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사문화지구 주변의 색채조화를 위한 경관색채 개선방향

        배용진(YongJin Bae),이석현(Lee Seokhyun)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1970년대 이후 진행된 급격한 경제성장과 도시화에 따른 난개발은 도심 내 역사문화지구에서도 진행되어 역사문화지구와 주변경관과의 부조화를 형성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역사문화지구인 서울시 도심부 5대 궁 담장을 중심으로 주변 경관과의 색채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색채개선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존 연구의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지구에서 요구되는 경관색채에 대한 논점을 정리하고, 색채의 관계성과 색채의 연속성을 평가하기위한 객관적인 방법을 도출한다. 5대궁의 돌담·역사문화지구의 주변 건축물·시설물의 색채를 CIELab값으로 측색하여 색채의 연속성을 분석하고, 측색한 CIELab값을 Munsell Conversion으로 변환하여 색채의 관계성을 분석한다. 연구 대상지의 경관색채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한다. 5대 궁 담장과 주변 경관의 색채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경복궁·창덕궁·창경궁주변 경관은 색채의 관계성이 양호하였으나, 경희궁 주변 경관은 난색과 한색이 비슷하게 분포하고, 채도 또한 폭넓게 분포하여, 색채의 관계성이 약하다. 유리소재를 사용한 고층 건축물들과 일관성 없는 버스 및 택시정류장의 시설물의 색채가 원인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5대 궁 담장과 주변 건축물의 색채연속성을 분석한 결과 경복궁·덕수궁·창덕궁·창경궁 주변 경관은 일부 돌출된 건축물을 제외하고 대체로 색채의 연속성이 양호하였으나, 경희궁 맞은편의 대다수 고층건축물들이 한색의 유리소재를 사용하고 있어 경희궁과의 소재와 색채의 관계성이 낮다. 역사경관자원과의 관계성·연속성을 고려하여 주변의 건축물과 시설물의 색채계획 시, 유사한 소재와 주조색의 적용이 장기적으로 요구된다. Sprawling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since 1970s was progressed even in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in urban areas that it is being pointed out as the cause of forming mismatch between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and surrounding scener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colors in surrounding scenery around the wall of 5 palaces in downtown Seoul, a representative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 in Ko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improvement in color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This study will organize issues on the landscape color in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by investigating earlier studies and deduce objective methods for evaluating a relationship and continuity of colors. This study analyzed continuity of colors by measuring colors of surrounding buildings and facilities of stone wall of 5 palaces and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 with CIELab value, and analyzed a relationship of colors by converting the CIELab value into Musell Conversion. This study recognized problems of landscape colors of the selected site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relationship of colors in the wall of 5 palaces and surrounding landscape, surrounding scenery of Gyeongbokgung Palace, Changdeokgung Palace, and Changgyeonggung Palace had good relationship of colors, but scenery around Gyeongheegung Palace had similar distribution of warm and cold colors and full range of chroma that showed weak relationship between colors. Tall buildings made out of glass and inconsistent colors of bus and taxi stop facilities were the cause that needed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color continuity of the wall of 5 palaces and surrounding buildings, the color continuity of landscape around Gyeongbokgung Palace, Deoksugung Palace, Changdeokgung Palace, and Changgyeonggung Palace had generally satisfactory color continuity except for some protruding buildings, but the majority of tall buildings opposite to the Gyeongheegung Palace showed low relationship with Gyeongheegung Palace in material and color because they used cold color glass material. Application of similar material and dominant color are required in the long term when planning colors of surrounding buildings and facilities by considering relationship and continuity of historic landscape resources.

