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평생교육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 분석

        배을규 ( Bae Eulkyoo ),이민영 ( Lee Minyoung ),강선희 ( Kang Sunh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국내 평생교육사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평생교육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평생교육사관련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수집하여 총 11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체 연구 대상의 연도, 출판형태, 연구 방법의 특성과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분석 방법과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 관련 연구는 1999년 평생교육법 제정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출판형태는 학술지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주제어 중 ‘역량’과 ‘전문성’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분석 방법은 기본적 질적 연구였다. 주제어 중 ‘자격 및 양성’, ‘경험과 성장’, ‘역할 및 역량’ 관련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진 반면, ‘사회적ㆍ조직적 환경’ 관련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적 연구에서는 관계분석 관련 방법이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었고, ‘몰입’과 ‘무형식 학습’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직무특성’의 외향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내향연결중심성은 ‘몰입’, 매개중심성은 ‘경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of the life-long educator. The total of 112 studies including journal articl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life-long educator from 1999 to 2019.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contents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EXCEL and Net-Miner 4.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life-long educator was mainly conducted by quantitative research and academic journals, with the most high frequency of ‘competency’ and "expertise" subjects. Second, in qualitative studies,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utilized method of analysis. While studies related to ‘qualifi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and growth’ and ‘role and competency’ were actively conducted, studies related to ‘soci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s’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Third, in quantitative studies,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were high frequency. In network analysis, ‘job characteristic’ was high out-degree centrality, ‘commitment’ was high in-degree centrality, and ‘career’ was high betweenness centr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erives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on life-long educator.

      • KCI등재

        카지노 딜러의 핵심자기평가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을규 ( Eulkyoo Bae ),이다애 ( Daae Lee ),이민영 ( Minyoung Lee ) 관광경영학회 2019 관광경영연구 Vol.8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t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casino dealers.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1 casino dealers of P casino hotel. The 371 final data was used for analysis. A survey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four parts, including the measurement tools of Core Self-Evaluation(Judge et al. 2003), Informal Learning Activity Level(Choi. 2009), Subjective Career Success(Career satisfaction Scale: Greenhaus et al. 1990; Job Satisfaction Scale: Mobley et al. 1994; Employability Inventory: Johnson. 2001) and demographics. Data analysis was implemented by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core self-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had a parially mediating effect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casino dealers. Based upon those results,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casino dealers’ core self-evaluatio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경력개발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이민영 ( Lee Minyoung ),배을규 ( Bae Eulkyo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경력개발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과 경력개발 효과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18년 2월 5일부터 3월 2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25개 민간 기업의 316개 케이스를 확보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MOS, SPSS와 UCINET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및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 중심 네트워크에서 외향 연결 중심성과 외향 근접 중심성은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매개로 경력 적응력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외향 연결 중심성은 경력 적응력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친교 중심 네트워크에서는 매개 중심성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를 매개로 경력 적응력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자기주도 학습 능력 및 경력개발 효과성을 증진 시키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network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employe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and career development effectiveness.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316 employees in 25 private organizations from February 5 to March 2, 2018.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SNA(social network analysis),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using AMOS, SPSS, and UCINE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ask advice networks, out-degree centrality and out-closeness centr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direc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However, out-degree centrality negatively affected career adaptability. Second, in friendship networks, between centrality positively affected career adaptability, and had in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mployees’ social network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