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국의 지방기록관과 한국의 지방기록자료관 설립 방향

        박찬승,Park, Ch'an-Seung 한국기록학회 2000 기록학연구 Vol.0 No.1

        Based on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Agencies Act" enacted from the year 2000, the Korean local districts, in a near future, will establish local archives. According to this law, the archives of provincial states and municipal cities are to be conserved permanently, whereas the archives of local districts are to be conserved temporally. Subsequently, the important archives that are categorized as the permanent documents will be transferred to the provincial archives. However the Korean local districts, which are well known for long history of self-administration, are better to preserve permanent documents in their own archives. Moreover, it is necessary for the local archives to collect and compile public and private documents as well. Also it is advisable for the local archives to associate with local citizens by holding lectures and exhibitions which would endow the archives a status as the cultural centre for local districts. By doing so, the local archives could be more important to the population for their cultural and practical necessities than the remotely municipal archives.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rule of field preservation, it is better to conserve documents in the local archives. If the government will decide to transfer permanent documents to the municipal archives, the local archives are recommended to keep micro-film copy by themselves.

      • KCI등재

        1980년 목포항쟁의 전개과정과 주도층

        박찬승(Park Chan-seung) 역사문화학회 200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9 No.2

        Mokpo Uprising that occurred in May, 1980 had its own background and followed a different developmental path from that of Kwangju Uprising although it was under the influence of Kwangju Uprising. People in Mokpo had a history of fighting against Lee Seungman administration and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during the course of democratization of Korea. Political disposition they had led them to have an expectation for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and they placed Kim Daejung at the center of their anticipation. However, they had to suffer a setback because New Military Authorities gained the power when President Park was assassinated. Socio-economic situation in Mokpo was very much unfavorable as the economy in Mokpo area fell into a declin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Mokpo area was neglected by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while the national plan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was proceeded. The economic disadvantage they had to suffer for over a decade might be one of underlying causes of their persistent struggle against the dictatorship. During 1970s, democratic movement in Mokpo area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against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it provided a solid foundation for Mokpo Uprising later in 1980. Mokpo Uprising was set off to support the people in Kwangju when Kwangju was entirely cut off from the surrounding areas. Mokpo Uprising was led by Ahn Chul and college students. And tens of thousands citizens and highschool students joined the demonstration everyday. As it proceeds. people in Mokpo began to develop their own sense of duty about what they were doing.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Mokpo Uprising and attempted to show how it differed from Kwangju Uprising.

