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기니탄트라의 다키니(ḍākinī)__용례 분석과 주석가들의 해설을 중심으로__

        방정란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7

        A sacred female being, ḍākinī, is described as a significant figure in an early Yoginītantra, the Sarvabuddhasamāyogaḍākinījālaśaṃvara while the position of ḍākinī remains as having a secondary status in Yogottaratantras. In addition, as the Tibetan translation of ḍākinī, mkha' 'gro ma (sky-goer), shows, they are described as having a capability of flying. However, the emphasis on this characteristic of the ḍākinī was not developed in early non-Yoginītantra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ḍākinī from passages related to ḍākinī in Buddhist tantric texts. In the beginning of this paper, previous studies on ḍākinī are introduced. Then, descriptions of the term ḍākinī in non-Yoginītantras such as the Mahāvairocanābhisambodhi, Sarvatathāgatattvasaṃgraha, and Guhyasamājatantra are analysed in the second chapter. And in order to elucidate the elevated position of ḍākinī in Yoginītantras, verses from the Sarvabuddhasamāyogaḍākinījālaśaṃvara, one of the earliest Yoginītantra, are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Lastly, the nirukti-styled interpretation of ḍākinī expounded by later Vajrayāna authors, i.e., in Bhavabhaṭṭa’s Vivṛti, a commentary on the Cakrasaṃvaratantra and in Ratnākaraśānti’s Guṇavatī, a commentary on the Mahāmāyātantra, is introduced. 반신(半神)부터 성스러운 여성신격을 포괄하는 말로서 샤이바 전통에서 요기니(yoginī)를 사용한 것에 대응하여 바즈라야나는 유사한 경우에 다키니(ḍākinī)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후대로 갈수록 바즈라야나의 다키니는 수행자를 해탈로 이끄는 강력한 능력을 지닌, 밀교 수행에 신비적이며 핵심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그러므로 다키니의 서술은 해탈도에서 지혜(prajñā)가 강조되는 탄트라의 수행 전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맥락을 제공한다. 인간을 위협하고 해칠 수 있는 위험한 존재라는 점, 그리고 ḍākinī에 해당하는 티벳역이 말해주듯이 하늘을 나는 존재(mkha’ ’gro ma)라는 점이 일반적으로 그려지는 다키니의 특징(lakṣaṇa)이다. 하지만 다키니에 대한 서술을 연대와 전통에 따라 면밀히 살펴보면, 이 두 가지가 처음부터 대표적인 다키니의 특징으로서 불교 탄트라에서 확립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다키니 기원 자체는 불교 밖에 뿌리를 둔 것으로 불교에서 차용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바즈라야나는 힌두교의 다키니와 불교의 다키니를 어떻게 차별화하는가. 이러한 과정은 불교 탄트라 문헌에서 다키니가 묘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밝혀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다키니의 특징이 발전하는 단계를 원전을 통해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둔다. 특히 요기니탄트라 문헌들을 주석하는 저자들이 다키니의 의미를 해명하는 부분을 통해 다키니의 위상이 확립되는 과정을 추적해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샤이바(Śaiva) 전통에서 『스바찬다딴뜨라』 (Svacchandatantra)의 문헌적 위상 연구 (1) __전승본 비교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 방법론 재고__

