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파티클 원료 및 구성에 따른 구조용 파티클보드의 제조특성

        박세휘 ( Se-hwi Park ),강은창 ( Eun-chang Kang ),이민 ( Min Lee ),이상민 ( Sang-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국내 경골목구조 시공에서 구조용 판상재는 주로 수입산 OSB가 쓰이고 있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용 파티클보드(Structural particleboard, 이하 S-PB)를 제조하였다. S-PB 제조조건 확립을 위해 파티클 원료와 구성에 따른 성능을 평가하였다. 파티클은 국내 섬유판 제조사에서 시제품 생산에 사용하고 있는 파티클(조건1)과 본원 장비에서 직접 제조한 파티클(조건2)을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파티클의 mesh별 길이와 분포를 조사하였다. 해외 S-PB용 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습윤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 수지 접착제(F/MU=1.00, 멜라민함량 27%, 고형분 62%)를 합성하여 20% 염화암모늄 수용액 (접착제 고형분 대비 3%, 중층에만 적용)과 왁스에멀젼(고형분 39.1%, 전건파티클 중량 대비 1%)을 함께 혼합하였다. 이때 파티클 구성에 따른 S-PB의 강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표층과 중층 비율을 각각 50:50(조건A), 40:60(조건B) 및 30:70(조건C)으로 구분하였다. 함지율은 전건파티클 중량 대비 표층 15% 및 중층 12%였으며, 도포 후 매트함수율은 각각 9.68% 및 9.45%로 나타났다. 열압조건은 온도(180 ℃), 목표밀도(720 ㎏/㎥) 및 시간(15 s/㎜)으로 설정하였으며, 압력은 3단계(40 ㎏f/㎠-32 ㎏f/㎠-20 ㎏f/㎠)로 나누어 가압하였다. 제조된 보드는 ISO 16893에 따라 물성을 평가하였다. 파티클 길이 및 분포 조사에서 조건2 파티클 크기가 전반적으로 컸으며, 이는 성능평가에서 조건1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중층 파티클 비율이 높아질수록 MOR, MOE 및 박리강도와 같은 강도적 성질은 향상되었으나, 흡수두께팽창률은 수치가 증가하여 기준 12%를 상회하였다. 최종적으로 표층 중층 비율 40:60이 적절한 제조조건으로 판단되었으며, 입자 크기가 큰 파티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보드의 성능을 개선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고열처리 맹종죽의 육안적 및 물리적 특성

        박세휘 ( Se-hwi Park ),강은창 ( Eun-chang Kang ),이민 ( Min Lee ),김영진 ( Young-jin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방치되어 가는 국산 대나무의 고부가·신산업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고열처리 방법이 적용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플레이크 형태로 잘게 나누어진 재료가 주를 이루었으나, 본 실험에서는 대나무를 작게 가공하지 않은 원재료 그대로가 사용되었다. 대나무 원통을 대형챔버형 과열증기 목재고열처리기에 서 승온-유지-냉각 스케줄에 따라 건조시켰다. 건조시 유지온도 조건을 130, 140 및 150 ℃ 3가지로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시편에 대한 육안적 및 물리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건조에 따른 재색변화를 정확하기 분석하기 위해 색차계 측정을 실시하였다. 육안적 관찰 결과, 건조온도 140 ℃ 이하에서는 할렬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150 ℃부터는 마디 주위가 수축되었으며, 일부 할렬이 관찰되었다. 150℃ 처리시편에서는 그을음 또는 초산 냄새가 감지되었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나무 시편의 명도 L*은 59.24∼23.54까지 감소하였다. 채도 a*(적색-녹색)는 130 ℃까지 상승폭을 나타냈으며, 140℃부터 감소하였다. 채도 b*(황색-청색)는 17.09∼1.33으로 꾸준하게 감소하였다. 물리적 특성평가는 대나무의 상부 중부 및 하부로 구별하여 수행하였다. 함수율은 처리온도가 높고 상부에서 채취된 시편일수록 수치가 낮아졌다. 기건밀도와 기건비중 차이는 생재시편이 가장 높았으며, 150 ℃ 시편의 차이가 가장 작았다. 무처리 및 온도별 시편의 기건밀도는 각각 0.96, 0.88, 0.83 및 0.99 g/㎤로 나타났으며, 150 ℃ 시편의 밀도 증가는 대나무 표면 왁스층의 융해 및 경화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종합적으로 140 ℃ 처리재의 낮은 함수율, 적은 할렬 발생 빈도, 무향 등의 장점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나 울타리와 같은 건축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구조용 파티클보드 제조 Ⅱ - 함지율이 강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박세휘 ( Se-hwi Park ),강은창 ( Eun-chang Kang ),이민 ( Min Lee ),이상민 ( Sang-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전량 수입되고 있는 OSB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용 파티클보드(Structural particleboard, 이하 S-PB)를 제조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내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 수지 접착제(이하 MFU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지 사용량 최적화를 위해 함지율을 달리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MFU 수지는 F/MU=1.00, 멜라민 함량 27%, 고형분 62%였으며, 조건별 중층 함지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20% 염화암모늄 수용액(접착제 고형분 대비 3%) 및 왁스에멀젼(전건 파티클 중량대비 1%)과 함께 혼합하였다. 표층 파티클 함지율은 15%로 고정하였으며, 중층 파티클 함지율은 본 실험의 조건으로써 12%, 14% 및 16%로 다르게 적용하였다. 도포 후 중층 매트함수율은 각각 12.83%, 14.15% 및 14.77%였으며, 표층은 11.54%로 동일하였다. 보드의 표층과 중층 비율은 이전 연구에서 선정된 40 : 60를 사용하였으며, 목표밀도 750 ㎏/㎥으로 설정하였다. 열압조건은 온도 180℃ 및 시간 15 s/㎜로 하였으며, 압력은 3단계(40 ㎏f/㎠-32 ㎏f/㎠-20 ㎏f/㎠)로 나누어 가압하였다. ISO 16893에 따라 제조된 보드의 기초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모든 조건에서 목표밀도에 근접하게 제작된 점을 확인하였으며, 함수율은 5∼6%로 나타났다. 함지율이 증가함에 따라 MOR과 MOE가 각각 18.4∼21.5 MPa 및 3846∼4003 MPa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박리강도와 흡수두께팽창률이 향상되었다. 모든 시편은 ISO에 명시된 구조용 등급(LB-MR2)을 전반적으로 만족시켰으며, 중층 함지율의 증가는 강도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함지율 증가에도 불구하고 습윤시 휨강도는 기준(9.0 Mpa 이상)에 부합하지 못하였으며,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함지율 과도 상향보다는 다른 제조조건에 탐색이 보다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 SCOPUSKCI등재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도네시아 주요 조림수종 목재의 재색변화