      • KCI등재

        색채를 활용한 구도심 셉테드(CPTED) 사례 연구

        배용진(YongJin Bae),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3

        서울시는 범죄취약지역인 염리동을 구도심에 처음으로 셉테드 시범구역으로 선정하였다. 좁고 어두운 계단과 골목길 등에 원색을 사용, 색의 심리적 효과를 바탕으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색으로 범죄 예방을 시도하였다. 그럼에도 아직 다양한 시도에 비해, 범죄예방의 효과는 제대로 검증되지 못한 경우가 많아 이를 위해 지속적인 공간디자인 기법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리동 소금길의 구도심공간을 대상으로 색채를 활용한 셉테드 개선에 대한 평가를 통해 향후 색채를 활용한 구도심 범죄예방 기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연구 고찰을 통해 안전도시설계에 있어 색채와 연관된 논점 및 관점을 정리한다. 특히, 안전과 연관된 색채기능성과 경관색채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평가연구방법과 내용을 설정한다. 둘째, 조사대상지의 현황과 색채특성을 측색하고 색채의 기능적, 경관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실시한다. 셋째, 대상지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 정리를 통해 향후 연구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향후 색채를 활용한 구도심 범죄예방 기법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적 감시·자연적 접근통제·영역성과 같은 색채의 기능성 부분은 효과적이었으나, 색채의 미적인 부분은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채도 색을 주거공간 벽면의 주조색으로 사용하는 것은 경관의 부조화를 가져오며, 색채의 기능은 살리되 최소한의 면적에 사용하여 경관 색채로써의 미적기능도 고려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염리동과 같이 도색위주의 사업으로 진행되면 색채의 유지관리가 자연적 감시·자연적 접근통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주민 참여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색채를 통한 범죄 예방시도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향후 색채적용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검증이 요구될 것이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has designated the old downtown Yeomni-dong, the vulnerable area of crime as a test area of CPTED. By using primary colors for narrow and dark stairs and alleys, a bright atmosphere has been created based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 thus, crime prevention method was tried. Yet, in comparison with diverse trials of this kind, the real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has not been properly verified in many cases,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the technique of space design in constant manner.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some implications on color-based CPTED prevention techniques which will be used in the future, through the evaluations of color-based CPTED improvement, oriented to the old downtown area of Sogeum-gil of Yeomni-dong. This study contains the following methodology: First,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precedent research, this study arranges the controversial points and perspectives related to color in terms of secure urban design. In particular,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ecurity-related functions of color and landscape color,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research and range of research will be established. Second, the actual state and chromatic feature of the target area will be measured, then, an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s of function and landscape. Third, some implications will be proposed for future study dire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arrangement of problems of the target area. The implications of color-based CPTED techniques of future for old downtown areas are as follows: First, the chromatic functions such as, natural surveillance, natural control of access and territoriality have been fairly effective, however, it is still necessary to consider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erms of the aesthetic part of color. In particular, to use colors of high chroma for the dominant color of walls of residential space can bring about a mismatch of landscap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eek the plans to consider aesthetic functions in the capacity of surrounding colors, by way of keeping its chromatic function only for minimum area. Second, if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color is proceeded focusing on painting works as in Yeomni-dong, it can affect the natural surveillance and natural control of access, therefore, continuous management plan is requir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residents.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trial for color-based crime prevention has brought positive effects, however, a systematic verification will be required to increase future objectivity of color application.

      • KCI등재

        근대거리 도시재생의 환경색채 사례연구 - 마루노우치 거리와 바샤미치 거리의 역사건축물과 주변건축물의 색채를 중심으로

        배용진(Bae, YongJin),이석현(Lee, SeokHyun)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3 No.2

        We carried out field study to investigate the successful regeneration of modern street. In particular, we attempted to identify how the areas have formed the authentic environmental color reflecting their own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We targetted two well-known success cases, such as Marunouchi Street and Bashamichi Street, where we conducted color and image samplings. Based on the analysis, we draw insights for color of the overseas regenerated urban environment, thereby proposing a color strategy for domestic regenerated urban area. First, both color and materials of urban artifacts should be in connected with those of historical architecture of the area. Second, a harmony is necessary between the historical landscape and artifacts in regenerated urban environemnt, where a sustainable management is essential. Third, studies should continue to plan and operate an environmental color system that properly serves the color of the regenerated urban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