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분노 응대 화행의 음성적 특징 연구

        조성문 ( Cho Sung-moon ),반태수 ( Ban Tae-soo ),최지현 ( Choi Ji-hyeon ),김수진 ( Kim Soo-j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감정에 따른 한국어 응대 화행의 음성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감정 없이 발화한 무감정 응대 화행과 분노 감정을 담은 채 발화한 분노 응대 화행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는 Russell(1980)의 정서 차원 구조에서 무감정과 분노 감정의 각성과 정서가가 가장 대립하기 때문이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무감정과 분노 감정에 따른 한국어 응대 화행의 음성적 특징을 분석하여 유의한 결과 도출을 시도했다. 본고는 한국어 모어 화자인 20대 남성과 여성 각각 10명씩 총 20명의 감정별 응대 화행을 녹음했다. 그리고 무감정 응대 화행과 분노 응대 화행의 평균 음높이, 최고 음높이, 최저 음높이, 발화 속도 등 음성적 특징을 분석했다. 응대화행별 음높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응대화행은 평균 음높이에서 정서 차이와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했다. 최고 음높이는 여성의 무감정 응대 화행과 분노 응대 화행의 정서 차이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결과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최저 음높이에서는 무감정 응대 화행 중 남녀 차이만이 유의미했다. 부정응대화행의 경우 평균 음높이에서 남성의 정서 차이를 제외한 부분에서 유의미한 값을 보였다. 최고 음높이에서는 분노 감정의 남녀 정서 차이와 여성의 정서 차이만 유의미했고, 최저 음높이에서는 무감정의 남녀 정서 차이만 유의미했다. 응대거부화행의 경우 부정응대화행과 같이 남성의 정서 차이를 제외한 평균 음높이에서 유의미한 값을 나타냈다. 최고 음높이에서는 분노 응대 화행의 성별 차이와 여성의 정서 차이가 유의미했다. 최저 음높이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했고 정서 차이는 여성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발화 속도는 모든 응대 화행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발화 속도가 빨랐다. 또한, 분노 응대 화행의 발화 속도가 무감정 응대 화행보다 대체로 빠른 것을 발견했다. 응대거부화행의 경우, 무감정과 분노 응대 화행의 발화 속도가 같았지만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고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화행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음높이가 높고 발화 속도도 빠르다는 사실을 뒷받침했다. 또한 분노 화행이 무감정 화행보다 음높이가 높고 발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발견하여 화가 나면 목소리가 높아지고 말이 빨라진다는 것을 입증했다. 특히 여성의 평균 음높이는 응대 화행의 내용과 상관없이 무감정 화행보다 분노 화행에서 높아 여성이 분노 감정을 표현할 때 음높이를 높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남성의 경우에는 분노 감정을 담은 긍정응대화행의 최고 음높이가 유의미하게 높아 남성이 긍정응대 분노화행을 발화할 때 의도적으로 언성을 높인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분노 응대 화행의 음성적 특징을 무감정 응대 화행과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성별 차이를 토대로 남성과 여성의 정서 차원의 음성적 특징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통제된 환경에서 피험자들이 자연스러운 감정을 담아 발화했는지 알기 어렵고 음높이와 발화 속도 이외의 음성적 특징은 분석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분노 감정 이외에 다른 감정의 응대 화행과 이들의 다양한 음성적 특징은 후속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oice features of Korean speech-acts of responses according to emotions. Therefore,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non-emotion speech-acts of responses and anger speech-acts of responses, as the awakening and sentiment of non-emotional and angry emotion are most at odds in Russell’s (1980) emotional dimension structure. Based on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significant results by analyzing the voice features of Korean speech-acts of responses on feelings of non -emotion and anger. This study recorded 10 men and women in their 20s, each speaking in Korean, responding to each emotion. Also, this study analyzed voice features such as the average pitch, the highest pitch, the lowest pitch, and the speech rate of the speech-acts of responses on feelings of non-emotion and anger. The pitc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Positive respon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 and gender at average pitch. The highest pit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except for the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non -emotional and angry responses of women. On the other hand, at the lowest pitch, only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as significant on the emotionless responses. In the case of negative responses,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differences in men’s emotions at average pitch. At the highest pitch, only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emotions and the difference in female emotions was significant. While at the lowest pitch, only the difference in non-emotions between men and women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response rejection,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differences in men’s emotions at average pitch such as negative responses. At the highest pitch, gender differences in anger responses and women’s emotional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t the lowest pitch,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nd emotional differenc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ly for women. The speech rate was faster for women than for men in all the speech-acts of response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speech rate of angry responses was generally faster than emotionless responses. In the case of response rejection, the speech rate of angry responses and emotionless responses was the same, but not significant.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pported the fact that women are higher in pitch and faster in rate than men in most speech-act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ngry responses are higher in pitch and faster in rate than emotionless responses, proving that anger makes people raise voices and speak faster. In particular, this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pitch of women is higher in anger than in emotionless responses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speech-acts of responses, which raises the pitch when women express anger. In the case of men,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st pitch of positive responses, which contains anger feelings,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at men deliberately raised their voices when they express anger in positive responses.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e voice features of Korean speech-acts of responses on feelings of non-emotion and anger.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has also discover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based on gender differenc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the subjects recorded with natural emotions in a controlled environment,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we could not analyze voice features other than the pitch and the speech rate. In addition to anger feelings, speech-acts of responses of emotions and their various voice features will address in subsequen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