 한 플립러닝 교수원리를 도출하는 것이다. 권위와 자유의 충돌을 해결할 수 있는 부버의 친교를 통해 교사와 학생은 모두 상호주체성을 지닐 수 있다. 첫째, 친교를 기반으로 도출한 플립러닝 교수원리는 관계 중심 원리이다. 인격적 관계를 통해 상호주체성을 인정해주는 교육환경을 교사가 조성하면, 학습 주체인 학생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해나갈 수 있다. 둘째, 대화 원리이다. 교사가 질문이나 피드백을 하면서 전환의 계기를 촉구시키고, 학생이 타자에게 응답하는 책임을 지니고서 자유롭게 의견을 표출하는 쌍방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학습이 촉진된다. 셋째, 이중성 원리이다. 나-그것과 나-너 관계가 중첩적으로 존재하듯이, 매개체를 통해 지식을 전달하는 온라인 수업과 직접적으로 교류하고 교감하는 학습활동을 하는 오프라인 수업이 상호 연계될 때, 학습이 촉진된다. 넷째, 포용 원리이다. 교사가 학생의 다름을 말살시키지 않고 존중하면서 자유롭게 성격과 창의성을 표출하도록 유도할 때, 학습이 촉진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