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신체통증과 자세습관 실태분석

        배민우(Minwoo Bae),곽은창(Eunchang Kwa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겪고 있는 신체통증, 인지 자세와 실제 자세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S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651명(남학생: 292명, 여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회수 못한 인원과 불성실한 인원을 제외한 총 617명(남학생: 277명, 여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통증과 통증원인, 인지자세여부를 개방형과 폐쇄형 문항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실제 취하는 자세를 관찰하기 위해 목과 허리에 통증정도가 10에서 6이상의 정도를 느끼고 있는 학생 중 올바르다고 인지하고 있는 A그룹 8명(남학생: 4명, 여학생: 4명)과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고 있는 B그룹 8명(남학생: 4명, 여학생: 4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관찰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폐쇄형 문항은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문항들은 각 질문에 따라 성별로 나누어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실제 자세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신체부위별 자세 패턴분석표에 따라 Mann-Whitney 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첫째, 61.9%의 학생들이 허리와 목에 가장 많은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남·여학생들 모두 통증의 원인을 자세습관 때문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올바르다고 인지한 A그룹에서는 실제 자세에서 자세모양과 빈도, 굴곡이 인지 자세와 다르다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올바르지 않다고 인지한 B그룹의 학생들이 취하는 자세모양은 실제 자세와 인지 자세가 비슷하였지만 실제 자세에서 빈도와 굴곡이 인지 자세보다 더 심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자세개선을 위해서는 스스로 몸에 대한 자기관찰과 인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체육교과에서 자세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기가 병행된 실천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physical pain, the perspectives of posture and actual posture of high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651(male: 292, female: 359) freshmen in S high school in Ansan City, Kou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total 617(male: 277, female: 340) students by closed and open ended questionnaire. Sixteen students who suffered pain scale 6 to 10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ir pain and their actual posture. Their actual posture in the classes were videotaped and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explore their perspectives on the postu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t analysis and t-test. Actual posture were analyzed by posture pattern analysis using Mann-Whitne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61.9% students reported waist and neck were the most painful parts in their body. They all perceived that their pain come from habitual posture problems. Students in good posture group showed discrepancy between their posture perception and actual posture. Students in bad posture group showed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ir posture perception and actual posture, however, their actual posture was worse than they expected. This study recommend actual perceiving and commitment is necessary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students’ practical perspectives and experience on actual posture commitment, physical education class should play a key role in school setting.

      • KCI등재

        중·고 체육수업의 ‘배움’과 ‘도움’에 대한 경험적 분석

        곽은창(Eunchang Kwak),배민우(Minwoo Bae),문희수(Heesu Mu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경험한 ‘배움’과 ‘도움’의 요소들을 사실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와 H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1,257명(남학생: 633명, 여학생: 624명)이 최종 선정되었다. 자료수집은 Flanagan(1954)에 의해 고안된 주요사건기록(Critical Incident Report)을 본 연구에 맞게 ‘배움’과 ‘도움’에 대한 개방형 문항 각 1개씩과 성별을 물어보는 폐쇄형 문항(1개)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문항에 따라 성별로 나누어 공통되거나 비슷한 내용들을 서로 합쳐 소영역으로 분류하고, 이후 대표할 수 있는 주제를 찾아 중영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별로 분류하기 전 표본의 10%를 활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89%로 나타났다. 자료분석 결과,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으로는 ‘심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순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체육수업에서 배운 것이 없다고 한 학생들도 11.71%(f=181)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체육수업을 통한 도움에 대한 응답은 총 1,978개로 나타났으며, ‘심동적 측면에 도움’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기타’, ‘정의적 측면에 도움’, ‘인지적 측면에 도움’ 순으로 나타났다. 이때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한 응답(f=210, 10.62%)이 ‘인지적 측면에 도움’(f=195, 9.86%)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가 제공하는 학습내용과 신체활동이 학생들에게 배움과 도움의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평생체육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이 되는 ‘배움’과 평상시 삶으로 연결되는 실천의 장으로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육수업을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s of ‘learning’ and ‘assistance’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grade students attending five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1,257 students(boys: n=633, 50.4%; girls: n=624, 49.6%) were finally selected.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learning’, ‘assistance’(one open-ended question), and gender(one closed-type question). Data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small-domains by combining the same or similar contents. The subjects that can be represented were found and classified into the middle-domain and finally the large-domain.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10% of the sample before classification by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ntents learned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ppeared in the order of ‘psychomotor domain’, ‘affective domain’, and ‘cognitive domain’, and 11.71%(f=181) did not learn anything. And there were 1,978 responses that they received assistance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assistance in the psychomotor domain’ takes the largest proportion. Next, ‘others’, ‘assistance in the affective domain’, and ‘assistance in the cognitive domain’ appeared in order, and the response that it was not helpful(f=210, 10.62%) was found to be more than that of ‘assistance in the cognitive domain’(f=195, 9.86%). It suggests that learning content and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an give students an experience of learning and assistance. Therefore, based on the three goal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provide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lifelong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과제제시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분석

