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토픽 모델링과 회귀분석을 활용한 모바일 푸시 메시지의 OTT 서비스 콘텐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상연(Sang-Yeon Kim),이희대(Hee-Dae Lee),박학용(Hak-Yong Park),황동욱(Dongwook Hwang)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This study analyzes texts used in push notifications from an OTT (Over-the-Top) service, “10,000 recipes,” to explore for topic categories and identify words that most/least attract viewers. In this study, representative latent topics and words of push notification messages provided by mobile apps were extracted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based topic modeling. In addition, the Elastic Net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representative words from the push notification message that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 the number of views of mobile OTT service content. Five topics emerged from the analysis: ‘seasonal food,’ ‘promotion,’ ‘preparing ingredients,’ ‘a la carte,’ and ‘easy meals.’ Use of promotion-oriented words tended to dampen viewer attraction.

      • 냉동저장중 우육 단백질에 대한 당 및 다가알콜의 냉동변성방지 효과에 관한 연구

        박학용,하정욱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1 硏究論文集 Vol.9 No.-

        식육을 냉동저장할 경우 최적동결 조건하에서 동결시킨뒤 저장하여도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육단백질의 기능적 특성의 저하가 초래되는데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우육 시료에 단백질의 냉동변성방지제인 당 또는 다가알콜을 첨가하여 -20℃의 저온에서 12주간 저장하면서 단백질 추출율, 보수력, 유화성 및 pH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용성 단백직의 추출율은 특히 4주 저장에서 냉동변성방지제 무첨가구에 비해 sucrose/sorbitol(1:1)처리구와 polypropylene glycol처리구에서는 각각 8.2배, 7.2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sucrose/sorbitol(1:1)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상당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염용성 단백질의 추출율은 냉동변성방지제 무첨가구에 비해 2주 저장시 첨가구에서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는데, 특히 surcrose/sorbitol(1:1)처리구가 4.6배 정도 정가로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polypropylene glycol처리구는 3.7배 정도의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8주 저장부터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3. 보수력은 냉동변성방지제 무첨가구에 비해 2주와 4주 저장시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surcrose/sorbitol(1:1)처리구에서 4주 저장시 10.5%의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4. 유화활성지수는 냉동변성방지제 무첨가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2주 저장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는데, 그 중에서도 sucrose/sorbitol(1:1)처리구에서 5.5%의 증가를 보였다. 5. pH의 변화는 냉동변성방지제 무첨가구에 비해 polypropylene glycol 처리구가 8주와 12주 저장에서 0.07unit 정도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다른 처리구에는 증감폭이 미소하였다.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cryporotecta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ef during frozen storage. Beef was mixed with various cryoprotectants such as sucrose, sorbitol, polypropyopylene glycol, sucrose/sorbitol or sucrose/polypropylene glycol mixture and stored at - 20℃ for 12 weeks. Samples were analyzed for water and salt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ies, water holding capacity, emulsifying activity index and pH change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extractabilities of water soluble protein were increased up to 8.2 times and 7.2 times as much as those of non-treated samples, but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the water soluble protein extractabitility showed no significance after eight week storage. 2.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the salt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showed significance, showing 4.6 times in sucrose-sorbitol treated samples and 3.7 times in polypropylene glycol treated samples as much as those of non-treated samples, but it was somewhat decreased in eight or twelve week storage samples. 3. The cryoprotetant effect on the water holding capacity showed significance, especially in CP-D treated samples stored for four weeks. 4. The emulsifying activity index showed significance in two week storage sample, especially in CP-D treated samples. 5. The pH values were increased up to 0.07 unit in CP-D treated samples stored for eight and twelve weeks, but other cryoprotectant treated samples showed few changes in pH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