        박세휘 ( Se Hwi Park ),장재혁 ( Jae Hyuk Jang ),( Yue Qi ),( Wahyu Hidayat ),황원중 ( Won Joong Hwang ),( Fauzi Febrianto ),김남훈 ( Nam Hun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6 목재공학 Vol.4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ood durability to climate deterioration of planted Indonesian wood specie such as Albizia, Gmelina, Mangium and Mindi. Wood samples were exposed to indoor and outdoor condition. L*a*b* and Color changes (ΔE*ab) were determined by a spectrophotometer. As a result, color of all samples was changed more markedly by ultraviolet radiation. In indoor test with UV, brightness of wood specimens from four species was not changed and all samples were changed into more reddish and yellowish. In accelerated weathering test, all samples were bleached and changed into more greenish and blueish. In outdoor test, brightness of wood specimens decreased in Albizia and Gmelina and increased in Mangium and Mindi. All wood specimens in outdoor test were changed into more greenish and blueish. Albizia and Gmleina woods showed greater color change than those of Mangium and Mindi. Especially, color change of wood samples might be influenced greatly by moisture. In conclusion, wood color changed into more clearly by UV radiation. Therefore, exposing woods to UV radiation could be one of reasonable methods to improve wood quality on visual characteristic.

      • SCOPUSKCI등재

        인도네시아 주요 조림수종의 연소특성

        박세휘 ( Se Hwi Park ),장재혁 ( Jae Hyuk Jang ),( Wahyu Hidayat ),( Yue Qi ),( Fauzi Febrianto ),김남훈 ( Nam Hun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5 목재공학 Vol.43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combustion properties four major Indonesian wood species such as Albizia, Gmelina, Mangium and Mindi were investigated by cone-calorimeter for better utilization of theses wood species. Heat release rate (HRR), total heat release (TSR), specific mass loss rate (SMLR),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EHC), time to ignition (TTI), flame time (FT), specific extinction area (SEA), smoke production rate (SPR) and CO compound production rate were measured. HRR, THR and FT were proportional to the density of woods. Albizia showed the highest HRR, while Mindi had the lowest HRR. For SPR, Albizia showed the highest value due to its higher SEA. On the other hand, Mindi had the lowest SPR due to a lower SEA value. The highest smoke emission was for Albizia at the beginning of combustion. After 300 seconds, smoke emission of Gmleina and Mangium was increased greatly. Mangium and Mindi showed the highest total carbon dioxide emission. Expecially, Gmelina released the highest carbon monoxide during the combustion period and presented three times higher CO/CO2 ratio than those of other species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 KCI등재후보

        레이저 주사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한 동영상 및 3차원 영상 구현

        이유미 ( Yu Mi Lee ),박세휘 ( Se Hwi Park ),김석원 ( Sok Won Kim ) 한국화상학회 2010 한국화상학회지 Vol.16 No.2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LSCM) is a useful tool for imaging thin optical parts in living and fixed specimens ranging in thickness up to 100 ㎛ without cutting it physically. In this study, LSCM was composed by using the Ar-ion laser (λ=488nm) as a light source, a 60x(NA=1.25) microscope objective lens for a USAF target, fluorescence beads and fixed cells and a 25x(NA=0.40) microscope objective lens for live cell division. We obtained 2D images of fluorescence beads (size=1.1 ㎛, excitation λ=505nm and emission λ=515nm) and lymphocyte (approximate size=10㎛, excitation λ=488nm and emission λ=575nm) of a mouse labeled by PE (Phycoerythrin) using Labview program through the exclusive detection of light passes the pinhole by PMT. And 3D images could be obtained by using AMIRA program. We also realized moving picture of cross-sectional images of skin cancer cell division of a mouse (Balb/c) by labeling PE.

