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장실물모형실험에 의한 무동력 토사제거시스템의 현장적용성 평가

        박찬근 ( Changeun Park ),이달원 ( Dalwon Lee ),홍석민 ( Seokmin Ho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남해안에 설치된 감조시설물은 어항 586개소, 배수문 1,606개소인데 토사퇴적으로 인하여 기능과 역할이 쇠퇴하고, 막대한 경제손실을 가져오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무동력 토사제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현장실물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실험을 기초로 하루 평균 2차례 발생하는 조석현상을 이용한 무동력 토사제거시스템의 메커니즘에 미치는 수리학적 요소들을 비교분석하여 최적의 현장조건을 구한 후 배수문, 항구, 포구, 선착장 등의 감조시설물에 광범위하게 실용화 하고자 한다. 1. 토사제거시스템에서 유출구 단면변화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위계와 압력계를 이용한 현장실측차를 구하고 이론적인 수위, 유량, 유속변화곡선을 비교분석하여 조위가 다른 지역에서도 토사제거시스템이 적용 가능한 일반화된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2. 현장실물모형실험에 의한 토사제거 시스템의 현장 적용성 검증을 위해서 점토 및 모래를 포설하여 유속분포에 따른 토사제거 실험을 실시하였다. 점토는 자연적으로 퇴적된 3∼4mm/1일 퇴적량을 완전히 제거하였고, 인위적으로 포설된 높이 3cm 모래의 퇴적량도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점토와 모래 모두 서해안의 일반적인 입도범위 이내에 분포하기 때문에 본 시스템을 다른 지역에 적용해도 충분히 토립자가 제거될 것으로 판단된다. 3. 앞으로 무동력 토사제거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려면 조석자료로부터 만조 및 간조 시 해수위를 분석하여 각 지반고에 따른 서남해안지역에서의 일반적인 가동률 현황을 파악하여야 하고, 실제로 설치 가능한 지역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토사제거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면 배수문뿐만 아니라 항구, 포구, 선착장 등 다른 감조시설물에도 효율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淸朝 道光 연간의 銀錢竝用論에 대해

        朴贊根 ( Park¸ Chan-geun ) 명청사학회 2021 명청사연구 Vol.- No.56

        “Discussion about Using Silver Taels and Coins Together”(銀錢竝用論) in Daoguang period is argued that silver taels and coins should be used for finance together. In the past, coins had been refluxed between officials and peoples only under the county administration unit. but “Discussion about Using Silver Taels and Coins Together” is argued that coins collected from taxes at county should be transferred to be used for provincial finance. In response, the emperor, high-ranking central officials, top officials in each province, and speaking official also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It was also an important issue to adapt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bring about a change in the silver-centered financial system of provincial-government, a long-standing method of Qing Dynasty, by formalizing the financial utilization of standard-coin, which has been tolerated only in the county since the Jiaqing period. Unlike the previous period when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stabilized and did not show much change in currency and finances or the later period when they had to change anything in the crisis of course, it was important in Daoguang period in that it was widely discussed at a time when it had to respond to rapid changes in reality, implicitly acknowledging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by continuing the fundamental laws of the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Qing Dynasty's policy-making seen in the discussion process are that Push-and-Pulls have been carried out: the protection of the enduring fundamental laws of the dynasty and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suiting one's policies to the time and place.”(因地制宜) Regardless of the central officials, local officials, and emperor, it was performed, and the fixed role or mindset expected of each was not predetermined. Compared to the possibility that “suiting one's policies to the time and place” can be widely conducted in counties, the narrow range of independent act of provinces could be said to be a means of protecting the fundamental laws of the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