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청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조사 현황과 특징

        박형순(Park Hyeongsoon) 국립광주박물관 2018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1

        지금까지 충청지역에서는 모두 12개소 34기의 분청사기 가마터가 조사되었다. 충청지역 분청사기 연구는 공주 학봉리유적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부터 조사 및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는데, 2010년대 이후로는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황과 함께 분청사기 연구도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조선 초 충청지역 분청사기의 생산과 공납은 전라 및 경상지역과 큰 흐름을 같이 하고 있는데, 다만 공납자기의 공납 특징에 있어서는 다른 지역과 큰 차이를 보인다. 경상도 지역은 1403년 조창을 폐지하고, 전라도 지역은 1427년을 기점으로 전라 남부와 북부의 조운을 일괄 통합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반해 조선 초 충청지역은 남한강 수로와 서해 해로를 통한 조운이 모두 용이하여 공납에 유리한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초 충청지역에는 총 8개의 조창이 설치되었고, 조창에 가까운 지역에 전세(田稅)와 공물(貢物)을 분정하는 정책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도자기 공물 또한 조창에 따라 생산지 역을 분리한 양상이 살펴지는데, 남한강 수로를 통해 조세와 공물이 운송되는 조창으로 세금을 납부했던 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에서는 지금까지 관사명 분청사기가 제작된 사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충청지역에서 확인된 관사명 공납자기는 서해 해로를 통해 조운이 이루어지는 조창(공세곶, 범근창)으로 세금을 납부했던 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을 통해 집중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공납 특징을 감안하여 조선 초 충청지역 분청사기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Chungcheong region, as of 2018, sees the excavation of 34 Bucheong ware kilns in 12 sites. The excavation efforts and research had been activated centering in Hakbongri Site, GongJu since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However, since the 2010s, kiln site excavation has not been conducted with Bucheong ware research having made little progress. Early-Joseon Chungcheong Bucheong ware production and tribute offering methods were not really different from those of Jeolla and Gyeongsang regions. Chungcheong’s porcelain tribute offering method, however,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in terms of one item. Gyeongsang abolished its tributary transportation harbor in 1403 while Jeolla, beginning in 1427, moved to combine its southern and northern tributary transportation. Meanwhile, Chungcheong, in early Joseon, used the Namhangang River and Yellow Sea routes to ensure a convenient tributary transportation. Chungcheo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stalled a total of 8 tributary transportation harbors, of which they offered taxes and tributes through closer harbors, depending on their location. Thus, according to the tax-paying tributary transportation harbors, different types of tributary porcelain were produced by area. In the region which transported taxes and tributes through the Namhangang River route, Bucheong ware items with government organization name stamped on them were not confirmed. However, in the region which transported taxes and tributes through the Yellow Sea route, tributary porcelain items, stamped with government organization names such as Naejasi, Naeseomsi, Yebinsi, Jangheunggo, and Insubu, were found to have been produced.

      • KCI등재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개인 데이터 보안을 위한 개인 폴더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박용훈(Yonghun Park),박형순(Hyeongsoon Park),김학철(Hakchul Kim),이효준(Hyojoon Lee),장용진(Yongjin Jang),임종태(Jongtae Lim),장수민(Sumin Jang),서원석(Wonseok Seo),유재수(Jaeso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5

        최근에 세계적으로 다중사용자시스템(Multi-User System, MUS)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중사용자시스템은 한대의 컴퓨터본체에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어와 키보드, 마우스 등 입출력장치들을 연결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서 보안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사용자 편의성 중심의 설계와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된 NTFS 파일 시스템 기반에서 작동하며 NTFS 파일 시스템의 복잡한 보안 설정 기능을 단순화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다. 기본적으로 윈도우즈 시스템과 같이 중요한 폴더에 대해서는 개인 폴더 설정이 안 되고 다른 사용자간에 개인 폴더 설정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한다. 접근 금지 폴더를 지정하여 아무도 개인 폴더로 지정할 수 없는 공간을 설정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In recent, the interests of multi-user systems have been increased. Multi-user systems allow a number of users to access the system simultaneously. Security is one of the key issues to be addressed in a multi-user environment. We propose a solution based on the NTFS file system that provides the personal data security and considers the convenience of users. The system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users by simplifying the complexity of the security setting on NTFS. We also propose a variety of policies that prevent from the conflicts incurring when different users set up the personal folders simultaneously and do not set up the important folders such as the window system folders as personal folders. In addition, our system supports the function of setting up the prohibition folder lists so that no one can not set the folder to their personal fo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