        방정란 인도철학회 2022 印度哲學 Vol.- No.65

        인도 샤이바 딴뜨라에서 만뜨라삐타(Mantrapīṭha) 전통은 쉬바(Śiva) 신의 분노 형상인 바이라바(Bhairava) 숭배를 주요한 특징으로 삼는다. 이 전통의 문헌 중 하나인 Svacchandatantra는 스바찬다바이라바(Svacch-anda-bhairava)와 그의 배우자 여신인 아고레슈바리(Aghoreśvarī)의 숭배를 교설하는 핵심 경전이다. 이 문헌은 샤라다 서체로 쓰인 북인도 카슈미르 지역의 사본을 중심으로 편집된 KSTS(Kashmir Series of Texts and Studies) 출판본을 통해 소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북인도 사본 이외에도 네팔에서 이 경전은 Svacchandalalitabhairavatantra라는 이름으로 다수의 고층 범어 패엽 사본을 통해 전해지고 있으며, 남인도 사본들도 다수 남아 있다. 즉, 북인도와 남인도, 그리고 네팔본이라는 세 개의 전승본의 존재는 이 문헌이 인도 전역에 광범위하게 전파, 유통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본고는 Svacchandatantra에서 발견되는 유사 구문의 분석을 통해 이 문헌이 샤이바 싯단따의 Niśvāsa 집성(corpus) 일부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으며, 그 이후 샤이바의 여신지향 비드야삐타(Vidyāpīṭha)의 뜨리까(Trika) 전통의 경전 중 하나인 Tantrasadbhāva에도 다시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더하여 이 경전들이 평행, 유사 게송을 공유하면서도 어떻게 그 안에서 고유의 교설을 반영시키고 있는지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샤이바 문헌의 전승본들(recensions) 연구와 관련된 과제를 재고함으로써, 종교 전통의 발전과 확장을 어떻게 텍스트 분석을 통해 추적할 수 있는지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오차제(Pañcakrama) 2장의 후대 삽입과 전승의 의미 -사공(四空)과 관련하여

        방정란(Bang, Junglan)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60 No.-

        후기 인도불교사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떨친 바즈라야나(Vajrayāna)라 불리는 탄트라 불교는 대승불교 가르침을 수행의 토대로 삼고 있으며 스스로의 정체성을 결코 대승 (Mahāyāna)의 범주 밖에 놓지 않는다. 이러한 통합과정은 단기간에 이뤄진 것이 아니기에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는 그러한 통합과정의 발단을 추적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공(śūnya)’을 점진적 수행의 단계로 해석하는 탄트라 논사의 주석서를 통해, 이 독특한 바즈라야나만의 해석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검토한다. 특히 중후기의 탄트라 경전을 대표하는 Guhyasamājatantra(≷비밀집회탄트라≸)의 해설서이자, 탄트라 저자인 Nāgārjuna (龍樹)에 귀속된 Pañcakrama(≷오차제≸)의 두 번째 장은 단계적 공(śūnya) 수행의 과정을 지혜를 의미하는 빛(āloka)이라는 용어를 빌어 설한다. 그런데, 바즈라야나의 독특한 점진적 공수행의 교설을 담고 있는 이 장은 Pañcakrama에 속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자로서 Śākyamitra라는 이름을 전한다. 토루 토마베치(Toru Tomabechi)의 연구가 지적하듯이, 이 같은 2장의 원저자(authorship) 문제는 중후기 탄트라 주석 전통을 이해하는 데 핵심 키워드가 된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내용을 Pañcakrama와 주석서들의 문헌적인 전거를 통해 살펴보고, 더불어 대승불교사의 중요한 인물들인 Āryadeva(提婆)와 Candrakīrti (月稱) 등의 동일한 이름을 지닌 탄트라 저자들이 출현하는 시대적 배경과 연관시켜 논의한다. 그리고 이들이 주석하는 Pañcakrama의 내용을 분석한다. Tantric Buddhism, although esoteric rituals and sādhanas are main features of its practice, is clarified by Tantric authors as it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of Mahāyāna doctrines representing systems of Yogācāra and Mādhyamaka. This paper is based on my previous presentation in Vajrayāna section of a conference which was held in Korea in May, 2019 whose main theme is śūnya/śūnyatā in Buddhism. It starts from a question that what we can say on the first Vajrayāna’s own interpretation of śūnya or śūnyatā? The four stages of śūnya and āloka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Pañcakrama would be a suitable example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econd chapter is described as a work of Śākyamitra, and the text itself was also separately translated into Tibetan under the title of the Anuttarasandhi. This text teaches the step of purification of mind through four stages; śūnya, atiśūnya, mahāśūnya, and sarvaśūnya. It reflects that this doctrin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issemination of Ārya school. Besides, the procedure of insertion of this work into the Pañcakrama can be traced by analysing positions of commentators about what exactly the five stages (pañcakrama) mean as it has been studied by Tomabechi 2006.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troduce exposition of Tantric Āryadeva and Candrakīrti on the practice of Cittaviśuddhikrama to show that they cite verses of Nāgārjuna without a clear statement to distinguish the authorship of Mādhyamaka and Vajrayāna works ascribed to the same name. Therefore, their explanation can shed light on a manner of their attempt to enforce the authority of Ārya school.