      • KCI등재

        한국전쟁과 마을 : 기존 연구의 정리와 향후 연구의 과제

        박찬승(Park Chan Seung)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1

        The Korean War can be characterized as a civil war. The civilians in the area occupied by the North Korean Army were split into the left and right wing and killed each other during the occupation and after the retreat of North Korean Arm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le causes of this tragedy of massacres occurred in the farming villages. There seemed to be three reasons why there were so many people killed in the farming villages during the Korean War. First, there was still a strong sense of class distinction in the rural communities although the caste system was abolish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Conflicts between the landowners and tenants, between the upper class people and lower class people exploded during the war and were led to the tragic killings. Second, scores of people have died because of a feud between neighboring villages or between the relatives and families in a village. It was found that there has been a strong sense of rivalry among these villages and/or families and the war gave a chance to revenge for those who thought to have suffered unfair treatment. Third, there was a contention between Christians and communists that was also led to massacres. North Korean Army believed that Christians were dangerous because many Christians took an active part in right-wing organizations, and so attacked them. There were other decisive factors in this war as well. Influentials in the villages, such as intellectuals or highly considered landowners, and govern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meddled in the conflict and enticed the people into a collision for their own interests or beliefs. Since neither South nor North Korean government had a strong power base, they contrived to strengthen the power base by pushing people to stand on one side, either right or left. As a result, scores of ordinary people in the farming villages were sacrificed. 한국전쟁은 내전적 성격을 갖는 전쟁이었다. 특히 인민군이 점령했던 남한 지역에서는 우익과 좌익으로 나뉜 민간인들이 서로 죽고 죽이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벌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이 글은 그동안 이 문제를 농촌 마을 차원에서 다룬 논문들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전쟁기 각 농촌마을에서 빚어진 좌우충돌의 사례를 보면, 그러한 충돌이 일어난 배경에는 크게 3가지 갈등이 있었다. 첫째는 마을 내부의 서로 다른 신분간의 갈등, 계급간의 갈등이었다. 조선시대의 신분제는 19세기 말에 제도적으로는 폐지되었지만,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여기서 빚어진 양반계층과 평민 혹은 천민 계층 간의 갈등은 한국전쟁의 와중에 폭발하였다. 지주와 소작인·머슴 간의 계급 갈등 또한 중요한 충돌 요인이 되었다. 물론 일부 지주들은 오히려 소작인들에 의해 보호를 받기도 했지만, 인민군과 지방 좌익들은 소작인들과 머슴들에게 계급의식을 불어넣고, 소작인들과 머슴들로 하여금 지주에 대항하여 싸우도록 부추겼다. 둘째는 친족간의 갈등, 마을간의 갈등이었다. 즉 동족마을 내부에서의 친족 내부의 계파 사이에 빚어진 갈등이 폭발한 경우들이 있었고, 또 신분·계급·성씨 등을 달리하는 마을간의 오랜 세월에 걸친 갈등이 폭발한 경우들도 있었다. 하지만 친족간의 갈등은 그리 심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친족들끼리는 서로 보호하려는 분위기가 있었다. 하지만 서로 경쟁관계에 있던 친족이나 서로 다른 성씨들은 평소의 원한을 전쟁기에 폭발시켜 보복에 나서기도 했다. 셋째는 기독교도와 공산주의자들 간의 갈등이었다. 인민군과 토착 공산주의자들은 기독교도들을 아편이라 생각하여 부정적으로 바라보았으며, 기독교도들 가운데 해방 이후 우익 단체에 참여한 이들이 많았기 때문에 이들을 위험한 세력으로 간주하였고, 이것이 학살로 이어졌다. 한편 한국전쟁기 마을에서 빚어진 충돌에는 마을의 지식층, 지주와 같은 지도자들의 영향력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그것은 농촌 마을 주민들의 문맹률이 높은 상황에서는 당연한 일이었다. 또한 남북한의 국가권력이 깊숙하게 개입하여 갈등을 부추겨서 서로간의 충돌로 유도하기도 하였다. 남북의 국가권력은 아직 자기 기반이 취약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어느한 쪽을 분명하게 선택하라고 강요함으로써 스스로의 기반을 강화하려 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려.조선시대의 역사의식과 문화정체성론

        박찬승(Park, Chan-seung) 한국사학사학회 200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0

        Historians of Goryo and Joseon have argued that 'Estern Country' which refers to Korea had its own history different from Chinese history. However, cultural identity has been changed from Goryo to Joseon Dynasty. During the Goyro Dynasty, cultural uniqueness was important whereas during the early period of Joseon, both cultural uniqueness and universality(Confucianism) were regraded as important.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Confucianism was rather stressed as Korean cultural identity. The idea that Joseon had its own language and customs which differed from the Chinese had developed until the idea of “Korea as Little China” was introduc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Joseon. Later, the idea of “Korea as Little China” was even more strengthened and the historians maintained that Confucianism had been developed since Dangun Joseon period. It means that they attempted to find Korean cultural identity in Confucianism. In conclusion, although the theory of Korean nationalism was fram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basic idea was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intellectuals in the Goryo and Joseon dynasty.

