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중운동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정신건강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반철환 ( Chul Hwan Ban ),조성초 ( Sung Cho Jo ),오연풍 ( Youn Poong Oh ),김기중 ( Ki Jung Kim ),김형대 ( Hyeong Dae Kim ),노재귀 ( Jae Kui No ),박장규 ( Jang Kyu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6주간의 수중운동이 만성 편마비 환자들의 정신건강 및 신체적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재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P복지관 만성 편마비 환자 16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하였으며, 공변량분석을 통해 측정된 자료의 유의성 검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중운동은 만성 편마비 환자들의 긴장, 분노, 피로, 활력과 같은 정신건강 요인에는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으나, 우울과 혼동 같은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신체적 자아 효능감 요인인 신체 능력과 자기표현 자신감의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수중운동은 만성 편마비 환자뿐만 아니라 다른 장애인의 정신적 재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16 week aqua exercise on mental health and self-efficacy of chronic hemiplegic patients. Sixteen chronic hemiplegic patients, aged 37-50, admitted to P-welfare center in Seou,l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8) and controlled one(8).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uch mental health factors as tension, anger, fatigue and stamina and also in such physical self-efficacy factors as physical ability, expression and self-confidence. Therefore, aqua exercise is expected to help not only chronic hemiplegic patients but also other disabled persons mentally rehabilitated if applied with consideration of patient`s characteristics.

      • KCI등재

        요가운동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변화분석

        이해권(Hae Kwon Lee),조홍관(Hong Kwan Jo),김기중(Ki Joong Kim),반철환(Chul Hwan Ban),정창년(Chang Nyun Jung),최종운(Jong Woon Cho),박지영(Ji Young Park),박상민(Sang Min Park),노재귀(Jae Kui No) 한국발육발달학회 2012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2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yoga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of ADHD adolescents, and the subjects are 36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ho attends middle schools in Jeonlabuk-do, and 18 subjects are categorized as experimental group, and remaining 18 subjects are categorized as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2-week yoga exercise,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pretest of all factors on physical self-description o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ut in post test, all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 .001).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pretest of every factor of appearance, health, flexibility, body fat, sports confidence, muscle power, and muscle endurance than control group, so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 < .001), and control group showed negative aspect of regular exercise after 12 weeks, so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 < .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oga exercise is effective program for all sub-factitive physical self-description changes of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Youths physical self-descri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