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ㆍ중등 교과서에 나타난 노인의 이미지 분석

        박윤경(Park, Yunkyoung),구정화(Koo, Jeonghwa),설규주(Seol, Kyuj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3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활동 공간, 행위, 사회적 관계 맥락을 중심으로 초ㆍ중ㆍ고 사회, 도덕, 실과(기술ㆍ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노인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활동 공간의 측면에서 노인의 이미지는 사회 영역보다는 가정 영역, 도시 지역보다는 촌락 지역과 더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둘째, 행위의 측면에서 노인의 이미지는 주로 자기 계발 활동과 연계되어 있는데 비해, 직업 활동, 참여 봉사 활동 및 가사 활동 모습은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계 맥락의 측면에서 노인의 이미지는 '전통과 관행의 고수'보다는 '변화와 적응의 주체'로 나타나는 반면, '가족과 사회에 기여'하는 측면보다는 '돌봄과 부양의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초ㆍ중ㆍ고 교과서에 나타난 노인의 이미지는 사회 변화에 적응을 시도하지만, 공간적으로 가정 영역 및 촌락 영역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으며, 가족과 사회에 기여하기보다는 다른 사회 구성원으로부터 돌봄과 부양을 받아야 하는 존재로 재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나타난 노인에 대한 편향된 이미지는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부정적 편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교과서에서 노인 관련 내용을 다룰 때, 각 교과별로 고령화 사회, 효의 의미, 가정에서 노인의 행위 등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시각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image of the aged is covered in social studies, ethics, an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7 textbooks (27 social studies textbooks, 15 ethics textbooks, and 15 practical arts textbook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ree analysis perspectives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1) the activity space of the aged, 2) the behavior of the aged, and 3) the social relations context of the ag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activity space, the image of the aged was more related with family life and rural society than social life and urban society. Secondly, in terms of behavior, the image of the aged was mainly linked to self-improvement behavior while case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community service, vocational life, and family life were relatively few. Thirdly,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context, the image of the aged was more related to an agent of change and adaptation rather than to the keeper of tradition and custom, while they were found not to contribute to family and society but to need care and support from family and society. The overall image of the aged in school textbooks was representative of those people who did not contribute to family and society, but were closely linked to family and rural society and in need of care and support from both family and society while they tried to adapt themselves to social change. The skewed image of the aged in school textbooks should be corrected as it may lead to the creation of stereotypes for the aged or to a negative bias against the aged.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have been proposed for reconstructing the image of the aged in social studies, ethics, and practical arts textbooks.

      • KCI등재

        성평등 이슈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입장 분석

        강병희(Byung-Hee Kang),박윤경(YunKyoung Park),정영선(Young Son 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6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성평등 이슈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생각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 성평등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중학생과 고등학생 31명을 대상으로 군가산점제와 양성평등채용목표제에 대한 초점 집단 면접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찬반 입장과 논리를 질적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군가산점제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입장이 더 많았고, 양성평등채용목표제에 대해서는 반대하는 입장이 주를 이루었다. 먼저, 군가산점제에 찬성한 학생들은 군복무 남성을 위한 정당한 보상이며 여성을 위한 등가적 우대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제도의 차별성을 상쇄할 수 있다는 논리를 제시했다. 이와 달리, 반대하는 학생들은 제도 자체의 차별성과 한계를 문제로 지적했다. 다음으로, 양성평등채용목표제에 반대한 학생들은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능력에 기반한 자유로운 경쟁을 훼손한다는 점을 이유로 제시하였다. 반면에 찬성한 학생들은 돌봄 노동을 담당하는 여성을 위한 제도이며 노동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이유로 제시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의 청소년들이 이분화된 성역할 및 구조적 성차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부족한 가운데, 공정성과 능력주의의 관점에 기반하여 성평등에 역진적인 사고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성평등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oughts on gender equality issues in our society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and the gender equality employment system were conducted with 31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data was analyzed in a qualitative way for pros and cons and their log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udents were more in favor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and mostly opposed the gender equality employment system. First, students in favor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suggested that it be a fair compensation for men who served in the military, and that the discrimination of the system could be offset by providing an equivalent preferential system for women.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oppose that system pointed out the differentiation and limitations inherent in the system as problems. Next, the students who opposed the gender equality employment system suggested that it undermined free competition based on the equal abilities of me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favor of the system mentioned that it is for women in care work, and that it has a positive function in the labor marke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youth in our society lacked critical reflection on dichotomous gender roles and structural sexism, and had regressive thinking on gender equality based on fairness and meritocracy perspectiv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민주적 학교공동체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윤경 ( Park¸ Yun-kyoung ),이혁규 ( Lee¸ Hyugkyu ),박새롬 ( Park¸ Sae-rom ),심소현 ( Sim¸ So-hyun ),박경수 ( Park¸ Kyung-s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민주적 학교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진이 연수의 전문가위원 및 운영진으로 연수의 개발, 실행 및 평가의 전 과정에 참여하여 그 과정을 기록하고 연수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연수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내용, 방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의 측면에서, 대학 및 현장 학교의 전문가들이 개발 주체로 참여하여 협력적인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바탕으로 연수의 방향과 내용을 설정함으로써 연수의 민주성과 현장성의 원리를 구현하였다. 또한 실행 연구의 방식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실행-평가-재실행의 나선형적인 순환 과정을 거쳐 연수의 지속적인 개선 및 질 관리를 담보하였다. 다음으로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의 측면에서, 연수 참여자들이 민주적 소통과 협력, 문제 해결 과정을 활동형 프로그램을 통해 체험하고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를 공유하는 실천 지향 체험형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programs that were developed to strengthen teacher competence as a member of the democratic school community.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cess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roces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ogram development, professors and teachers participated as equal subjects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training programs based on collabora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continuous improvement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training programs were ensured by undergoing a spiral cyclic process consisting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re-implementation. Next,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training program, the program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oriented experiential methods in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democratic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through activities and shared practice cas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Based on these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proposed.