      • KCI등재

        일제하 공립보통학교의 일본인 교원 임용을 둘러싼 논란

        박찬승 ( Park Chan-se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5 No.-

        이 글은 일제하 조선의 공립보통학교에 일본인 교원을 임용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당시 조선인 언론이나 학교비평의회, 부회 등에서 조선인 의원들이 이를 반대한 이유는 무엇인가를 다룬 것이다. 첫째, 공립보통학교에 일본인 교원이 지나치게 많이 임용되었다는 사실이다. 1919년 이후 ‘3면 1교’정책으로, 1929년 이후 ‘1면 1교’ 정책으로 공립보통학교의 수가 크게 늘어나고, 1938년 이후에는 학급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공립보통학교에 채용된 일본인 교원의 수도 크게 늘어났다. 1910~45년 사이 일본인 교원은 공립보통학교 교원의 27~48% 정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공립보통학교에 임용된 일본인 교원들이 학력과 경력면에서 조선인 교원보다 우세한 고액 봉급자들이어서 학교비 재정에 부담을 주었다는 사실이다. 일본 본토에서 조선의 공립보통학교 교원으로 건너온 이들은 대부분 일본에서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5~15년의 소학교 교원 경력을 가진 이들이 많았다. 따라서 이들의 호봉은 조선인 교원보다 높을 수밖에 없었다. 1910년부터 1945년 사이 조선인 초등학교의 일본인 교원의 충원 과정은 크게 세 시기로 나뉜다. 제1기는 1910년부터 1924년으로, 조선의 교원양성소와 경성사범학교 연습과 출신들로는 교원을 다 충원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수(약 70% 추정)의 일본의 사범학교 출신들이 교원으로 영입되었다. 제2기는 1925년부터 1937년까지로, 조선에서도 관립(경성, 대구, 평양) 및 공립(도립) 사범학교 보통과 졸업생들이 나오면서 이들이 신규 교원의 다수를 점하고, 소수의 교원들이 일본에서 영입되던 시기였다. 제3기는 1938년부터 1945년까지로, ‘초등교육확충계획’이 중일전쟁 발발 이후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보통학교의 학급수도 크게 늘어났고, 이에 따라 매년 1천 명이 넘는 일본인 교원이 본국 영입자와 조선 내 관립사범학교 출신자로 충원되었다. 셋째, 조선에 와 있던 일본인 교원들은 조선인 교원들과는 달리 가봉, 사택료, 벽지수당 등을 받고 있었다. 조선인 언론과 학교비평의회원들은 일본인 훈도와 교장들이 받는 ‘가봉’으로 인하여 과다한 인건비가 지출되고 있고, 이로 인하여 공립보통학교의 재원인 ‘학교비’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면서, 일본인 훈도와 교장의 수를 줄이라고 요구하였다. 그러나 총독부는 일본인 교원의 수를 공립보통학교 교원의 30% 내외로 계속 유지하였으며, 1942년에는 48%까지 올렸다. 총독부가 조선 내 일본인 교원들을 판임관으로 임명하여 ‘가봉’의 특혜를 베푼 것은 일본의 식민지배의 궁극 목적인 ‘동화’를 위해서는 교육이 매우 중요하고, 일본인 교원은 그러한 ‘동화교육’의 첨병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 large number of Japanese teachers worke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orea. In 1920s and 1930s, Korean journalists and Korean members of Council for School Expense opposed to the employment of Japanese teach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Why did they oppose to it? Firstly, the number of Japanese teach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were too much.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increased sharply as a result of ‘one elementary school per three myeons’ after 1919 and ‘one elementary school per myeon’ after 1929. As the number of class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939, the number of Japanese teachers working for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rose accordingly. Secondly, Japanese teachers received higher salary than Korean teachers, as most of them graduated from colleges of education in prefectures of Japanese main land, worked for elementary schools for 5 to 15 years in Japan, and then moved to Korea in the 1920s. Therefore they could get higher salary than Korean teachers. Thirdly, Japanese teachers who stayed in Korea were provided with benefits such as additional allowance, housing fare, and extra pay for working at an isolated area. Therefore Koreans demanded that the number of Japanese instructors and principals be reduced, arguing that personal expenses were exorbitantly paid due to additional allowance for the Japanese teachers, which put a heavy burden o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finances. The reason wh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rovided Japanese teachers with additional allowance was that Government-General believed that education was vital in order to make all the Koreans assimilate with Japanese, the ultimate goal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Government-General considered Japanese teachers as the advance guards for the so-called ‘assimilation education.’ In spite of Korean’s oppos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ontinued to maintain the number of Japanese teachers at 27%~48% of the total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til the closing day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한국전쟁기 합덕면 마을 주민간의 갈등

