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프트웨어 MPEG-1 재생 시스템 개발

        박태강,이호석,Park, Tae-Gang,Lee, Ho-Seok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논문지 Vol.6 No.7

        기존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었던 멀티미디어 시스템들의 다수가 CPU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은 디지털 동영상 압축 부호화의 표준화 기구로 자리잡고 있으며 MPEG-1과 MPEG-2가 상용화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윈도우 95 환경 하에서 전용 하드웨어의 도움 없이 MPEG-1 동영상을 소프트웨어로 재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MPEG-1 재생 시스템의 개발에 대하여 소개한다. The MPEG is the standard of coding moving pictures, and MPEG-1 and MPEG-2 are widely in use. And as the performance of CPU has improved, it is now possible to implement MPEG-1 in software only. This paper introduces the techniques of developing MPEG-1 playback system in software without using hardware on Windows 95 operating system. The implemented MPEG-1 playback system shows an acceptable performance.

      • Software MPEG - 1 재생 시스템을 위한 Audio / Video 스트림의 동기화

        박태강(Tae-Kang Park),이호석(Ho Suk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은 디지털 동영상 압축 부호화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MPEG-1에 이어 현재는 MPEG-2가 상용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복잡한 압축 기법의 적용으로 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하드웨어가 필요했지만 CPU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Software MPEG-1 Playback System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Audio와 Video간의 동기화에 관한 기법을 제시한다.

      • 다중 쓰래딩 기법의 MPEG - 1 디코더에서 공유버퍼를 이용한 오디오 / 비디오 스트림의 동기화

        박태강(Tae-Kang Park),이호석(Ho Suk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Ⅱ

        소프트웨어 MPEG-1 디코더의 구현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MPEG-1 디코더의 문제 중 하나는 MPEG-1 압축 알고리즘의 특징상 각각의 영상들이 서로 다른 압축율로 압축되기 때문에 재생 시에 디코더에 걸리는 부하가 매우 불규칙적이라는 점이다. 이 문제는 MPEG-1 디코더를 보다 작은 실행 단위인 쓰래드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때 독립적인 실행 흐름을 가지는 쓰래드들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하여 공유버퍼를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쓰래드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MPEG-1 디코더에서 쓰래드들 간의 데이터 전달에 사용되는 공유 버퍼를 이용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스트림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 DirectDraw를 이용한 Software MPEG1 Video Player 개발

        박태강(Tae-Kang Park),이호석(Ho Suk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CPU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Software적으로 MPEG1 Decoder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YUV to RGB Color conversion의 Overhead와 Window의 느린 Bitmap처리로 인해 30fps의 video 출력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icrosoft Windows 95환경 하에서 DirectDraw와 Multi-threading 기법을 이용하여 Full screen에서도 30fps 이상의 Video 출력을 유지하는 Software MPEG 1 Video Player를 소개한다.

      • 소프트웨어 MPEG-1 재생 시스템 개발

        박태강(Park Tae Kang),이호석(Lee Ho Suk)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6 No.7

        The MPEG is the standard of coding moving pictures, and MPEG-1 and MPEG-2 are widely in use. And as the performance of CPU has improved, it is now possible to implement MPEG-1 in software only. This paper introduces the techniques of developing MPEG-1 playback system in software without using hardware on Windows 95 operating system. The implemented MPEG-1 playback system shows an acceptable performance.

      • KCI등재

        기계학습 기반 유튜브 악플 분석: “사이버렉카”에 달린 댓글의 어휘적 특성

        이신행,이주연,조민정,박태강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본 연구는 특정 유명인에 대한 선정적 유튜브 콘텐츠로 혐오를 조장하고 악성 댓글(이하 악플)을 확산시키는 일명 “사이버렉카” 채널에 주목해 여기에 달린 댓글을 수집한 후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악플을 분류하여 그 어휘적 특성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사용하고 예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 과적합을 방지하는 정규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사이버렉카” 콘텐츠는 욕설이나 비속어보다는 외모 비하나 조롱 목적의 멸칭과 모욕적 상징이 함축된 고유 명사가 사용되는 악플을 양산하고 있었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언어적 변이가 일어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계학습의 방법을 이용한 악플 탐지의 가능성을 진단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Considering the so-called “cyber wrecker,” which spreads hatred with sensational YouTube content about celebrities, this study collected comments posted on its channels, classified malicious comments with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analyzed their lexical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as the algorithm and a regularization process was applied to improve prediction performance by preventing overfitting. As a result, we found that “cyber wrecker” content produced malicious comments using proper nouns, which connoted a derogatory or insulting meaning for mocking purposes, rather than swear words or slang. Also, various linguistic variations were found in the posting of malicious comment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machine learning method for detecting malicious comments and ways to overcome its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