      • KCI등재

        학교 수업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룬다는 것의 의미 이해: 서울 지역 중·고등학생들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윤경 ( Park¸ Yun-kyoung ),조영달 ( Cho¸ Youngda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4

        우리 사회의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됨에 따라 교실 수업에서 이슈를 다룬다는 것 자체가 민감한 사회적 쟁점으로 대두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학교 교육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루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기본 원칙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기준 마련을 위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구성하는 학교 수업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룬다는 것의 의미를 심층 이해함으로써 이러한 사회적 논의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38명을 대상으로 정치사회적 이슈 수업을 둘러싼 쟁점들에 대한 심층 면접을 수행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학교 수업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것이 필요하고 유용하다고 보았으며,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를 다루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제시했다. 학생들은 사회적 이슈의 민감성을 판단할 때, 찬반 대립과 함께 좌파와 우파 또는 진보와 보수라는 정치적 성향의 대립이나 학생들이 이해관계 당사자라는 점에 주목했다. 다음으로, 이슈 수업 방식에 대해 학생들은 강의와 달리 일방적이지 않고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자기 의견을 말하고 서로 다른 의견을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토론 수업을 선호했다. 마지막으로, 이슈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해 학생들은 교사가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을 모두 알려주되, 더 옳은 의견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아야 한다고 보았으며, 교사가 학생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의견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했다. 이를 통해 정치사회적 이슈 수업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정치적 의견 형성에 대한 기대와 함께 교사에 의해 그 과정이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를 동시에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수업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룬다는 것이 교실 공간의 정치성 발현의 가능성을 갖는다는 의미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수업에서 이슈를 다룰 때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the political polarization of our society intensifies, what position teachers should take when dealing with socially and politically sensitive issues in classroom instruction is itself emerging as a controversial issue. Along with this, discussions are being made for the necessity of basic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deal with issues in school education and to establish specific standard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se social discussions by in-dept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classroom instruction composed by studen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re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expressed the opinion that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school classes was necessary and useful, and also presented a positive position on dealing with socially sensitive issues. When the students judged the sensitivity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ey noted the pros and cons, the political disposi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fact that the students are interested parties. Next, when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class, students preferred discussion method to lecture method in that the discussion is not one-sided, unlike lectures, and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own opinions and share different opinions. Finally, regarding the role of teachers in the issue class, students suggested that teachers share all different opinions on social and political issues, but not more correct opinions. In addition, students were opposed to the teacher's way of influencing the students to disclose their opinions.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had expectations for the formation of their own political opinions and concerns that the process could be distorted by teachers in relation to class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n this study, we interpreted that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school classrooms has the meaning of ‘transformation of classrooms into political spa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school class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