        박찬승 ( Chan Seung Park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4

        충남 당진군 합덕면은 구룽지대, 중간지대, 그리고 평야지대의 3개 지대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재지지주들은 주로 구룽지대와 중간지대에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재지지주들은 신리의 박씨가를 빼놓고는 극히 소수에 지나지 않았으며, 대부분 소지주 내지 부농 정도로 볼 수 있는 이들이었다. 합덕의 넓은 평야의 주인은 대부분 부재지주들이었으며, 농민들은 대부분 소작농이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인민군이 합덕면을 장악한 가운데, 인민군은 내무서, 인민 위원회, 당 조직, 각종 외곽 단체 등을 설치하고 이전의 토착 좌익활동가들을 기용하고, 이른바 ``기본계급``인 농민들을 ``자위대``로 동원하기 시작하였다. 인민군 점령당국은 특히 농민들의 자발성을 고취하기 위해 토지개혁을 시작하였다. 토지개혁은 빈농과 머슴(고농)에 의해 주도되도록 했고, 머슴들에게도 땅을 나누어 주었다. 점령 당국은 토지개혁을 통해 그들의 자발성을 고취하면서. 우익 인사와 자주계급의 숙청등에 그들을 이용하였다. 각 마을에서 대한청년단 등 우익 단체에서 활동한 이들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또 신흥리라는 마을에서는 약간의 토지를 소유했던 소지주 가족들이 같은 마을 사람들에 의해 처형되었다. 대부분 소작인들로 구성되어 있던 신석리와 옥금리의 농민들은 9월 29일 대지주 박씨가가 있는 신리를 습격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박씨가와 신리 주민들의 완강한 저항으로 습격에 실패하였다. 하지만 천주교회가 장악하고 있던 합덕리나, 박병렬가가 장악하고 있던 신리의 소작 농민들은 좌익으로 넘어가지 않았다. 이들 마을은 겉으로는 점령당국에 협조하는 척 하면서 내면적으로 여전히 우익 마을로 남았던 것이다. 좌익세력들은 후퇴하면서 A리 마을 농민들을 동원하여 합덕리의 천주교인들 가운데 10여명을 끌고 오도록 하여 그들을 처형하였다. 9월 30일 이후 정세는 바뀌어 이번에는 합덕리 주민들이 A리 X마을 주민들을 모두 붙잡아다 곤욕을 치르게 하였고, X마을에서 부역자로 간주된 수십 명의 농민들이 처형되었다. 결국 전쟁기 남고 북의 좌우의 세력들은 자신들에 충성할 수 있는 세력을 만들기 위해 두 마을 사이의 해묵은 갈등, 그리고 이념과 종교의 차이를 이용하였던 것이고, 두 마을 사람들은 그 틈바구니에 끼어 회생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운산리의 한 마을에서는 역시 오씨와 남씨, 두 성씨 집안 간의 오랜갈등이 폭발하였다. 남씨가 사람들(남정산과 그의 부친)은 일제말기 마름과 구장을 지내 동민들로부터 원성을 샀고, 한때 마을에서 사실상 축출되었다. 그러나 남정산은 미군 진주를 등에 업고 마을에 복귀하였고, 남정산은 합덕의 우익 청년단 단장을 맡기도 했다. 때문에 남씨가와 대립관계에 있던 오씨가는 곤경에 처했다. 전쟁이 시작되자 남정산은 피신하였고, 오씨가의 오ㅇ영이 내무서 분소장을 맡았다. 남정산은 결국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남씨 집안의 여러 사람들이 오씨들에 의해 동원된 마을의 머슴들에 의해 처형되었다. 그리고 9월 29일 이후에는 역으로 오씨 집안의 여러 사람들과 머슴들이 붙잡혀가 처형되었다. 이 마을의 경우에는 집안간의 갈등과 계급 갈등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전쟁기 합덕면 지역 주민들 간의 대립은 이처럼 여러 가지 중첩된 배경 위에서 진행되었다고 생각된다. 즉 지주ㆍ마름 대 소작인 머슴 간의 갈등, 마을 간의 농수와 소작지를 둘러싼 갈등, 가톨릭교도와 사회주의자 간의 갈등, 경쟁 집안 간의 오랜 갈등 등이 한꺼번에 터져 나온 것이었다. 합덕면 지역의 여러 갈등관계는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심각하였다. 따라서 합덕의 각 마을 주민들은 좌우익, 남북한 정권에 그만큼 쉽게 이용당할 수 있는 상황에 있었다. 한국전쟁기 합덕면 지역에서 타 지역보다 커다란 희생을 치른 것은 이러한 사정 때문이었다고 여겨진다. North Korean Army occupied Hapduk Myun in July 1950, during the Korean War. The occupation forces executed land reform, So that poor tenants and farmhands(meosum) could have their own land. Poor tenants and farmhands became loyal to the North Korean army. North Korean army mobilized them in liquidating the right wing and the landed class. The members of right wing young men`s association were arrested and killed by some poor tenants and farmhands. In Shinhung Ri, some family members of a small land owner were killed by the tenants residing in the same village. A mob organized by some peasants of Shinsuk Ri and Okgum Ri attacked Shin Ri, where a rich land owner lived. However their attack was not successful, because the land owner and the villagers resisted with gun shooting and stone throwing. During the North Korean Army`s occupation, some villages of poor tenants became the villages of left wing. But the village dominated by the rich land owner and the village of Roman Catholicism believers did not join the left wing. Just before the North Korean Army retreated in September, one of the left wing villages attacked the Roman Catholicism believers village, and killed 10 people. After the retreat of North Korean Army. the Roman Catholicism believers arrested all the adult men in that village, and dozens of people were executed by the police and the right wing. In another village, the rival families, Oh family and Nahm family killed each other during the Korean War. Nahm Jung san, a member of Nahm family was an offici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he was cast out by the villagers, lead by Oh family,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However he came back with American Army, and he became the boss of right wing young men`s association in Hapduk Myun and harassed Oh family. After the North Korean Army`s occupying Hapduk, one of the Oh family took charge of the left wing police. And Nahm Jung San was arrested and killed, and the members of his family were also killed by the farmhands mobilized by the Oh family. But after the North Koreans` retreat, Oh family members and their farmhands were killed by the police and the right wing. Before the Korean War the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s in Hapduk Myun was more serious than any other areas in Dangjin County. During the Korean War, that conflict was taken advantage of by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power, and hundreds of people were victimied by the local left wing and right wing.

