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 현황 및 과제

        홍순혜 ( Soon Hae Hong ),방진희 ( Jin Hee Pang ),김선화 ( Sun Hwa Kim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2 사회복지실천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서울·경기·인천에 위치한 44개 사회복지기관의 주요 설문 분석 결과, 첫째, 사회복지관에서의 학교사회복지 사업 비중에 대한 인식수준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사회복지관이 실시한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사회봉사, 사례관리, 학생 자원봉사 활동 지원 순이었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은 학교급이 낮을수록 사례관리의 비중이 높았으며,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사회봉사프로그램 및 자원봉사활동 지원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어려움에 대한 기관차원의 어려움에는 예산·인력 부족, 학교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사업 효과성 증대를 위한 여건의 불안정이 제시되었고, 학교 차원에서의 어려움은 학교의 협조 부족과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해·신뢰 부족, 학교 내 일정한 담당부서의 부재, 시간 조율 및 배분의 어려움,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개입의 제한, 학교와 기관 프로그램의 중복으로 인한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실무자 차원에서의 어려움으로는 학교와의 의사소통 및 업무조정의 어려움, 기관-학교-교육청 간의 평등한 상호관계 형성의 어려움, 잦은 외근과 5일 근무제로 인한 학교와의 프로그램 연계 어려움, 학교와 자신의 소속 기관 모두 신경을 써야 하는 부담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와 더불어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의 활성화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y social welfare centers and to seek measures for activating such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survey targeting forty-four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social welfare centers had considerably high recognition level with respect to school social works. Second, the school social work programs carried out by the social welfare centers were community service, case management and support for students volunteer in the local community in the order of frequency. While the case management was of great importance in schools with lower level, the community service and support for students volunteer were of great importance in schools with higher level. Third, the following difficulties were raised in th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in terms of center, a manpower shortage, difficulty in providing services to satisfy schools` demands and unstable conditions for the increase in the effect of the social work; in terms of school, a lack of school cooperation, insufficient recognition,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of the social welfare, absence of a department in charge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difficulty in adjusting and distributing time, restriction on continuous cas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and overlapping programs between the school and the center; and in terms of hands-on worker,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school and adjusting works, difficulty in forming equal relationship among the center, the school and the education office, difficulty in linking a program to the school due to a frequent outside work and a five-day work week and burden of taking care of both the school and the center.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of the analysis, an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measures for activating and improving th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have been presented.

      • KCI등재

        경기도 G시 위스타트 5년 사업 성과 평가

        홍순혜(Soon Hae Hong),정소연(So Yon Jung),방진희(Jin Hee Pang),엄경남(Kyoung Nam Eu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1

        본 연구는 2012년 현재 위스타트 사업이 시작된 지 5년이 된 경기도 G시를 대상으로 위스타트 사업의 성과를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해당지역 위스타트 사업 대상 아동과 양육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이 사업이 목표로 하는 광범위한 영역에 대해 2012년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비동일통제집단사후검사설계에 기반한 본 연구는 분석 방법으로 독립표본 t-검정과 교차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위스타트 참여집단과 비교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검증된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스타트 참여 아동이 비교집단 또래 보다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였으며 학령기아동의 경우 비교집단 보다 더 건강한 식습관을 갖고 있었다. 둘째, 위스타트 참여 아동들은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사회적 위축 정도, 우울 및 불안 감정의 정도가 더 낮았으며 학습습관은 더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위스타트 대상 아동의 주양육자들은 비교집단 보다 양육스트레스와 무망감 정도가 더 낮았다. 또한 아동의 아버지 집단에서 음주문제 역시 비교집단 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위스타트 참여 아동의 주양육자들은 비교집단 보다 아동의 학교과제 및 준비물을 더 자주 점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부분에서는 본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와 함께 위스타트 사업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제시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We-Start Project implemented in S1-Dong, G City, Gyeonggi-do over the past 5 years. We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We-Start participants and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their counterparts living in a neighboring distric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the end of February and early March, 2012.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rimar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were more likely to be in good health, whe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e-Start participants aged 7-12 were found to have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2)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ve mood and feeling of loneliness than their peers in the comparison group. Furthermore, children in the We-Start program, on average, ha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We-Start Project implemented in S1-Dong, G City, Gyeonggi-do over the past 5 years. We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We-Start participants and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their counterparts living in a neighboring distric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the end of February and early March, 2012.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rimar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were more likely to be in good health, whe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e-Start participants aged 7-12 were found to have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2)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ve mood and feeling of loneliness than their peers in the comparison group. Furthermore, children in the We-Start program, on average, had better study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3)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reported low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and feeling of helplessnes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4) In terms of good parenting,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checked and supported their children's homework more frequently than the parents in the comparison group. Lastly,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We-Start Projects and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