      • KCI우수등재

        『차크라삼바라탄트라』 (Cakrasaṃvaratantra)의 성립 연구 : 경전의 시작에 대한 초기 주석가들의 주해를 중심으로

        방정란(Bang, Junglan)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5 No.-

        인도 밀교 전통 가운데 삼바라(Saṃvara, 혹은 Śaṃvara) 전통은 분노존의 형태인 차크라삼바라(Cakrasaṃvara)로 화한 헤루카(Heruka)를 주존으로 삼는다. 이 전통에 속한 경전들 가운데 가장 초기에 성립된 핵심 경전인 Cakrasaṃvaratantra(이후 CaSa)는 요기니탄트라(Yoginītantra) 계열의 경전이다. CaSa를 필두로 삼바라 경전군에는 열두 개 이상의 탄트라가 현재까지 전해지며, 그 영향력은 인도를 넘어 네팔, 티벳은 물론, 몽골 등지로 뻗어나가 현재까지도 살아 있는 전통으로서 수행되어 오고 있다. CaSa라는 밀교 경전의 발생을 이해하기 위해서 요가탄트라에서 요기니탄트라로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밀교 경전인 Sarvabuddhasamāyogaḍākinījālaśaṃvara(이후 SaBuSa)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SaBuSa와 CaSa의 시작 게송들부터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이 유사 구절의 분석을 통해 SaBuSa에서 CaSa로 이행되는 밀교 경전의 발전 및 문헌 개정 과정의 일면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CaSa의 주석 가운데 산스크리트 원문이 전해지는 초기 주석들인 Jayabhadra의 Pañjikā, Bhavabhaṭṭa의 Vivṛti, 그리고 Kambala의 Sādhananidhi의 주해를 중심으로 CaSa라는 경전 성립의 층위를 추적할 수 있는 증거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문헌들은 인도 밀교사에서 CaSa가 지니는 독특한 위치를 보여주고 있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원문의 전체 편집은 물론 현대어 완역도 아직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교정, 출판되지 않았던 원문과 현대어 초역을 함께 시도하여 CaSa의 권위를 정립하기 위한 저자들의 주해를 분석해 본다. 이와 더불어 CaSa가 주요 밀교 전통의 하나로서 자리매김하는 시기를 주석가들의 연대 문제와 함께 살펴보기 위해, 이 문헌들이 티벳역 되는 시기와 관련된 진술을 전하는 후대 티벳 사료들도 함께 검토해 본다. The Cakrasaṃvaratantra (hereafter CaSa) is the earliest Tantra in the Saṃvara/ Śamvara tradition of Vajrayāna. It shows the strong textual influence from the Sarvabuddhasamāyogaḍākinījālaśamva (hereafter SaBuSa). For example, the first three verses of CaSa could be regarded as an enlarged revision of the first stanza of SaBuSa. Neither tantra starts with the conventional opening words of Buddhist sūtras, viz. evaṃ mayā śrutam, etc. More precise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antras. While SaBuSa does not have any specific opening words, CaSa begins with words, athātaḥ (atha and ataḥ).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to imagine that some people could have initially denied that these tantras are authoritative canons containing Buddha’s teaching.. As a result of such potential complications, the authors of the Saṃvara tradition may have attempted to establish the opening words of CaSa, athātaḥ, as a new paradigm for the commencement of the Buddha’s teaching. However they were aware that athātaḥ was one of the Indian conventions for the beginning of scriptures or exegeses in non-Buddhist, Indian traditions. Consequently, the authors of the Saṃvara tradition had to develop explanations of the words, athātaḥ, based on Vajrayāna doctrine and the history of the transmission of their tantras. In considering this matter, this paper analyzes three early commentaries found in the extant Sanskrit texts, i.e., Jayabhadra’s Pañjikā, Kambala’s Sādhananidhi, and Bhavabhaṭṭa’s Vivṛti, on first half-verse of CaSa. Accordingly,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ims to show what kinds of interpretation were shared among these learned authors and their own distinct and creative expositions on the opening words of CaSa. Then, the last part of the paper will deal with some questions about dating of CaSa and the dating of commentators based upon Tibetan historical accou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