      • KCI등재

        한국의 근대국가 건설운동과 공화제

        朴贊勝(Park Chan-seung) 역사학회 2008 역사학보 Vol.0 No.200

        The western form of government was introduced in Korea through Chinese books in 1840s. It was not until 1880s that Korean people had a real understanding of constitutional monarchy system and democratic republic system. Until then absolute monarchy has been established in Korea and politicians of reformist group thought that people in Korea had a too low political awareness to maintain a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The reformist group in Korea attempted to make a first step of constitutional monarchy by restraining the power of King Gojong, Gojong frustrated the reformists' plan by his flight from the palace in February, 1896. King Gojong became an Emperor by himself in 1897 and rather reinforced his power, Independence Club, the organization of enlightened citizens, resisted it. Independence Club made a plan to enlighten the public and to organize a rudimentary form of parliament. They wanted to gradually introduce constitutional monarchy in Korea but they were dismissed by Gojong in 1898 who even more strengthened his power then. Although the members of the society for study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organized in 1905 planned to make Korea a constitutional monarchy, intellectuals did not expect that the democratic republic system would work in Korea. At that time most people in Korea had a low political awareness and no chances for school education. However some editorials of Korea Daily News asser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ation state. Ahn Chang-ho also claimed in his public lectures that Koreans had to regain sovereignty. The turning point of the discussion on the forms of Korean government was the China revolution occurred in 1911. Some Korean intellectuals moved to Shanghai and met the Chinese revolutionists. Korean nationalists were convinced that they should establish a new nation in Korea as a democratic republic. Korean nationalists clarified the people's sovereignty through the declaration of the unity of Korean nationalists in 1917. In some leaflets distributed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it was proposed that a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needed to be established and it should be a democratic republic government. As the imperial governments in China, Germany and Russia were all collapsed in 1910s, Korean nationalist believed that democratic republic wa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tim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formed in April 1919 adopted indeed a democratic republic system. Korean people finally chose the democratic republic system as a new national polity after the long discussions since 1880s.