      • 구조용 파티클보드 제조 Ⅰ - 밀도가 강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강은창 ( Eun-chang Kang ),박세휘 ( Se-hwi Park ),이민 ( Min Lee ),이상민 ( Sang-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수입 OSB 대체용으로 파티클보드(Particleboard, 이하 PB)의 구조성능(ISO 16893 LB-MR2)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층과 중층의 밀도에 따른 성능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내수성능을 고려하여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 수지 접착제(F/MU=1.00, 멜라민 함량 27 %, 고형분 62 %)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20 % 염화암모늄 수용액(수지 고형분 대비 3 %, 중층 적용)과 왁스에멀젼(고형분 39.1 %, 전건파티클 중량 대비 1 %)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각 층별로 사용하였다. 함지율은 표층과 중층의 전건파티클 중량 대비 15 %와 12 %를 각 층별 파티클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매트함수율은 표층이 10.5 %, 중층이 9.8 % 였다. 도포된 각 파티클로 표층과 중층의 비율을 40 : 60으로 하여 매트를 성형하였다. 이때 목표밀도는 720 ㎏/㎥로 하고, 표층과 중층의 밀도를 3 가지 조건(① 표층 : 중층 = 780 ㎏/㎥ : 680 ㎏/㎥, ② 750 ㎏/㎥ : 700 ㎏/㎥, ③ 720 ㎏/㎥ : 720 ㎏/㎥)로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열압공정에서는 온도 180 ℃로 하고, 시간은 15 s/㎜로 하였으며, 압력은 3단계(40 ㎏f/㎠ - 32 ㎏f/㎠ - 20 ㎏f/㎠)로 하였다. 제조된 각 보드는 ISO 16893에 의거하여 각 성능을 평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평균 밀도는 약 717 ± 15 ㎏/㎥였으며, 함수율은 5.6∼6.1 %로 나타났다. MOR은 조건 ②가 기준을 만족시켰고, 습윤 MOR은 모든 조건에서 성능이 미달되었다. 반면, MOE, 박리강도, 삶음 박리강도, 두께팽창률에서는 3가지 조건이 각 기준을 상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구조용 PB 제조에 있어 표층과 중층의 구성 비율이 40 : 60 일 때, 밀도는 표층이 720 ㎏/㎥ 이상, 중층이 700 ㎏/㎥ 이상의 조건으로 매트를 구성하는 것이 성능 확보에 필요한 조건으로 판단되나, 습윤 MOR의 보완과 함께 목질판 상재의 특성상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많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Flexible 합판 제조를 위한 변성 요소수지 합성

        강은창 ( Eunchang Kang ),서푸른나래 ( Pureun-narae Seo ),박세휘 ( Se-hwi Park ),유명진 ( Myoung-jin Yu ),이민 ( Min Lee ),이상민 ( Sang-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판면재에서 탈피하여 곡면용 합판 제조를 위한 접착제 합성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은 요소수지 합성 방법을 바탕으로 폴리올을 투입하여 최종 몰비 1.25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접착제는 물성 측정 및 FT-IR과 DSC로 분석하였다. 사용된 갑을판과 중판은 활잡목으로 두께는 갑을판이 약 2.35 ㎜, 중판은 약 0.40 ㎜였으며, 함수율은 각각 약 5 %, 약 3 %였다. 글루는 접착제, 증량제 (소맥분), 경화제 (40% Glyoxal)를 각각 150 g, 30 g, 12g씩 취하여 혼합·제조하였다. 도포량은 양면당 200 g/㎡였으며, 롤러로 도포하였다. 합판 구성은 3매로 하였고 상온에서 10 ㎏f/㎠로 30분간 가압한 후, 온도 120 ℃, 압력 10 ㎏f/㎠, 시간 300 s/㎜로 열압하였다. 제조된 합판은 접착성능, 탄성계수, 폼알데하이드방출량, Flexibil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지 합성은 비교적 용이하였으며, 폴리올에 의해 고형분이 증가되고 겔화시간이 길어졌다. FT-IR 분석에서는 폴리올과의 반응성 영향으로 2877 ㎝-1, 1460 ㎝-1, 1062 ㎝-1에서 요소수지와 상이한 흡수대가 나타났다. 열분석 결과, 요소수지보다 Peak temp. 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폴리올이 겔화 및 경화 시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접착성능은 우수한 반면 목파율이 낮았고, 곡면용 합판이므로 MOE는 저하되었으며, 폼알데하이드방출량은 몰비를 고려할 때 기준 이상 이었다. 합성된 접착제로 인해 합판의 Flexibility가 우수하여 곡면 마감재 또는 곡형 가구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열압시간 및 폼알데하이드방출량 개선 방안과 함께 단판 관련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