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DPS용 표면부착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특성 개선

        강동우(Dongwoo Kang),고성철(SungChul Go),박현종(Hyunjong Park),이호준(Hojun Lee),이주(Ju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The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is important part in order to give a driver comfortable and safety driving condition during control of power steering. Generally features are required for MDPS as rapid response from torque sensor, high efficiency, low vibration. In the vehicle system, the motors are necessary parts for increasing quality of vehicle performance. Especially the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is good choice for high efficiency by motor size standards, because of limitation space of vehicle system. But the design of permanent-magnet motor is considered essentially to temperature of motor operation, demagnetization of magnet, characteristics of torque, etc. Thus this paper analyzes to design parameters for the torque ripple.

      • KCI등재후보

        휴대용 염소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총 염소 생성량 및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김효현(Hyohyeon Kim),김지예(Jiye Kim),윤제용(Jeyong Yoon),이호일(Hoil Lee),박현종(Hyunjong Park),강경석(Kyungseok Kang) 적정기술학회 2015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1 No.1

        전세계적으로, 특히, 개발도상국 국가들에서는 아직도 수많은 사람들이 안전하지 않은 먹는 물 문제로 고통 받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사망하는 인구가 매년 150만 명을 넘는다. 특히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 등과 같은 수인성 질병이 주로 문제가 되며, 이 경우 먹는 물 소독이 철저하지 않은데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자 마을 단위 또는 가정 단위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염소 발생 원리를 기반으로 한 포터블 염소 발생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포터블 염소발생장치에서의 염소 발생 특성과 염소 발생 반응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염소계 소독부산물(chlorite(ClO 2 − ), chlorate(ClO 3 − ), perchlorate(ClO 4 − ))의 생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로, 500 L 물탱크의 물을 소독하는데 필요로 하는 염소량(300 mg 가정)은 10 g 정도의 소금으로 8분 작동 시 생성되며, 이러한 조건에서 소독부산물의 경우 chlorite는 측정되지 않았고, chlorate는 먹는 물 기준 40분의 1, perchlorate는 5분의 1 수준이 었다(먹는 물에서의 소독부산물 chlorite와 chlorate 농도는 700 µg/L, perchlorate는 15 µg/L 이하로 제한된다). 따라서 본연구에서 개발된 포터블 염소발생장치는 마을단위 또는 가정단위의 작은 물탱크 소독에 필요로 하는 염소생산량 생산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생성되는 염소계 소독부산물은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Many people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suffer from an unsafe drinking water and every year, over 1.5 million deaths occur from water-borne diseases. Water-borne diseases, such as cholera, typhoid, dysentery, are mainly caused by inexhaustive disinfection of drinking water. To help solving these problems, we developed a Portable Electrochemically Generated Chlorine Disinfection Device, based on the principle of electrochemical chlorine generation,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in village or home uni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of chlorine and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chlorite (ClO 2 − ), chlorate (ClO 3 − ), perchlorate (ClO 4 − )) which could be produced during the chlorine generation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mount of chlorine (assumed as ~300 mg) suitable for disinfecting 500 L of water can be generated by operating the portable electrochemically generated chlorine disinfection device for 8 minutes with 10 g of salt. At this condition, in the case of DBPs generation, chlorite was not detected, concentrations of chlorate and perchlorate were one-fortieth and one-fifth of drinking water guideline values, respectively. (The drinking water guideline values are: less than 700 µg/L for chlorite and chlorate, and less than 15 µg/ L for perchlorate)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portable electrochemically generated chlorine disinfection device is applicable as disinfecting device for village or home unit, and its level of DBPs was not an issue of concern.

      • KCI등재후보

        휴대용 염소발생장치에서 염소 생산에 따른 에너지 요구 특성

        김효현(Hyohyeon Kim),김지예(Jiye Kim),이호일(Hoil Lee),박현종(Hyunjong Park),강경석(Kyungseok Kan),윤제용(Jeyong Yoon) 적정기술학회 2016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2 No.1

        먹는 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소독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염소 소독제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액화 염소의 경우 보관과 관리상의 어려움이 있어 소규모의 경우 환영 받지 못하며, 대체 기술로 전기화학적 염소 발생 기술이 사용된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먹는 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취약한 마을이나 가정이 많아 이를 해결하고자 소금 물에 전기를 가하여 염소를 생성하는 휴대용 염소발생장치(Portable Chlorine Disinfection Device)가 최근에 개발되었 다. 하지만 염소를 발생하는 데 요구되는 전기에너지에 대해 조사된 바 없어 안정적인 관리 운영은 물론 휴대용 배터 리, 태양광 패널 적용 등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염소발생장치에서 염소소독제 생산량에 따라 요구되는 전기에너지와 전류 효율을 염(소금, NaCl)농도, pH, 전압 특성에 따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로는 10-30 g/L 염 농도에서 염소 1 g을 생성하는 데 3-5.5 Wh의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었고, 이는 180 W 출력 태양패널(약 1.0 m 2 )을 2분 충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에너지이다. 또한, 염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류 효율이 높아졌으며, 20 g/L 이상의 조건에서 85%의 효율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주어진 염 농도에서 염소 발생량과 전압간의 직선적 관계를 이용하여 간단한 전압 측정을 통해 휴대용 염소발생장치에서 염소 생성량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Disinfection is necessary for ensuring safe drinking water. Among disinfectants, chlorine in liquid form is most popular.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of storing and handling large volumes of liquid chlorine,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microbiological safety is severely limited. Electrochlorination system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Recently, a Portable Chlorine Disinfection Device was developed, which can generate chlorine disinfectant by applying a current to salt water. However, its electric energy required for chlorine evolution was not reported even though that is essential for the stable operation and applying portable battery or solar panel as a power sour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requirement and current efficiency for chlorine evolution with respect to the salt concentration(NaCl), pH, and voltage with Portable Chlorine Disinfection Devi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with 10-30 g/L of salt, 3-5.5 Wh of electric energy was used to generate 1 g of chlorine, which means that it can disinfect 1 m 3 of water by charging with 180 W solar panel only for two minutes. Also, current efficiency improved as the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3 to 100 g/L, and 85% of current efficiency was shown with more than 20 g/L of salt. In addition, through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chlorine generation and applied voltage, we suggested a system that estimates the formation of chlorine by simply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de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