      • KCI등재

        일제하의 "백의(白衣)" 비판과 "색의(色衣)" 강제

        박찬승 ( Chan Seung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9 No.-

        한국인들이 백의를 즐겨 입은 것은 멀리 고대부터였다. 그러나 고려 말, 그리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정부는 백의는 동방국의 옷이 아니라면서 ‘백의 금령’을 수차례 내렸다. 당시 정부는 백의 대신 동방의 색인 청색 옷을 입도록 종용하였다. 그러나 백성들은 청색 옷보다는 백의나 옅은 옥색의 옷을 즐겨 입었다. 대한제국기에 들어와 서양인들은 한국인들은 ‘백의인’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도 백의 습속은 이어졌고, 한국인들도 스스로를 ‘백의민족’‘백의동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일부 독립운동 단체는 ‘백의’라는 용어를 단체 이름에 빌려 쓰기도 했다. ‘백의’가 한국민족의 표상으로 등장한 것이다. 그런데 1920년대 들어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돈, 시간, 노동력의 낭비, 그리고 활동상의 비효율 등을 들어 백의를 버리고 색의를 입자고 주장했다. 이에 호응하여 청년회, 종교단체 등이 나서서 생활개선의 차원에서 백의를 버리고 색의를 입자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민간의 호응은 그리 크지는 않았다. 당시 언론은 민간에서 색의 장려 캠페인이 큰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염료 가격의 부담, 염료 기술의 보급 미흡 등에 있다고 분석했다. 1930년대에 들어와서는 일부 관리들과 관변 단체들이 백의 폐지와 색복 장려 운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특히 전북과 경북 지사로 차례로 임명된 김서규가 이 운동에 앞장섰다. 이에 우가키 카즈시게 총독은 농촌진흥운동의 일환으로 ‘색복’을 장려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색복장려운동은 완전히 관의 주도로 넘어갔다. 이후 ‘색복 장려’는 사실상 ‘색복 강제’가 되었다. 각군에서는 강연회, 선전비라 배포, 염색강습회 등을 개최하여 대중을 계몽하려 했다. 그리고 일부 군에서는 백의를 입은 이는 관청의 출입을 못하도록 했고, 시장에 백의를 입고 온 이에 대해서는 붉은 색 잉크나 먹물을 뿌리기도 했다. 또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서약서를 받기도 했다. 이와 같은 무리한 강제에 의하여, 1940년경에 이르면 백의를 입은 이들은 상당히 줄어들었다. 이상에서 살핀 것처럼 한국인 민족주의자나 조선총독부는 백의를 착용하는 습속을 돈, 시간, 노동력, 효율성 등의 근대적 가치기준을 들어 함께 비판하였다. 그 결과 한때 등장하였던‘백의민족’이라는 표상은 설 자리를 잃어 갔다. 해방 직후 ‘백의민족’ ‘백의동포’라는 말은 일시 부활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 이후 한복이 점차 양복에 밀리면서 ‘백의’는 자연스럽게 소멸되어 갔으며, ‘백의민족’이라는 말도 서서히 사라져갔다. From the ancient times, Koreans enjoyed wearing white clothes. However, after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issued an order not to wear white clothes several times, saying that white clothes were not the clothes of the Eastern Country. Those days, the government urged to wear blue-clothes, saying the blue color was that ofthe Eastern Country. The subjects, however, enjoyed wearing white clothes or pale blue-green clothes. Western people started to call Korean people “White-Clad People” in the era of Korean Empire Govern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Koreans began to call themselves White-Clad People, White-Clad Nation or White-Clad Compatriot. Som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borrowed the term of white-clad or white clothes for their organization names. In the 1920s, the press, young people’s organization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conducted campaigns to wear color garments, discarding white clothes in order to improve life. They insisted to wear color garments, instead of white clothes, due to economic reason, the waste of time and inconveniences in activities. Civilians`` response was not much favorable, though. The press said the reasons why such a campaign did not receive good responses were the burden of dye prices and lacking diffusion of dye technology. In the 1930s, some government officials and interest groups began to wage a campaign to abolish white clothes and wear color garments. Especially, Kim Seo-gyu, who was appointed as Jeonbuk and Gyeongbuk Governors in sequence, led the campaign. Japanese Resident-General Ugaki Kazushige instructed to encourage color garments as part of a rural development campaign. The color garments encouragement campaign was completely led by the government. Since then, the encouragement to wear color garments came to force to wear color garments. Each county tried to enlighten the public by holding lectures, distributing propaganda leaflets and offering lectures on dye. Some counties prevented people wearing white clothes from entering government offices, and also sprayed red ink or Chinese ink to thosewho wore white clothes in markets. Also, some county officials visited households and received written oaths. Due to such forceful acts, people wearing white clothes decreased quite a lot by 1940.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