        문제영(Jeyoung Moon),곽은창(Eunchang Kwak),배민우(Minwoo Ba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질적 교수행동 분석(QMTPS)을 통해 체육 교사들의 과제제시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중학교 체육 교사 5명으로, 경력별로 분류하여 40차시의 과제제시 관련 교수행동을 녹화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질적 교수행동 측정 도구(QMTPS)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92%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심층면담 내용은 전문가 집단 회의를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과제제시 시 학생의 주의집중 비율이 높지 않으며, 경력이 적은 교사일수록 주의집중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설명에 대한 이해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모호하거나 상투적이었으며 설명방법에 대한 계획성과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교사들은 효율적인 동작시범 방법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시범의 질적 측면을 간과하고 있었으며 학습단서의 체계적인 계획과 활용 능력도 부족하다고 밝혔다. 또한 과제제시 방법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부족하고, 교원양성과정과 현직교사 재교육 과정에서 과제제시에 대한 전문적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제제시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와 실천적 경험이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할 이유와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spectives and quality of task presentation of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ive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employed for the qualitative teaching behavior analysis. Two 5-years experienced teachers, two 6-15 years experienced teachers and one more than 16 years experienced teachers were served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For the data collection, total 40 classes were videotaped by the research assistants.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asurement Teacher Performance System(QMTPS) and reliability was set at. 92.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more in-depth information on their task present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tend not to pay attention to teachers’ task presentation. The less experienced teachers, the less QMTPS scores. Low level of students’ attention and less perspectives on task presentation were found in this study.. Checking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task was not clear and stereotyped. Understanding on the effective demonstration and the quality of it also need to be improved. Cues were not actively utilized during the process of teaching. All teachers indicated that their knowledge on task presentation was very poor and not much specified education was provided during thei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need to be specifically trained on task present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training programs.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and experiences on task presentation for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세 가지 교수-학습 전략에 의한 예비 체육교사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 차이 분석

        문희수(Heesu Mun),곽은창(Eunchang Kwak),한욱진(Wookjin Han),배민우(Minwoo Ba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제시 교수-학습 전략에 따라 나타나는 예비 체육교사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과 인식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하는데 있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00대학교 2019-2학기 ‘체육지도이론과 실제’ 수업을 수강한 24명의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전략에 따라 ‘과제제시 부분지도형(A)’ 집단, ‘과제제시 전체지도형(B)’ 집단, ‘과제제시 학생주도형(C)’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과제제시 전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 학기 동안 총 5번의 수업시연과 3번의 지도 및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영상, 수업계획서와 자기보고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집단 간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eparate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다. 자기보고서와 심층면담은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는데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A, B집단의 교사주도형 전략보다 C집단의 학생주도형 전략에서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교사주도형 전략인 A, B집단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법’과 ‘동료들과 의견을 공유할 수 없었던 점’에서 아쉬움을 나타낸 반면, 학생주도형 전략인 C집단의 예비교사들은 ‘처음에는 다소 느리거나 과정이 매끄럽지는 않았지만 학생이 주체가 되어 토론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제제시에 관한 교수행동을 학습할 때는 수업시연을 이용하여 학생중심적으로 탐색-실천-반성 과정을 거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pre-service PE teache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on task presentation skill level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took the ‘PE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class at K university in Y city. Al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teaching-learning conditions: (A) partial teacher-centered task presentation; (B) overall teacher-centered task presentation; (C) student-centered task presentation. For the data collection, the pre-service teachers" task presentation behaviors were videotaped and evaluated with QMTPS(Qualitative Measures of Teaching Performance Scale), and the learning guidance, self-reports,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eparat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to compare the level of task presentation of the groups. The opinions of pre-service teachers’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through self-reports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group C was the most effective group than group A and B. Preservice teachers in groups C showed that despite slow start and awkward learning process at the beginning process students ha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Preservice teachers in group A and B indicated that lack of students’ interaction and sharing opinions was disappointing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was not effective than they expected.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task presentation skill level can be enhanced the most through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