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휴간호사 재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나미,장인순,박은준,Hwang, Nami,Jang, Insun,Park, Eunju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 of re-employment of inactive registered nurses. This study present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collected in 'Nurse Turnover On-line Survey' by Korean Nurses Association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14. The analysis shows that 70.9% of inactive RNs has an intent to return to practice, and most of them preferred 'flexible working options' (47.8%) or 'fixed day shifts' (43.3%) as a work pattern. Main reasons for resigning from their last job have been found to be 'high work intensity' (18.8%) and 'difficulties of night shifts' (16.7%). Inactive married RNs who have working histories in a general hospital or a long-term care hospital or have preferences for traditional shift works showed a stronger intent to return to practice than their reference group. Our study shows that, for inactive RNs to return to practice, it is recommendable to adopt various non-traditional working patterns, to make a staffing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labor intensity an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increase RNs' professional satisfaction. 본 연구는 유휴간호사의 재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2013년 대한간호협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병원간호사 이직(사직)에 대한 조사'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자료 중 최종 381명의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재취업 의향이 있는 경우는 70.9%로 나타났고, 이들 중 선호하는 근무형태로는 시간선택제 47.8%, 낮번전담제 43.3%, 3교대제 6.3% 이었다. 대상자의 사직의 주된 이유는 '노동 강도가 높아서' (18.8%), '밤근무가 힘들어서' (16.7%), '임금 수준이 낮아서' (15.9%), '출산 및 육아 보육' (15.9%), '직장내 인간관계의 어려움' (11.1%)이었다. 재취업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혼, 최종 근무직장이 종합병원 또는 요양병원인 경우, 선호하는 근무형태가 3교대제인 경우가 각 기준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직무 자체에 대한 불만족'의 사직이유인 경우로 나타났다. 이에 재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근무방식 적용과 노동강도를 고려한 인력 배치와 간호전문직 사명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미용 전공 대학생의 교육만족도 연구

        윤정원(JeongWon Yoon),박은준(EunJun Park) 한국뷰티산업학회 2016 뷰티산업연구 Vol.10 No.1

        최근 들어 미용 교육이 전문적인 학문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그에 대한 지식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교육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교수는 학생들에게 많은 정보들 중 정확 한 정보를 선별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수가 학생들 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대학 강의에 학생들이 얼마나 만족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대학 강의는 교수가 생산해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라 할 수 있으며 학생은 그 서비스를 공급받아 사용하는 고객이 되는 것이다. 대학 교육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수 와 서비스로 수혜를 보는 학생들이 강의실에서 만나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교육 현장인 대학 수업을 대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의 교육 만족도를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 전공, 전공 선택 이유에 따른 교육 만족도를 측정하는 기준은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시설 및 환경, 기자재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육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성, 20대, 4년제 대학생과 피부 전공 학생, 적성과 흥미에 따라 전공을 선택했다고 응답한 학생 이 비교적 낮은 수치의 교육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사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집단의 교육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학습장 차원에서 시설 및 환경과 기자재를 적절한 수준까지 끌어올리고 교수자 차원에서는 바람직한 커뮤니케이션과 교육과 정을 통해서 학습자들의 교육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를 기대해보는 바이다. In recent years, the beauty and education continue to evolve as a professional discipline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knowledge about the increasing demand for education. Professor serves to pass the specialized knowledge by selecting the correct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to the student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the professor teaching college students how satisfied to transfer the knowledge to the students. University lectures can be referred to services provided to students by professors and students will produce that customers using the service being supplied. University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interactions with professors and students looking to benefit from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ice meet in the classroom.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with the aim to study and analyz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undergraduate majors beauty targeting major college education class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age, gender, education, major, education standards to measure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reasons why the selection was set up to communication, curriculum,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equipment. Results surveyed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smetic major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be seen a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female, 20, a four-year college and syudents of majoring in skin, students for selecting majors to aptitude and interest who responded was seen relatively low levels of education satisfaction. That education of the survey groups with high percentage of thatched-roof shown in the low satisfaction above the workbook dimensional when viewed through the proper level of the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 the staff level to be able to enhanc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learners through the preferred communication and training courses enjoy watching brief.

      • 남성 투블럭 헤어스타일의 작품 제작에 의한 디자인 연구

        이승환(SeungHwan Lee),박은준(EunJun Park) 한국뷰티산업학회 2016 뷰티산업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헤어스타일 중에서 유행하고 있는 투블럭 스타일을 대상으로 합리적인 체계로 시술하는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론 에서는 모류 흐름의 공통된 특성과 두상의 형상에 따른 커트 시술 각도를 이해하고, 투블럭 헤어스타일 구현을 위한 앞머리의 롯드 배열에 관해 세부적으로 연구한 후 파팅, 섹셔닝, 시술각, 분배, 커트 기법의 요소를 분석한 커트 방법과 로드호수, 베이스, 베이스 크기, 회전 수의 요소를 분석하여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투블럭 댄디 헤어스타일과 투블럭 포마드 헤어스타일의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을 할 수 있었고, 두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으며, 앞머리의 롯드 배열에 관한 연구를 통해 앞머리가 뒷방향으로 넘겨지는 전형적인 투블럭 포마드 형태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작품 제작을 통해 두상의 부위별 모발의 길이와 시술 각도, 와인딩하는 롯드의 크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체계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 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살롱 현장의 헤어디자이너는 전문가적 능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른 고 객의 만족도를 높여, 높은 성장을 위한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gn method of man s two block hair style to suggest the minimum standard for suitable system with shape of head and hair stream considered. In the main body of this stud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hair stream and cut angle according to shapes of head were understood. After bang s lot arrangement was researched in detail to establish two block hair style, the study suggested design method and drew a conclusion by producing 2 kinds of works through analysis of lot number, base, size of base and the number of turnings along with cut methods analyzing parting, sectioning, angle of operation, dividing and cut technique. Wha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is that two-block dandy hair style and two-block pomade hair style can be naturally and simply designed, weakness of head shape can be compensated, and the typical two-block pomade style that bang is slicked back can be established through research on bang s lot arrangement for easy styling of two-block pomade hair style. In addition, through working on the actual works, the study could help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foundation for systemic operation by suggesting hair length of each part, operation angle and size of lot for winding. It is expected that hair designers at the field can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y by establishing specific and systemic operation system, customers based on this study, in addition to enhanced client satisfaction degree and high growth in their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